봉학교비(鳳鶴橋碑)
					
											
															
					
					0					
					
					1887
															
						
						
							2022.01.11 00:00						
					
				
			| 향토문화유적명 relicsNm  | 봉학교비(鳳鶴橋碑) | 
|---|---|
| 문화유적지정번호 appnNo  | 향토문화재 제1호 | 
| 향토문화유적구분 relicsKnd  | 유형문화유적 | 
| 향토문화유적종류 relicsSe  | 유형문화유적 | 
| 소재지도로명주소 rdnmadr  | |
| 소재지지번주소 lnmadr  |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 410-8 | 
| 위도 latitude  | 37.19463964 | 
| 경도 longitude  | 127.0249143 | 
| 지정일자 appnDate  | 2020-07-23 | 
| 소유주체구분 posesnSe  | 국유 | 
| 소유자명 ownerNm  | |
| 규모 scale  | |
| 조성시대 makePd  | 조선 전기 | 
| 이미지정보 picInfo  | |
| 향토문화유적소개 relicsIntrcn  | 학교비는 황구지천에서 발견된 비석으로, 조선전기에 황구지천에 놓여진 봉학교라는 다리의 존재를 증명하는 유물이다. 네 면에 새겨진 200여 자의 글자를 통해 1564년(명종 19)에 해당 다리가 홍수 등으로 파괴되자 승려 주도하에 보수를 하면서 시주자의 명단과 함께 그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봉학교의 위치를 보면 이 다리의 조선 전기의 명칭은 봉학교, 조선 후기의 명칭은 세람교(細藍橋, 洗南橋)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세람교는 2006년 4월 15일부터 5월 9일까지 중원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여 그 상세 내용이 밝혀졌다. 해동지도, 1872년 지방지도, 여지도 등의 고지도와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홍재전서 등을 통해 왕의 어가가 황구지천을 따라 남쪽으로 온 다음 세람교를 건너 북쪽의 융건릉으로 향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처럼 세람교는 서울에서 융건릉이나 온천으로 행하는 것은 물론, 삼남지방으로 이동하는 주요 길목에 위치해 있어서, 조선시대 물자의 이동과 인적 자원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 
| 관리기관전화번호 phoneNumber  | 031-8036-7606 | 
| 관리기관명 institutionNm  | 경기도 오산시 | 
| 데이터기준일자 referenceDate  | 2022-01-11 | 
ctprvnNm  | 경기도 | 
sigunguNm  | 오산시 | 
sido  | 31 | 
sigungu  | 31140 | 
upmyundong  | |
| 네이버 블로그 관련글 | |
| 
											Array ( [bo_table] => public_nvpc_cltur [page] => 303 [wr_id] => 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