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황해도지역 사람들이 많이 믿으면서 경기도 서해안지역 뱃사람들이 모시는 특징적인 신. 애기씨 서낭, 소당 애기씨 등으로도 불린다. |
---|---|
mp3Cnt | 0 |
wkorname | 김지욱 |
정의 | 황해도지역 사람들이 많이 믿으면서 경기도 서해안지역 뱃사람들이 모시는 특징적인 신. 애기씨 서낭, 소당 애기씨 등으로도 불린다. | 정의 | 황해도지역 사람들이 많이 믿으면서 경기도 서해안지역 뱃사람들이 모시는 특징적인 신. 애기씨 서낭, 소당 애기씨 등으로도 불린다. | 내용 | 애기씨는 집안 조상 중 비운에 죽은 여자로, 애기씨의 신체(神體)는 싸리로 만든 [고리짝](/topic/고리짝)에 담아서 모셔 놓는다. 매년 정초나 가을에 노구메를 올릴 때 함께 위한다. 경기도 서해안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 지역 뱃사람들은 출어할 때 배 안에 ‘애기씨’를 모신다. 이때 작은 상자에 여자 옷감이나 실 등을 넣어둔다. 애기씨가 여자이기 때문이다. 황해도지역 피란민들은 덕적도에 정착해서도 그들이 고향에서 모신 신을 따로 모셨다. | 내용 | 애기씨는 집안 조상 중 비운에 죽은 여자로, 애기씨의 신체(神體)는 싸리로 만든 [고리짝](/topic/고리짝)에 담아서 모셔 놓는다. 매년 정초나 가을에 노구메를 올릴 때 함께 위한다. 경기도 서해안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 지역 뱃사람들은 출어할 때 배 안에 ‘애기씨’를 모신다. 이때 작은 상자에 여자 옷감이나 실 등을 넣어둔다. 애기씨가 여자이기 때문이다. 황해도지역 피란민들은 덕적도에 정착해서도 그들이 고향에서 모신 신을 따로 모셨다. | 지역사례 | 경기도 서해안지역에서는 애기씨의 신체로 싸리로 만든 [고리짝](/topic/고리짝)을 사용한다. 이것을 [시렁](/topic/시렁)에 얹고 그 앞에 종이를 건다. 해마다 가을이 되면 그 안에 실과 여자 옷 등을 갈아 넣는다. 귀신을 모신 [바구니](/topic/바구니)라고 하여 이를 ‘귀신동구리’라고 부른다. 고리짝 앞에는 흰 종이를 한 장씩 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도에 살고 있는 황해도 출신 사람들은 집이나 그들의 배에 애기씨 서낭을 모셨다. 고리짝에 돈, 옷감을 넣어서 [안방](/topic/안방) 위에 모셔두고 함부로 건들지 않는다. 애기씨는 여신이기 때문에 [색동저고리](/topic/색동저고리)나 실을 담아서 모신다. 한편 도련님을 모시는 집들도 있다. 이 경우 작은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지어 신체로 모신다. 신체는 대체로 갓난아기가 입을 정도의 크기이다. 신체는 해마다 교체한다. 섣달그믐이 되면 그동안 모셔놓은 옷을 [마당](/topic/마당) 깨끗한 장소에서 불태우고 다시 새것을 장만해 갈아 넣는다. 종이상자에 돈과 옷감을 넣어서 모시는 사람도 있다. 옹진군 연평도에서도 애기씨를 모신다. 이곳에서는 집안 조상 중 비운에 죽은 여자로 상정한다. 억울하게 죽은 남자 조상은 도련님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애기씨를 모시는 집은 많아도 도련님을 모시는 집은 흔하지 않다. 도련님은 주로 무당 집에서 모시고 여느 가정에서는 잘 모시지 않는다. 애기씨의 신체는 싸리로 만든 고리짝이다. 이 안에 실과 여자 옷을 넣어둔다. 이것을 시렁 위에 얹고 고리짝 앞에 흰 종이를 한 장씩 걸어둔다. 해마다 흰 종이를 걸기 때문에 여러 장이 겹쳐있기도 한다. 일부 사람들은 이 흰 종이가 성주라고도 하지만 정확하진 않다. 신체는 매년 가을에 새로 갈아 넣는다. 이 밖에 뱃사람들은 출어할 때 배 안에 ‘애기씨’를 모신다. | 참고문헌 |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지역사례 | 경기도 서해안지역에서는 애기씨의 신체로 싸리로 만든 [고리짝](/topic/고리짝)을 사용한다. 이것을 [시렁](/topic/시렁)에 얹고 그 앞에 종이를 건다. 해마다 가을이 되면 그 안에 실과 여자 옷 등을 갈아 넣는다. 귀신을 모신 [바구니](/topic/바구니)라고 하여 이를 ‘귀신동구리’라고 부른다. 고리짝 앞에는 흰 종이를 한 장씩 건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도에 살고 있는 황해도 출신 사람들은 집이나 그들의 배에 애기씨 서낭을 모셨다. 고리짝에 돈, 옷감을 넣어서 [안방](/topic/안방) 위에 모셔두고 함부로 건들지 않는다. 애기씨는 여신이기 때문에 [색동저고리](/topic/색동저고리)나 실을 담아서 모신다. 한편 도련님을 모시는 집들도 있다. 이 경우 작은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지어 신체로 모신다. 신체는 대체로 갓난아기가 입을 정도의 크기이다. 신체는 해마다 교체한다. 섣달그믐이 되면 그동안 모셔놓은 옷을 [마당](/topic/마당) 깨끗한 장소에서 불태우고 다시 새것을 장만해 갈아 넣는다. 종이상자에 돈과 옷감을 넣어서 모시는 사람도 있다. 옹진군 연평도에서도 애기씨를 모신다. 이곳에서는 집안 조상 중 비운에 죽은 여자로 상정한다. 억울하게 죽은 남자 조상은 도련님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애기씨를 모시는 집은 많아도 도련님을 모시는 집은 흔하지 않다. 도련님은 주로 무당 집에서 모시고 여느 가정에서는 잘 모시지 않는다. 애기씨의 신체는 싸리로 만든 고리짝이다. 이 안에 실과 여자 옷을 넣어둔다. 이것을 시렁 위에 얹고 고리짝 앞에 흰 종이를 한 장씩 걸어둔다. 해마다 흰 종이를 걸기 때문에 여러 장이 겹쳐있기도 한다. 일부 사람들은 이 흰 종이가 성주라고도 하지만 정확하진 않다. 신체는 매년 가을에 새로 갈아 넣는다. 이 밖에 뱃사람들은 출어할 때 배 안에 ‘애기씨’를 모신다. | 참고문헌 |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
신구문화사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 현용준 | 1980 | 민속원 |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 진성기 | 199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