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서울의 북쪽인 구파발 지역에 전승되는 무가를 비롯한 무속의 여러 특징적인 문서. 구파발이라고 해서 구파발 지역에만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무악](/topic/무악)재 너머의 서울 북쪽 지역까지를 포함한다. |
---|---|
mp3Cnt | 0 |
wkorname | 홍태한 |
정의 | 서울의 북쪽인 구파발 지역에 전승되는 무가를 비롯한 무속의 여러 특징적인 문서. 구파발이라고 해서 구파발 지역에만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무악](/topic/무악)재 너머의 서울 북쪽 지역까지를 포함한다. | 내용 | 서울 지역의 무속이 지금은 획일화되었지만 과거에는 동서남북이 모두 달랐다. 동쪽의 [왕십리본](/topic/왕십리본), 서쪽의 [노들본](/topic/노들본), 북쪽의 구파발본은 지역성의 대표적인 양상들이다. 이중 동쪽의 왕십리본과 서쪽의 노들본은 서울굿을 담당하는 무속인들도 그 차이를 인정하고 있으며, 실제로 굿거리나 [사설](/topic/사설), [춤사위](/topic/춤사위) 등을 중심으로 차이점이 규명된 바 있으나 구파발본은 아직 본격적으로 해명된 것이 없다. 이것은 구파발본을 대표할 수 있는 무당이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동쪽과 서쪽에 비해 서울굿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작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파발본이라고 하면 경기도 북쪽 무속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했다. 구파발 지역에 거주하는 무당들의 활동범위가 고양, 파주, 문산에까지 이르고 있기 때문에 서울굿이라기보다 경기굿으로 여긴 것이다. 하지만 서울 무가에 나오는 구파발 [금성당](/topic/금성당)이 지금도 남아 있고 은평구의 사신당이 오랫동안 서울 무속의 중심지 역할을 해온 것을 고려할 때 구파발본의 특징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까지 조사된 구파발본의 특징은 미미하다. 서울 대부분 지역의 굿판에서 사용하는 [대신칼](/topic/대신칼)에 [한지](/topic/한지)를 길고 가늘게 오려 여러 가닥 매어 놓았으나 구파발 지역만큼은 [오색천](/topic/오색천)을 길고 가늘게 오려 매어 놓았다는 점, 서사무가 에서 버림받은 바리공주가 다시 부모를 찾은 후 약수를 구하러 서천으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신령스러운 존재가 호랑이로 변한 산신이라는 점 등에서만 차이가 있다. 다른 서울 지역의 에서는 부처님을 만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동쪽의 서울굿과 서쪽의 서울굿의 차이가 동쪽제, 서쪽제라고 불릴 정도로 확연한 것을 감안하면 구파발본도 분명히 특징적인 면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 구파발본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 참고문헌 | 서울굿의 양상과 의미 (홍태한, 민속원, 20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