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
---|---|
mp3Cnt | 0 |
wkorname | 이경엽 |
정의 |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 내용 | 영돈은 망자의 영혼을 씻겨 주는 절차에서 사용된다. 무녀는 영돈 앞에서 신칼로 솥뚜껑을 두드리며 망자의 넋을 청배하고, 향물·쑥물·맑은물을 차례로 빗자루에 적셔 위로부터 아래로 골고루 닦아주며 망자의 천도를 비는 축원을 한다. 이어 [한지](/topic/한지)를 솥뚜껑 위에 놓고 불을 붙여 태운다. 종교적으로 물과 불은 정화력을 가진 것으로 설명되는데, 씻김에서는 물과 불로 망자가 지니고 있는 이승의 잔재와 더러움을 씻어내고자 한다. 특히 물은 중요한 매개물로 사용되며, 향물·쑥물·[정화수](/topic/정화수)는 물의 일반적인 정화력을 강화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씻김은 사람의 죽음을 부정(不淨)하다고 여기는 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정한 영혼이 저승에 곧바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절차를 밟아서 부정을 씻어줘야 저승에 제대로 갈 수 있다고 여긴다. 씻김이란 절차가 씻김굿이라는 전체 굿의 이름으로도 사용되는 것은 그만큼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영돈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생활 용구를 의례적(儀禮的)인 무구로 사용하는 사례이다. 돗[자리](/topic/자리), 밥그릇, 솥뚜껑, 누룩, 옹기 등은 굿을 위해 따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굿 의뢰자가 사용하던 물건들이다. 생활 도구를 영돈이라는 무구로 용도를 바꾸고 거기에 의례 행위와 관념을 더함으로써 씻김이라는 종교적 상징과 신성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 | 참고문헌 | 씻김굿 (이경엽, 한얼미디어,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무속의 물질문화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형태 | 영돈은 제작하는 재료에 따라 돗[자리](/topic/자리)형과 옹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돗자리형은 바닥에 돗자리를 깔고 그 위에 망자의 옷을 펼쳐 놓고 그것을 둘둘 말아 일곱 매듭으로 묶어 세워 놓는다. 그 위에 ‘넋’을 담은 밥그릇을 놓고 그 위에 누룩과 솥뚜껑을 놓는 방법으로 만든다. 이렇게 만든 것을 영돈말이 또는 영돗말이, 영말이라고 한다. 아래로부터 [양말](/topic/양말), 하의, 상의 순으로 옷을 놓고 그 위에 넋그릇, 솥뚜껑을 놓은 형태를 두고 사람의 신체 형상이라고 설명한다. 그래서 영돈을 ‘망인(亡人)’이라고 호칭하는 경우도 있다. 옹기형은 작은 옹기 안에 망자 옷과 넋그릇을 넣고 그 위에 솥뚜껑을 얹은 형태이다. 분포로 보면 돗자리형이 훨씬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옹기형은 전남 동부와 전북 북부 일대에서 주로 사용된다. |
---|
전북대 석사논문 | 한국마을굿에 대한 민족연극학적 연구 | 김월덕 | 1996 | 대원사 | 한국의 풍어제 | 하효길 | 1998 | 국립문화재연구소 | 위도띠뱃놀이 | 김익두 외 | 20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