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6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1006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의 [흠향](/topic/흠향)을 위해, 혹은 특정 대상신에게 부정(不淨)행위를 하여 주재집단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바치는 [제물](/topic/제물).
  • 고사
    1005 2023.02.27
    집안의 성주, 터주, 제석, 삼신, 조왕 등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 남이장군사당제
    1004 2023.02.27
    남이[장군](/topic/장군) [사당](/topic/사당)에서 열리는 [마을](/topic/마을)제의. 이 제의는 일 년에 한 번 음력으로 4월 초하루에 소제로 유가제를 지내고, 음력 10월 상달 초하루에 대제를 올린다. 대제는 5일간의 대규모로 진행하며, 현재 양력의 축제로 전환되었다. 이를 달리 ‘용문동부군당굿’이라고도 한다. 남이장군사당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 106[번지](/topic/번지)에 있다. 이 굿은 1999년 7월 1일에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으며, 예능보[유자](/topic/유자)는 [이명옥](/topic/이명옥)(李明玉)이다.
  • 거리밥
    1002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마지막 제차인 [거리굿](/topic/거리굿)을 할 때 굿판에 놀러온 여러 잡귀와 잡신을 풀어먹이기 위해 큰 통 또는 그릇에 한데 섞은 [제물](/topic/제물) 음식.
  • 객귀밥
    1002 2023.02.27
    개인이 [고사](/topic/고사)나 제사를 지낸 후나 무속에서 굿의 맨 마지막에 객귀들을 위해 차려놓는 [제물](/topic/제물). 객귀는 객사하거나 횡사 또는 [옥사](/topic/옥사)해서 원한이 맺혀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하고 이승에 떠돌며 인간을 가해하는 잡신을 말한다. 객귀밥은 치밥(키밥), 물밥, 물귀밥, 물앞, 까치밥, 바가치밥(바가지밥), 뒷밥, 뒷전밥, [거리밥](/topic/거리밥)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를 차린 상은 객귀상, [뒷전상](/topic/뒷전상), [사자상](/topic/사자상), 손님상 등으로 불린다.
  • 걸립신
    1001 2023.02.27
    한국 무(巫)의 신격 중 하나. 주로 굿의 뒷전에 모시는 하위신으로 분류된다.
  • 거령산
    996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굿에서 양중이 [장삼](/topic/장삼)에 [고깔](/topic/고깔)을 쓰고 추는 춤과 이를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명칭.
  • 고수레
    995 2023.02.27
    사람이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 떼어 허공에 던지면서 “고[수레](/topic/수레)”라고 외치는 민간신앙 행위.
  • 공창무
    993 2023.02.27
    입을 벌리지도 않아도 공중에서 소리가 들리도록 하는 술법을 사용하는 무당.
  • 고추
    989 2023.02.27
    아들이 출생하거나 환자가 발생할 때 부정을 씻기 위해 사용한 벽사물.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동해리에서 19세기 산신제의 전승을 목적으로 산향계를 조직하고 그 운영내력을 기록한 문서.
  • 개성 덕물산에 있는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모시는 신당. 덕물산은 개성 동남 2리에 위치한 해발 200m 정도의 야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경기도 풍덕군(豊德郡)의 관아가 있는 곳에서 동쪽으로 30리 지점에 있다고 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세동리에서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 19세기 후반 산향계를 조직하고 운영해 온 문서.
  • 남해안별신굿
    986 2023.02.27
    거제·통영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마을](/topic/마을)과 도서지역에서 행하여지는 마을굿. 이 굿은 1987년 7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라호’로 지정되었다.
  • 걸립명두
    982 2023.02.27
    [걸립신](/topic/걸립신)을 위한 명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