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하늘을 대상으로 하여 제향하는 [마을](/topic/마을) 제의. |
---|---|
mp3Cnt | 0 |
wkorname | 이한길 |
정의 | 하늘을 대상으로 하여 제향하는 [마을](/topic/마을) 제의. | 정의 | 하늘을 대상으로 하여 제향하는 [마을](/topic/마을) 제의. | 내용 | 고청제는 천제(天祭)로부터 발원하였다. 천제를 지칭하는 용어가 고천제(告天祭)였다. 하늘은 신성한 존재이므로 하늘을 직접 지칭하는 것을 꺼렸다. 따라서 하늘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그 대체하는 용어가 청(淸)이요, 청(請)이었다. 흔히 동서남북을 가리킬 때 인의예지(仁義禮智)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 고청(告淸)이었다. 하늘을 상징할 수 있는 맑음[淸]으로써 하늘[天]을 대신한 것이다. 이로부터 고청제(告淸祭)란 제의 명칭이 만들어졌다. 고청(告請)이란 용어 역시 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역하면 하늘을 대상으로 하여 무엇인가 청한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하늘이란 대상보다는 그 대상에게 인간의 소망을 강력하게 담아내는 의미가 있다. 그런데 전승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고청제(告請祭)의 의미가 천제라는 사실을 잊고 일반적 의미의 서낭제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이는 전승 과정에서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서낭제에 동화되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동해안 지역에서 고청제라 하면 동해시의 전천을 기준으로 하여 남쪽과 북쪽의 용례가 다르다. 남쪽에서는 고청제(告淸祭)를 사용하는 반면에 북쪽에서는 고청제(告請祭)를 사용한다. 물론 예외도 있다. 전천 북쪽에 위치한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리의 고청제는 남쪽처럼 고청제(告淸祭)를 사용한다. 동해시는 전천을 기준으로 하여 남쪽이 옛 북평읍 지역이고, 북쪽이 옛 묵호읍 지역이다. 옛 북평읍 지역에서는 고청제(告淸祭)라고 할 때에는 제당이 없이 노천에서 제향할 경우에 흔히 사용한다. 그러나 [마을](/topic/마을) 형편이 나아져서 제당을 건축하였다면 성황제란 명칭을 사용했다. 이처럼 이 지역에서 고청제란 명칭은 제당의 유무와도 관련이 있다. 옛 북평읍 지역에서 고청제와 관련이 있는 마을은 송정동, 용정동, 봉정동 등이다. 이에 반해 옛 묵호읍 지역에서는 고청제(告請祭)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제당의 유무와는 관련이 없다. 옛 묵호읍 지역에서 고청제와 관련이 있는 마을은 초구동, 망상동2통 본동마을, 망상동3통 심곡마을 등이다. | 참고문헌 | 동해시 서낭제 (이한길, 민속원, 2010) | Gocheong je is a village ritual for worshipping the heavens. Gocheongje has its origins in cheonje, ritual for the celestial god [[Cheonsin](/topic/NewOfferingsRitual)](/topic/Cheonsin). Since the sky was a sacred presence, it was considered taboo to refer to it directly, hence the term cheon, meaning sky, was replaced with a similar one –cheong, which in Chinese characters was 淸 (clear) or 請 (to request). And the ritual for the Celestial God came to be called gocheongje, meaning a ritual for making a request to the heavens. The ritual procedure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fucian village ritual dongje. It is generally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nd sacrificial foods comprise only raw dishes with the exception of rice cake and steamed rice. Procedures follow the order as specified in a formal text called holgi. The ritual is followed by the consumption of sacrificial foods (eumbok) and the ritual officials divide up the remaining offerings to be taken home. Gocheongje is now practiced in villages along the eastern coast. | 以天为对象进行祭祀的村庄祭仪。 “告清祭· 告请祭”发源于“[天祭](/topic/天祭)”,表示祭天的用语。天是神圣的存在,忌讳直接称呼天,所以选用其他词汇代表天,这就是“清”或“请”。以象征天的清澈的“清”字代替天,由此产生“告清祭”这个祭仪名称。“告请”同样表示向天请求某种东西。 祭仪大体上与一般儒教式洞祭相似。祭仪日期大都选在正月初一,特点是,除了[米糕](/topic/米糕)和米饭以外,祭品全部都是生的。祭仪依据笏记(记载仪式进行顺序的文字)来进行,祭仪结束后[饮福](/topic/饮福),余下的食物由[祭官](/topic/祭官)分别带走。告清祭· 告请祭大体在东海岸地区的几个村庄举行。 | 내용 | 고청제는 천제(天祭)로부터 발원하였다. 천제를 지칭하는 용어가 고천제(告天祭)였다. 하늘은 신성한 존재이므로 하늘을 직접 지칭하는 것을 꺼렸다. 따라서 하늘을 의미하는 다른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그 대체하는 용어가 청(淸)이요, 청(請)이었다. 흔히 동서남북을 가리킬 때 인의예지(仁義禮智)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 고청(告淸)이었다. 하늘을 상징할 수 있는 맑음[淸]으로써 하늘[天]을 대신한 것이다. 이로부터 고청제(告淸祭)란 제의 명칭이 만들어졌다. 고청(告請)이란 용어 역시 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역하면 하늘을 대상으로 하여 무엇인가 청한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하늘이란 대상보다는 그 대상에게 인간의 소망을 강력하게 담아내는 의미가 있다. 그런데 전승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고청제(告請祭)의 의미가 천제라는 사실을 잊고 일반적 의미의 서낭제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이는 전승 과정에서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서낭제에 동화되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동해안 지역에서 고청제라 하면 동해시의 전천을 기준으로 하여 남쪽과 북쪽의 용례가 다르다. 남쪽에서는 고청제(告淸祭)를 사용하는 반면에 북쪽에서는 고청제(告請祭)를 사용한다. 물론 예외도 있다. 전천 북쪽에 위치한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리의 고청제는 남쪽처럼 고청제(告淸祭)를 사용한다. 동해시는 전천을 기준으로 하여 남쪽이 옛 북평읍 지역이고, 북쪽이 옛 묵호읍 지역이다. 옛 북평읍 지역에서는 고청제(告淸祭)라고 할 때에는 제당이 없이 노천에서 제향할 경우에 흔히 사용한다. 