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대

한국무속신앙사전
[복제](/topic/복제)(伏祭)를 지낼 때 논밭에 꽂는 제구. 강원도 복제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지역의 [농신제](/topic/농신제)(農神祭)에서도 사용된다. 복대는 위목의 일종으로, 깃대 끝에 매단 [한지](/topic/한지)나 [무명](/topic/무명)천 등에서 그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동시에 신을 표시하는 신표로서의 기능을 하거나 신이 좌정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논밭에서 복대를 먼저 꽂은 다음에 그 앞에다 [제물](/topic/제물)을 차리고 제를 지내는 사례가 많은 것이 이를 증명한다. 논이나 밭에 꽂혀있는 복대는 복제를 지냈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definition
[복제](/topic/복제)(伏祭)를 지낼 때 논밭에 꽂는 제구. 강원도 복제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지역의 [농신제](/topic/농신제)(農神祭)에서도 사용된다. 복대는 위목의 일종으로, 깃대 끝에 매단 [한지](/topic/한지)나 [무명](/topic/무명)천 등에서 그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동시에 신을 표시하는 신표로서의 기능을 하거나 신이 좌정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논밭에서 복대를 먼저 꽂은 다음에 그 앞에다 [제물](/topic/제물)을 차리고 제를 지내는 사례가 많은 것이 이를 증명한다. 논이나 밭에 꽂혀있는 복대는 복제를 지냈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mp3Cnt
0
wkorname
김진순
정의[복제](/topic/복제)(伏祭)를 지낼 때 논밭에 꽂는 제구. 강원도 복제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지역의 [농신제](/topic/농신제)(農神祭)에서도 사용된다. 복대는 위목의 일종으로, 깃대 끝에 매단 [한지](/topic/한지)나 [무명](/topic/무명)천 등에서 그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동시에 신을 표시하는 신표로서의 기능을 하거나 신이 좌정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논밭에서 복대를 먼저 꽂은 다음에 그 앞에다 [제물](/topic/제물)을 차리고 제를 지내는 사례가 많은 것이 이를 증명한다. 논이나 밭에 꽂혀있는 복대는 복제를 지냈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정의[복제](/topic/복제)(伏祭)를 지낼 때 논밭에 꽂는 제구. 강원도 복제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지역의 [농신제](/topic/농신제)(農神祭)에서도 사용된다. 복대는 위목의 일종으로, 깃대 끝에 매단 [한지](/topic/한지)나 [무명](/topic/무명)천 등에서 그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동시에 신을 표시하는 신표로서의 기능을 하거나 신이 좌정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논밭에서 복대를 먼저 꽂은 다음에 그 앞에다 [제물](/topic/제물)을 차리고 제를 지내는 사례가 많은 것이 이를 증명한다. 논이나 밭에 꽂혀있는 복대는 복제를 지냈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내용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에서는 복제를 지낼 때 싱싱한 뽕나무 [가지](/topic/가지)를 베어서 여기에 소지([한지](/topic/한지))를 묶어 복대를 만든다. 이 복대는 복제를 지낼 때 논두렁에 깊이 꽂아 둔다. 삼척시 도계읍 상덕리에서는 집에서 부치는 밭 가운데 가장 큰 밭으로 나가 귀퉁이에 싸릿대로 만든 복대를 꽂고 복제를 지냈다. 복대는 주로 싸리나무로 만든다. 주변에서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싸리나무를 1m 정도 크기로 잘라 깃대를 만들고, 한지를 성인 남자 두 뼘 정도의 길이로 잘라서 깃대 끝에 묶어 매달았다. 복제를 지내러 갈 때 주로 아이들이 따라 갔으며, 복대의 길이는 어린아이의 키와 비슷했다. 밭에 꽂혀 있는 복대는 복제를 지냈다는 표시라고 한다. 복대는 인위적으로 없애지 않고 비바람에 자연스럽게 없어지도록 그냥 두었다.

