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한국무속신앙사전
굿하는 장소를 청정하게 하기 위해 부정을 칠 때 부르는 무가이자 이의 반주 음악.
definition
굿하는 장소를 청정하게 하기 위해 부정을 칠 때 부르는 무가이자 이의 반주 음악.
mp3Cnt
0
wkorname
장휘주
정의굿하는 장소를 청정하게 하기 위해 부정을 칠 때 부르는 무가이자 이의 반주 음악.
내용 및 지역사례부정 무가는 같은 동해안이라도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 가운데 경남과 경북이 가장 큰 대조를 이룬다. 경남 지역은 [별신굿](/topic/별신굿)이든 오구굿이든 부정거리가 따로 없기 때문에 선부정으로 간단하게 치르는 반면 경북 지역은 부정거리가 독립된 석(席)으로 있기 때문에 앉은부정으로 길게 부정을 치고 이어 선부정으로 마[무리](/topic/무리)한다. 경남의 부정 무가와 부정장단은 굿에 따라 내용이 달라서 별신굿과 오구굿의 내용이 다르다. 이에 비해 경북의 부정 무가와 부정장단은 굿에 따른 차이가 없다. 이처럼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는 부정굿의 연행 형태가 다른 만큼 음악도 다르다.

경남 동해안의 별신굿에서 불리는 부정 무가는 부정을 칠 때도 쓰지만 문당굿 등에서도 사용된다. 이 장단은 특별한 명칭이 없고 “일세동방결도량, 이세남방득천량”의 [사설](/topic/사설)로 부르기 때문에 이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을 ‘[염불](/topic/염불)장단’이라고도 한다. 별신굿에서의 부정 무가는 도가집굿에서 푸너리장단에 이어 연주되며, 하나의 장(章)으로 되어 있다. 무가와 장단은 2소박 6박으로 되어 있다. 징은 제1장단에서 첫 박에 치지만 제2장단에서 4박, 5박, 6박에 들어간다. 그리고 경남 동해안의 오구굿에서 불리는 부정 무가는 골맥이굿 끝에 선부정으로 간단히 불린다. 무당과 [악사](/topic/악사)는 각각 3소박 4박(♩.×4박)으로 무가를 부르고 ♩.×4박으로 간주를 한다.

경북 동해안에서 불리는 부정 무가는 굿당에서 첫 번째 거리로 하며, 별신굿과 오구굿에서는 차이가 없다. 앉은부정으로 시작하여 선부정으로 마친다. 앉은부정은 3장, 선부정은 2장 구성이다.

앉은부정 초장에서는 무당이 혼소박(♩.+♩+♩.)×4박으로 무가를 부르며, 악사가 (♩.+♩+♩.)×4박으로 간주를 한다. 징은 간주를 하는 첫 박에만 한 번 친다. 앉은부정 2장은 3소박(♩.)×4박으로 무가가 불리며, ♩.×4박에 간주가 따른다. 징은 간주의 첫 박에만 한 번 울린다. 2장은 ♩.×4박 장단이지만 2소박(♩) 리듬을 유난히 많이 쓰는 특징이 있다. 앉은부정 3장은 여러 장(章)으로 된 경북 동해안 [무악장단](/topic/무악장단)의 말장(末章)과 같은 장단이다. 양중에 따라 이 장단을 [동살풀이](/topic/동살풀이), 단약이라고 하기도 한다. 3장은 무가와 간주의 리듬이 3소박이고, 매 박에 울리며, 템포가 빨라지는 것이 2장과의 차이점이다.

앉은부정에 이어지는 선부정은 모두 2장 구성이다. 1장은 무당이 바[가지](/topic/가지)의 물을 신칼로 찍어 뿌리면서 부르고, 2장은 바가지의 쌀을 사방으로 뿌리면서 부른다. 또 선부장 1장은 3소박(♩.)×4박으로 무가를 부르며, 징은 매 박에 한 번 친다. 이 장단은 경북 동해안의 여러 무악장단 가운데 말장에서 흔히 보이는 동살풀이와 같다. 또한 선부정 2장은 음악에서 1장과 차이가 없고 가사만 다르다.
참고문헌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 (장휘주, 민속원,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