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은진오기굿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인 진오기굿의 한 종류. 망자가 죽은 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으로, 대개 [탈상](/topic/탈상) 이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을 ‘묵은진오기굿’이라고 부른다.
definition
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인 진오기굿의 한 종류. 망자가 죽은 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으로, 대개 [탈상](/topic/탈상) 이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을 ‘묵은진오기굿’이라고 부른다.
mp3Cnt
0
wkorname
홍태한
정의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인 진오기굿의 한 종류. 망자가 죽은 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으로, 대개 [탈상](/topic/탈상) 이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을 ‘묵은진오기굿’이라고 부른다.
내용묵은진오기굿은 마른진오기굿이라 불러 [탈상](/topic/탈상) 이전에 행하는 [진진오기굿](/topic/진진오기굿)과 구별하기도 한다. 묵은진오기굿은 재수굿과 진오기굿이 결합된 모습이다. 전반부가 재수굿의 제차에 따라 굿을 연행한다면 후반부는 진오기부정을 물리고 진오기굿을 진행한다. 이러한 묵은진오기굿이 언제부터 연행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무속인들은 묵은진오기굿을 안안팎굿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꽁지가 달렸다”라고도 불러 묵은진오기굿의 특징을 드러낸다. 서울 지역에서 산 자들의 복을 기원하고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두 [가지](/topic/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행되는 굿으로 서울굿의 역사만큼 오래된 것으로 보이나 문헌적인 근거는 제시하기 어렵다.묵은진오기굿의 제차는 다음과 같다. 주당물림, 부정청배, [가망](/topic/가망)청배, 불사, 산, 조상, 대안주, 성주, 창부, 안당뒷전, 진오기부정, 뜬대왕, [사재삼성](/topic/사재삼성), 말미, [도령돌기](/topic/도령돌기), 상식, 베가르기, 뒷영실, 시왕군웅, 뒷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묵은진오기굿은 크게 이승굿과 저승굿으로 대별된다. 이승굿은 주당물림부터 창부까지로, 이승의 여러 신령을 청배하여 [재가집](/topic/재가집)의 복을 기원한다. 뜬대왕부터의 저승굿에서 비로소 망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의식을 거행한다. 묵은진오기굿의 전반부에서 이승굿의 모습을 확연하게 드러내는 것은 조상거리이다. 진진오기굿에서는 망자의 혼령을 불러들여 위로하고 저승 천도를 기원하는 영실거리를 연행하지만 묵은진오기굿에서는 선대 조상을 모두 불러들여 복을 기원한다. 이런 점에서 진진오기굿이 망자 중심이라면 묵은진오기굿은 여러 조상을 함께 청배하여 복을 기원하는 살아 있는 사람 중심의 굿이다.

묵은진오기굿이 재수굿의 성격을 드러내는 점은 굿을 의뢰한 재가집의 특성에서도 확인된다. 묵은진오기굿을 의뢰한 재가집은 무당의 권유에 의해 경제적 어려움 없이 굿을 하는 사례가 많았고, 망자의 극락왕생보다는 산 자의 재수 소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 따라서 후반부의 저승굿인 사재삼성, 말미, 도령돌기 등 진오기굿의 중요 절차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비록 조상을 천도한다는 목적에서 진오기굿을 의뢰했지만 굿을 하는 목적은 산 자들의 재수 소망이기 때문이다.

묵은진오기굿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거리는 불사, 산, 성주이다. 진진오기굿에서 연행하지 않는 불사거리를 묵은진오기굿에서 연행하는 이유는 망자를 이미 죽음의 세계에 편입된 사람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미 죽음의 세계에 편입된 망자이기 때문에 비린 것을 꺼리는 불사신령이 거리낌 없이 진오기굿판에 올 수 있다. 반면에 진진오기굿에서는 아직 망자가 죽음의 세계에 편입되지 않았으므로 망자의 육신은 여전히 이승에 남아 있고, 이것은 글자 그대로 하나의 육신(고기)에 불과하여 불사거리를 연행하지 않는다. 묵은진오기굿은 망자가 완전히 저승에 포함된 존재기 때문에 망자보다 산 자 중심으로 굿이 진행되어 불사거리를 연행한다. 산거리에서도 묵은진오기굿의 성격이 드러난다. 산거리에서 모셔지는 신은 도당, 본향으로 불리는 신격이다. 이들은 모두 지역신을 의미한다. 망자가 이미 저승의 세계로 들어간 묵은진오기굿의 경우에는 저승과 이승의 확연한 구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굿의 전반부에 도당을 모시는 굿거리가 진행된다.

