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주리춤

한국무속신앙사전
종이로 장식한 [광주리](/topic/광주리)를 들고 추는 춤.
definition
종이로 장식한 [광주리](/topic/광주리)를 들고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민성희
정의종이로 장식한 [광주리](/topic/광주리)를 들고 추는 춤.
내용[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 가운데 원혼굿(위혼굿), 오구굿 가운데 들채굿과 길닦기에서 행해진다. 신[광주리](/topic/광주리)춤은 무구나 악기를 들고 추는 춤에 속한다. 이 춤은 광주리 안에 망자에게 바칠 쌀을 담아 혼을 위로하고 달래어 저승으로 보내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망자의 혼이 담긴 광주리는 오색 종이로 장식한다. 이는 동해안 지방의 ‘신(神)태집’과 같지만 [한지](/topic/한지)로 보살을 오려 붙인 것이 다르다. 이 춤은 사제가 굿을 이끌며 혼자 추는 춤으로, 동작은 간결하며 소박하다. 팔놀림은 길게 뻗쳐 놓은 천([길베](/topic/길베)) 위에 신광주리를 양손에 들고 좌우로 왔다갔다 이동하며 광주리를 붙였다 떼었다 하는 호접사위, 광주리를 양손에 들고 팔을 앞으로 펴는 사위, 팔을 양 옆으로 펴는 평사위 등이 있다. 발디딤은 회무 외에 특별한 동작이 없으며, 평걸음으로 가볍게 움직이는 정도이다. 신광주리춤은 삼현장단([타령장단](/topic/타령장단))이나 [굿거리장단](/topic/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일정한 규칙이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춘다.

남해안별신굿의 [대모](/topic/대모)인 [정모연](/topic/정모연)이 작고한 뒤 고주옥이 대모로 활동했으나 역시 타계하였고, 백정자와 김현숙이 활동하다가 2005년에 탈퇴하였다. 현재는 정옥이(이수자), 이선희, 노명덕, 하선주, 최인명화(전수자) 등이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거제도 수산[마을](/topic/마을)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 현장조사 (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4)
남해안별신굿과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 나타난 춤의 형태적 의미 비교 (이보영, 청주대교육 석사학위논문, 2006)
東國李相國集
연세대학교 출판부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유동식1975
집문당이규보문학연구김진영1984
정음사무속의 세계최길성1984
국립민속박물관고려 무속신앙의 전개와 그 내용박호원1994
한국무속학회황해도 무악의 역사성이용식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