그러나 [마을](/topic/마을) 형편이 나아져서 제당을 건축하였다면 성황제란 명칭을 사용했다. 이처럼 이 지역에서 고청제란 명칭은 제당의 유무와도 관련이 있다. 옛 북평읍 지역에서 고청제와 관련이 있는 마을은 송정동, 용정동, 봉정동 등이다. 이에 반해 옛 묵호읍 지역에서는 고청제(告請祭)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제당의 유무와는 관련이 없다. 옛 묵호읍 지역에서 고청제와 관련이 있는 마을은 초구동, 망상동2통 본동마을, 망상동3통 심곡마을 등이다. | 참고문헌 | 동해시 서낭제 (이한길, 민속원, 2010) | Gocheong je is a village ritual for worshipping the heavens. Gocheongje has its origins in cheonje, ritual for the celestial god [[Cheonsin](/topic/NewOfferingsRitual)](/topic/Cheonsin). Since the sky was a sacred presence, it was considered taboo to refer to it directly, hence the term cheon, meaning sky, was replaced with a similar one –cheong, which in Chinese characters was 淸 (clear) or 請 (to request). And the ritual for the Celestial God came to be called gocheongje, meaning a ritual for making a request to the heavens. The ritual procedure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fucian village ritual dongje. It is generally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nd sacrificial foods comprise only raw dishes with the exception of rice cake and steamed rice. Procedures follow the order as specified in a formal text called holgi. The ritual is followed by the consumption of sacrificial foods (eumbok) and the ritual officials divide up the remaining offerings to be taken home. Gocheongje is now practiced in villages along the eastern coast. | 以天为对象进行祭祀的村庄祭仪。 “告清祭· 告请祭”发源于“[天祭](/topic/天祭)”,表示祭天的用语。天是神圣的存在,忌讳直接称呼天,所以选用其他词汇代表天,这就是“清”或“请”。以象征天的清澈的“清”字代替天,由此产生“告清祭”这个祭仪名称。“告请”同样表示向天请求某种东西。 祭仪大体上与一般儒教式洞祭相似。祭仪日期大都选在正月初一,特点是,除了[米糕](/topic/米糕)和米饭以外,祭品全部都是生的。祭仪依据笏记(记载仪式进行顺序的文字)来进行,祭仪结束后[饮福](/topic/饮福),余下的食物由[祭官](/topic/祭官)分别带走。告清祭· 告请祭大体在东海岸地区的几个村庄举行。 | Ritual del pueblo que se lleva a cabo para adorar al dios celestial. El término gocheong je tiene su origen en el cheonje, ritual de la adoración al dios celestial, [[Cheonsin](/topic/RitualdeNuevasOfrendas)](/topic/Cheonsin). Como el cielo era un término sagrado, mencionarlo de modo directo era considerado como tabú. Por lo tanto el término cheon que significa cielo fue reemplazado por uno similar cheong. En carácteres chinos hay dos carácteres que son leídos como cheong: 淸 (claro) o 請 (solicitar). Y el ritual para honrar al dios celestial pasó a llamarse gocheong je, que significa un ritual para hacer una solicitud al dios celestial. El gocheong je tiene lugar generalmente el primer día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y se preparen solamente alimentos sin cocinar como comida sacrificial a excepción de pastel de arroz y arroz cocido. El ritual se desarrolla según lo especificado en el holgi, texto formal. Al terminar el ritual, los oficiantes y participantes del ritual consumen la comida sacrificial. Si queda mucha comida, los oficiantes la comparten y la llevan a su casa. Hoy en día, el gocheong je se realiza en las aldeas que se encuentran a lo largo de la costa este. | Ritual del pueblo que se lleva a cabo para adorar al dios celestial. El término gocheong je tiene su origen en el cheonje, ritual de la adoración al dios celestial, [[Cheonsin](/topic/RitualdeNuevasOfrendas)](/topic/Cheonsin). Como el cielo era un término sagrado, mencionarlo de modo directo era considerado como tabú. Por lo tanto el término cheon que significa cielo fue reemplazado por uno similar cheong. En carácteres chinos hay dos carácteres que son leídos como cheong: 淸 (claro) o 請 (solicitar). Y el ritual para honrar al dios celestial pasó a llamarse gocheong je, que significa un ritual para hacer una solicitud al dios celestial. El gocheong je tiene lugar generalmente el primer día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y se preparen solamente alimentos sin cocinar como comida sacrificial a excepción de pastel de arroz y arroz cocido. El ritual se desarrolla según lo especificado en el holgi, texto formal. Al terminar el ritual, los oficiantes y participantes del ritual consumen la comida sacrificial. Si queda mucha comida, los oficiantes la comparten y la llevan a su casa. Hoy en día, el gocheong je se realiza en las aldeas que se encuentran a lo largo de la costa es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