강원도 삼척지역에서는 초복에 [노티](/topic/노티)를 구워 복제를 지낸다. 노티는 뒤집은 솥뚜껑 위에 기름을 바른 뒤 [수수](/topic/수수)쌀 등의 찰곡가루 반죽을 조금 떼어 얇고 넓게 펴서 구운 떡이다. 깃대는 한지를 길쭉하게 오려서 나무 막대에 매달아 만든다. 복제는 논이나 밭에 깃대를 꽂은 다음 노티를 놓고 “논에는 국가용신, 밭에는 사신용신 그저 이 떡을 받아 잡숫고 그저 나락이 한 가지에 천천만 가지 열게 해 주시오. 국가용신이오.” 하면서 빈다.

초복뿐만 아니라 중복, 말복에도 복제를 지낸다. 종이를 대꼬챙이나 싸리꼬챙이에 매어서 깃대를 만들어 밭두렁이나 논두렁에 가져다 꽂고, 떡을 뜯어 바치며 지낸다. 금년에 농사를 대풍장으로 이루게 해 달라든지 나락이 아주 잘 여물게 해 달라면서 축원하고 빈다. 복제를 잘 지내면 하늘에서 [옥황상제](/topic/옥황상제)가 내려와 “야, 이 집이 제사를 잘 지냈구나.” 하고 물을 잘 내려주고 복을 내려줘서 농사가 잘된다고 한다.

유월유두에도 복제를 지낸다. 먼저 집안의 [세존단지](/topic/세존단지) 앞에서 백설기를 시루째 놓고 제사를 지낸 다음 그 떡을 썰어서 논이나 밭에 가져가 깃대를 꽂고 떡을 조금씩 뜯어서 논밭에 둔다.

세존은 농사신으로서 집안의 농사를 관장하는 신이다. 예부터 유월유두에는 세존 앞에서 제사를 지냈다. 복제는 논이나 밭에 깃대를 꽂고 들신에게 지내는 것이다. 복제이기 때문에 초복에 지내는 사람도 있다. 깃대는 논과 밭마다 꽂아 놓는다. 축원은 금년에 행운을 주고, 대주 생기를 주고, 농사가 잘되게 해 달라고 한다. 세존은 도장이나 [윗방](/topic/윗방)의 [살강](/topic/살강) 위에다 항아리에 벼 또는 곡식을 가득 넣어서 모신다. ‘세존할미’라고 하는 것을 보아 여신일 가능성이 크다. 가을에 추수를 하면 세존단지에 햇벼를 가득 채운다. 이 벼는 유월유두날 꺼내 찧어서 복제를 지낸다.

강원도나 경상도지역의 경우 복제를 지낼 때 삼대나 수숫대, 미루나무대, 버드나무대를 삼발이처럼 묶어세우고 그 위에 제물을 올리거나 막대기에 떡을 꿰어 두기도 한다. 이 대에는 흰 종이나 천을 매달아서 제사를 마친 뒤에도 치우지 않고 논 가운데나 [물꼬](/topic/물꼬) 앞에 꽂아 두어 제사 지냈음을 표시한다. 경북 예천군 예천읍 왕신1리 새터에서는 용제에서 [솔가지](/topic/솔가지)를 꺾어다가 종이를 붙여서 논 가운데나 두렁에 꽂고 그 위에 제물을 마련한다. 울진군 울진읍 온양2리에서는 특별히 ‘노티’라는 전을 부쳐 제사를 지낸다. 꼬챙이에 종이를 달아 논 가운데 꽂아 두고 그 아래에 구멍을 파서 종이에 싼 노티(전)를 묻는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지역에서는 초복을 맞아 [농신제](/topic/농신제) 또는 복제라 하여 기름 냄새가 나는 떡을 만들어 가장 큰 논(밭) 중앙에 1m 정도의 버드나무대를 삼발로 묶어세운 뒤 그 위에 음식을 올려놓고 흰 천을 매달아 한 해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이날 하루는 일꾼들을 잘 대접했다고 한다.

