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춤

한국무속신앙사전
작두춤
황해도굿의 [장군](/topic/장군)거리에서 [작두](/topic/작두)를 타기 전에 신장의 위엄과 권위를 과시하면서 작두를 들고 추는 춤.
definition
황해도굿의 [장군](/topic/장군)거리에서 [작두](/topic/작두)를 타기 전에 신장의 위엄과 권위를 과시하면서 작두를 들고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김영란
정의황해도굿의 [장군](/topic/장군)거리에서 [작두](/topic/작두)를 타기 전에 신장의 위엄과 권위를 과시하면서 작두를 들고 추는 춤.
내용[작두](/topic/작두)춤은 칼날의 예리함을 알리고 신체에 자해를 해도 다치지 않는 영험함을 보여주면서 작두를 들고 추는 작두춤, 쌍작두 또는 외작두 위에 맨발로 올라타서 추는 작두타기춤, [그네](/topic/그네) 위에 작두를 설치하여 추는 그네작두타기춤으로 나뉜다. 작두타기는 [장군](/topic/장군)의 위용을 과시하고 운을 받으면서 액맥이를 하는 기능이 있다.

무당들이 사용하는 작두 형태는 농촌이나 한약방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작두와 다르지 않지만 작두를 고정하고 있는 틀 없이 작두날만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 무당의 작두신령이나 장군님을 상징하는 무구로, 여러 무구 가운데 중요하게 다루며 소중하게 보관한다. 평상시 작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한지](/topic/한지)에 싼 후 다시 빨간색 [치마](/topic/치마)로 싸서 신당 제단 위에 보관한다. 무구나 [무복](/topic/무복)은 일반인이 만지고 볼 수 있지만 작두는 본인이 아니면 부정이 타기 때문에 잘 보여주지 않으며 만지지도 못하게 한다.

작두를 가는 일과 붙잡는 일은 원래 남자가 하였으며, 이때 삼각형으로 접은 한지를 입에 문다. 입에 무른 이는 일체의 부정한 말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작두는 맨 먼저 [절구](/topic/절구)통을 뒤집어 놓은 다음 그 위에다 쌀 3가마를 올린 후 떡판으로 편평하게 만든다. 최근에는 장대를 양 옆에 세운 드럼통 위에 설치하고 [계단](/topic/계단)을 세워 올라간다. 떡판 위에 다시 용궁단지(물동이)를 올린다. 물이 담긴 용궁단지 안에는 조기와 과일을 넣고 돈을 띄운다. 조기는 용궁님, 과일은 [만신](/topic/만신)령, 돈은 재물을 각각 뜻한다. 용궁단지 위에다 모말(네 귀퉁이에 모가 난 말)에 쌀을 듬뿍 담아 올려놓는다.

무당은 장군칼과 오방기를 들고 장군모자(마래기)를 쓴 후 홍치마에 장군 더거리를 입는다. 작두 위에 올라가기 [직전](/topic/직전)에 작두를 들고 한참 동안 춤을 춘다. 이때 작두를 손바닥, 팔, 허벅지, 등에다 대고 작두신령님의 영험력을 과시한다. 또한 작두를 장정들로 하여금 양쪽에서 붙들게 하여 턱걸이를 하고 다리를 들어 올리기도 한다. 여러 [가지](/topic/가지) 영적인 춤으로 표현되는 작두춤이 끝나면 작두를 오른쪽 어깨에 메고 [단골](/topic/단골)들에게 치마걸립을 한다. 치마걸립이 끝나면 작두를 모말 위에다 올려놓고 사람이 양쪽에서 작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미를 입에 물고 잡는다.

작두에다 사람들은 절을 하면서 돈을 낸다. 사람들이 내는 돈은 모말의 쌀 속에 다 쑤셔 둔다. 무당은 춤으로 기를 극대화한 후 [버선](/topic/버선)을 벗고 준비해 둔 [정화수](/topic/정화수)에 맨발을 담갔다가 곧바로 작두 위로 올라선다. 작두 위에서 장군칼을 들고 한참 춤을 추다가 한바퀴 돈 다음 오방장군기를 들어춤을 추고 사람들에게 오방장군기를 뽑게 한다. 빨간색은 장군님을 상징하는 색이므로 많은 사람이 빨간색 기 뽑기를 원한다.

작두는 작두신령과 장군님을 상징하는 신 도구이며, 무당이 신령과 교신하고 영험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다. 작두를 타는 이유로는 첫째 무당이 작두 타기를 통해 신령의 영험력을 극대화하고 공수도 영험하다는 사실을 보이기 위함이다. 둘째 작두를 탄다는 것은 맨발로 작두날을 누른다는 것이며, 이는 곧 부정한 액을 놀리고 좋지 못한 해로운 기운을 눌러 억제한다는 상징적인 의미에서이다.
참고문헌중천-[작두](/topic/작두)(대한선불 조계종 홈페이지 중천사, http: (joongchun.egloos.com, 910600))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 당굿 굿춤의 유형과 기능과 특징 (김영란, 최영장군당굿 학술세미나발표집, 2008)
한국문화인류학회한국 무신의 계통김태곤1970
문음사김금화의 무가집김금화1995
한국 무속신 고찰양종승1996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한국 무속의 신관에 대한 연구-서울 지역 재수굿을 중심으로이용범2001
작두춤
64565
작두춤
작두춤
64564
작두춤
작두춤
64563
작두춤
작두춤
64562
작두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