묵은진오기굿이 산 자 중심의 굿이기 때문에 산 자들의 삶의 터전인 도당에 대한 언급이 필요함으로써 한 거리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산거리가 그러하듯이 이 경우에는 여러 신이 꺾여 들어온다. [도당신](/topic/도당신)장, 도당대감, 도당호구 등의 여러 신이 들어오고, 이들이 주는 공수는 대개 산 자들의 복을 빌어주는 것이 주 내용이다. 그러나 아직 죽은 자가 저승으로 떠나지 않은 진진오기굿에서는 도당거리가 연행될 필요가 없다. 이 굿에서는 죽은 자를 가능한 한 무사하고 빠르게 저승으로 천도시켜야 한다. 이런 경우에 도당거리는 오히려 죽은 자의 발목을 잡을 뿐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주거리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가옥신 중에서 제일 높은 신으로 여겨지는 성주신도 산 자를 위하여 존재하는 신이기 때문에 묵은진오기굿에서는 하나의 굿거리로 존재할 수 있지만 진진오기굿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묵은진오기에서 부정과 뒷전이 두 번 존재하는 것도 동일한 의미이다. 진진오기굿은 죽은자를 위한 굿이어서 모든 굿이 죽음을 향해 있다. 반면에 묵은진오기굿은 죽은 자의 천도와 산 자의 재수 소망을 함께 이루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산 자를 위한 부정과 뒷전이 한 번 있고 죽은 자를 위한 부정과 뒷전이 다시 한 번 있다. 안당사경이 산 자를 위한 굿이다. 이런 다음에 죽은 자를 위한 진오기굿이 다시 이어진다.

뒷전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발견된다. 먼저 묵은진오기굿의 뒷전을 고찰하면 걸립, 지신, 터주, 업신, 맹인, 서낭을 안당뒷전에서 풀은 후 진오기 뒷전에서는 영산과 상문을 따로 풀어낸다. 이러한 묵은진오기굿에서는 맹인을 비롯한 여러 신격을 놀리기 위한 타령도 있어 흥을 돋운다. 걸립공수, 터줏대감공수가 이어지면서 터주타령이 이어진다. 터주타령은 “어떻게 좋은지도 모르겠네 어둠충충 야밤삼경에 자취를 뵈시던 내 대감님...”으로 이어지는 타령이다. 그런 다음 지신공수가 주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경닫이타령이 이어지기도 한다. 지경닫이타령의 존재는 묵은진오기굿이 결코 망자를 위한 굿만이 아님을 알려준다. 다음으로 장님재담과 맹인타령이 이어진다. 그다음으로 서낭을 모시고 영산과 수비를 논다. 이러한 묵은진오기굿 부정은 재수굿의 뒷전과 매우 흡사하다. 굿판에 들어오지 않은 여러 신격을 불러 모시는 것은 그 신격들이 살아 남은 사람들에게 어떤 해코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면 이 또한 산 자를 위한 굿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진진오기굿에서의 뒷전은 분량이나 구송 시간이 매우 짧아 여러 [재담](/topic/재담)이나 타령은 빠지고 서낭을 불러 먹인 후 곧장 영산, 상문, 수비만을 모신다. 진진오기굿 뒷전에서는 산 자보다 죽은 자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하위 신격인 영산, 상문, 수비만을 청배한다. 묵은진오기굿은 저승에 있는 망자의 혼을 불러내 다시 씻어서 저승으로 보내는 굿이라고 할 수 있다. 이승의 존재와 저승의 존재는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다. 이승에 살고 있는 존재를 위한 굿을 먼저 진행하고 저승에 존재하는 망자의 혼을 불러와 다시 씻어서 보낸다.

묵은진오기굿에서는 망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드러난다. 망자는 죽은 지 오래되어 저승에 가있는 존재여서 만에 하나 망자가 존재가 이승에 남은 사람들에게 어떤 우환을 끼칠까 저어하여 행하는 것이 묵은진오기굿이다. 묵은진오기굿은 저승과 이승이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어 우선 산 자들의 복을 빌어 주는 의식을 진행하고 나서야 본격적인 망자를 천도하는 거리로 들어간다. 묵은진오기굿은 이승과 저승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분 속에 저승에 간 망자를 다시 불러 한을 풀게 한 후 보낸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인들은 저승에 가 있는 혼령이라도 이승에 있는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를 다시 불러내 온전하게 천도시켜야 뒤탈이 없는 것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서울진오기굿 (홍태한, 민속원, 2004)
서울지역 안안팎굿 무가자료집 (김헌선, 보고사, 200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