충남지역에서는 집안의 남자 어른이 대나무를 잘라 다듬어 소지나 [무명](/topic/무명)천을 감아 복대를 만든다. 복제를 지낼 때 논밭의 중간이나 물꼬에 복대를 꽂는다. 그러고 나서 음식을 조금씩 떼어 복대 앞에 두거나 땅에 묻는다.
참고문헌삼척민속지 1~7 (김진순, 삼척문화원, 1997~2008)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여름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내용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마차리에서는 복제를 지낼 때 싱싱한 뽕나무 [가지](/topic/가지)를 베어서 여기에 소지([한지](/topic/한지))를 묶어 복대를 만든다. 이 복대는 복제를 지낼 때 논두렁에 깊이 꽂아 둔다. 삼척시 도계읍 상덕리에서는 집에서 부치는 밭 가운데 가장 큰 밭으로 나가 귀퉁이에 싸릿대로 만든 복대를 꽂고 복제를 지냈다. 복대는 주로 싸리나무로 만든다. 주변에서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싸리나무를 1m 정도 크기로 잘라 깃대를 만들고, 한지를 성인 남자 두 뼘 정도의 길이로 잘라서 깃대 끝에 묶어 매달았다. 복제를 지내러 갈 때 주로 아이들이 따라 갔으며, 복대의 길이는 어린아이의 키와 비슷했다. 밭에 꽂혀 있는 복대는 복제를 지냈다는 표시라고 한다. 복대는 인위적으로 없애지 않고 비바람에 자연스럽게 없어지도록 그냥 두었다.

강원도 삼척지역에서는 초복에 [노티](/topic/노티)를 구워 복제를 지낸다. 노티는 뒤집은 솥뚜껑 위에 기름을 바른 뒤 [수수](/topic/수수)쌀 등의 찰곡가루 반죽을 조금 떼어 얇고 넓게 펴서 구운 떡이다. 깃대는 한지를 길쭉하게 오려서 나무 막대에 매달아 만든다. 복제는 논이나 밭에 깃대를 꽂은 다음 노티를 놓고 “논에는 국가용신, 밭에는 사신용신 그저 이 떡을 받아 잡숫고 그저 나락이 한 가지에 천천만 가지 열게 해 주시오. 국가용신이오.” 하면서 빈다.

초복뿐만 아니라 중복, 말복에도 복제를 지낸다. 종이를 대꼬챙이나 싸리꼬챙이에 매어서 깃대를 만들어 밭두렁이나 논두렁에 가져다 꽂고, 떡을 뜯어 바치며 지낸다. 금년에 농사를 대풍장으로 이루게 해 달라든지 나락이 아주 잘 여물게 해 달라면서 축원하고 빈다. 복제를 잘 지내면 하늘에서 [옥황상제](/topic/옥황상제)가 내려와 “야, 이 집이 제사를 잘 지냈구나.” 하고 물을 잘 내려주고 복을 내려줘서 농사가 잘된다고 한다.

유월유두에도 복제를 지낸다. 먼저 집안의 [세존단지](/topic/세존단지) 앞에서 백설기를 시루째 놓고 제사를 지낸 다음 그 떡을 썰어서 논이나 밭에 가져가 깃대를 꽂고 떡을 조금씩 뜯어서 논밭에 둔다.

세존은 농사신으로서 집안의 농사를 관장하는 신이다. 예부터 유월유두에는 세존 앞에서 제사를 지냈다. 복제는 논이나 밭에 깃대를 꽂고 들신에게 지내는 것이다. 복제이기 때문에 초복에 지내는 사람도 있다. 깃대는 논과 밭마다 꽂아 놓는다. 축원은 금년에 행운을 주고, 대주 생기를 주고, 농사가 잘되게 해 달라고 한다. 세존은 도장이나 [윗방](/topic/윗방)의 [살강](/topic/살강) 위에다 항아리에 벼 또는 곡식을 가득 넣어서 모신다. ‘세존할미’라고 하는 것을 보아 여신일 가능성이 크다. 가을에 추수를 하면 세존단지에 햇벼를 가득 채운다. 이 벼는 유월유두날 꺼내 찧어서 복제를 지낸다.

