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서울굿에 쓰는 무구로 종이를 새의 발처럼 밑끝이 세 갈래[지게](/topic/지게) 꼬아 세워놓게 만든 심지. ‘새발’과 ‘심지’의 합성어이다. 세 개의 발(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세발’, 새가 다리를 딛고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서 ‘새발’이라고도 한다. 이 때문에 새발심지 또는 세발심지로 혼용된다. 굿에서 새발심지는 서울 진오귀굿의 무가를 부르는 말미의 [말미상](/topic/말미상)과 [진적](/topic/진적)굿에서 불사거리의 [불사상](/topic/불사상), 본향바라기의 [본향상](/topic/본향상) 등에서 쓰인다. |
---|---|
mp3Cnt | 0 |
wkorname | 김형근 |
정의 | 서울굿에 쓰는 무구로 종이를 새의 발처럼 밑끝이 세 갈래[지게](/topic/지게) 꼬아 세워놓게 만든 심지. ‘새발’과 ‘심지’의 합성어이다. 세 개의 발(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세발’, 새가 다리를 딛고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서 ‘새발’이라고도 한다. 이 때문에 새발심지 또는 세발심지로 혼용된다. 굿에서 새발심지는 서울 진오귀굿의 무가를 부르는 말미의 [말미상](/topic/말미상)과 [진적](/topic/진적)굿에서 불사거리의 [불사상](/topic/불사상), 본향바라기의 [본향상](/topic/본향상) 등에서 쓰인다. | 내용 | 직사각형의 [한지](/topic/한지)를 긴 끈처럼 둘둘 말고 손가락을 각각 끼워서 세 개의 원형, 이른바 새발[鳥足]로 받침을 삼고 심지를 만든다. 새발심지는 무구인 한편 과거 전기가 없던 시절에 사용한 등잔의 심지이다. 서울굿에서 새발심지는 일단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하는 굿인 [진적](/topic/진적)굿 중 불사거리나 본향바라기에서 볼 수 있다. 심지에 기름을 먹여 해당 굿거리가 시작되면 불을 붙이고 청배를 시작한다. 즉, 이때 새발심지는 신의 강림을 기원하거나 신이 오는 길을 밝힌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망자를 천도하는 서울굿 중 진오귀굿에서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 무가를 부르는 거리를 말미라고 하며 이때 [말미상](/topic/말미상)을 차린다. 1인용 좌탁 정도 크기의 상에 쌀을 소복이 놓고 그 위를 한지로 덮는다. 한지 위에는 사탕류인 옥춘당 등으로 받침을 놓고 그 위에 새발심지를 기름에 적셔 올려둔다. 이때 새발심지는 진적굿의 새발심지와 달리 굿거리 초반부에 밝히지 않는다. 무가가 끝나고 이어 불교의 사방찬, 도량찬 또는 장엄염불의 일부 등을 붙여 망자의 왕생극락을 기원할 때 조무가 이 새발심지에 불을 붙인다. 무가가 끝날 무렵이면 새발심지도 다 타게 되는데 이때 심지와 한지를 치워 소복이 쌓여 있는 쌀을 유심히 들여다본다. 이것은 망자가 무엇으로 환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행위이다. 꽃, 새[鳥]의 발자국, 나비 형상의 흔적들이 남는데 무당들은 이런 흔적들을 가족들에게 설명하며 “망자가 말미 잘 받고 좋은 곳으로 가셨다”는 등의 말을 전한다. 이때의 새발심지는 망자의 극락행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서울 외에 황해도굿이나 충청도의 앉은굿에서도 이 새발심지가 쓰인다. | 참고문헌 | 무·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서울굿의 이해 (최진아, 민속원, 2007) 서울진오기굿 연구 (변지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
大阪屋號書店 | 朝鮮巫俗の硏究 (下) | 赤松智城·秋葉隆 | 1938 | 養德社 | 朝鮮巫俗の現地硏究 | 秋葉隆 | 1950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무속·불교·유교를 통하여 본 식생활문화 및 의식절차에 대한 연구 | 김상보 | 1974 | 서울대학교출판부 | 한국의 샤머니즘 | 조흥윤 | 1999 | 한국무속학회 | 무화연구 (1) | 김태연 | 2001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기작불의 교육적 이해-「법화경」을 중심으로 | 이지중 | 2001 | 한국무속학회 | 서울굿의 신화 연구 | 양종승·최진아 | 2002 | 한국무속학회 | 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 홍태한 | 2003 | 국립문화재연구소 |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 | 2005 | 한국무속학회 | 무속의례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 이수자 | 2007 |
---|
새발심지 | 64652 새발심지 |
---|---|
새발심지 | 64651 새발심지 |
새발심지 | 64650 새발심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