강원도나 경상도지역의 경우 복제를 지낼 때 삼대나 수숫대, 미루나무대, 버드나무대를 삼발이처럼 묶어세우고 그 위에 제물을 올리거나 막대기에 떡을 꿰어 두기도 한다. 이 대에는 흰 종이나 천을 매달아서 제사를 마친 뒤에도 치우지 않고 논 가운데나 [물꼬](/topic/물꼬) 앞에 꽂아 두어 제사 지냈음을 표시한다. 경북 예천군 예천읍 왕신1리 새터에서는 용제에서 [솔가지](/topic/솔가지)를 꺾어다가 종이를 붙여서 논 가운데나 두렁에 꽂고 그 위에 제물을 마련한다. 울진군 울진읍 온양2리에서는 특별히 ‘노티’라는 전을 부쳐 제사를 지낸다. 꼬챙이에 종이를 달아 논 가운데 꽂아 두고 그 아래에 구멍을 파서 종이에 싼 노티(전)를 묻는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지역에서는 초복을 맞아 [농신제](/topic/농신제) 또는 복제라 하여 기름 냄새가 나는 떡을 만들어 가장 큰 논(밭) 중앙에 1m 정도의 버드나무대를 삼발로 묶어세운 뒤 그 위에 음식을 올려놓고 흰 천을 매달아 한 해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이날 하루는 일꾼들을 잘 대접했다고 한다.

충남지역에서는 집안의 남자 어른이 대나무를 잘라 다듬어 소지나 [무명](/topic/무명)천을 감아 복대를 만든다. 복제를 지낼 때 논밭의 중간이나 물꼬에 복대를 꽂는다. 그러고 나서 음식을 조금씩 떼어 복대 앞에 두거나 땅에 묻는다.
참고문헌삼척민속지 1~7 (김진순, 삼척문화원, 1997~2008)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여름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형태복대는 나무 막대와 [한지](/topic/한지)로 만든다. 나무 막대의 재료로는 대나무, 삼대, 수숫대, 미루나무, 버드나무, 뽕나무대, [솔[가지](/topic/가지)](/topic/솔가지), 싸리나무 등 다양하다. 재료가 특별히 정해져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깃발로는 주로 한지를 많이 사용하며 흰 [무명](/topic/무명)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깃대는 논에 있는 벼보다 약간 높게 만든다. 전체 길이는 보통 1m 안팎이다. 깃대에 꽂는 종이는 좁고 길게 오려서 나무 막대 끝이나 나뭇가지에 묶어 놓는다.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복대는 깃대로 사용하며, 제물을 바칠 때는 제단 역할도 한다. 즉 세 개의 대를 삼발이처럼 묶어서 세우고 그 위에 제물을 바치기도 하며, 나무 막대 끝에 떡이나 전을 끼워서 세우기도 한다.
형태복대는 나무 막대와 [한지](/topic/한지)로 만든다. 나무 막대의 재료로는 대나무, 삼대, 수숫대, 미루나무, 버드나무, 뽕나무대, [솔[가지](/topic/가지)](/topic/솔가지), 싸리나무 등 다양하다. 재료가 특별히 정해져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깃발로는 주로 한지를 많이 사용하며 흰 [무명](/topic/무명)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깃대는 논에 있는 벼보다 약간 높게 만든다. 전체 길이는 보통 1m 안팎이다. 깃대에 꽂는 종이는 좁고 길게 오려서 나무 막대 끝이나 나뭇가지에 묶어 놓는다.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복대는 깃대로 사용하며, 제물을 바칠 때는 제단 역할도 한다. 즉 세 개의 대를 삼발이처럼 묶어서 세우고 그 위에 제물을 바치기도 하며, 나무 막대 끝에 떡이나 전을 끼워서 세우기도 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