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굿놀이](/topic/굿놀이)인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남무(男巫) 가운데 한 사람이 ‘싹불이’라는 극 중 인물로 가장하기 위하여 얼굴에 쓰는 탈. |
---|---|
mp3Cnt | 0 |
wkorname | 김신효 |
정의 |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굿놀이](/topic/굿놀이)인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남무(男巫) 가운데 한 사람이 ‘싹불이’라는 극 중 인물로 가장하기 위하여 얼굴에 쓰는 탈. | 내용 | [탈굿](/topic/탈굿)에서 싹불이는 신체적 장애와 지적 수준이 모자라는 인물로 그려진다. 싹불이는 바람난 아버지를 찾아 나서며, 짚으로 엮은 봇짐을 메고 머리에는 모자를 쓰거나 수건을 두른다. 탈이 인물의 성격을 좀 더 효과적으로 드러내는데 있다면, 싹불이탈은 비정상적인 모습과 눈물자국으로 인하여 싹불이가 겪어온 힘든 삶을 미리 짐작할 수 있다. 탈굿의 [할미](/topic/할미)탈과 유사한 것은 모자관계를 드러내기 위함이다. 탈의 제작은 [별신굿](/topic/별신굿) 현장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제작 방법은 비교적 단순하다. 8절 크기의 마분지를 접은 다음 가위로 오려내어 얼굴 형태를 만든다. 펼친 상태의 크기는 가로 30㎝, 세로 25.5㎝이다. 눈과 입을 오려내고 코를 붙인다. 탈의 위, 아래를 조금 잘라 가운데를 접어 입체감을 준 다음 스테이플러로 고정시킨다. 외형이 갖추어지면 검은색과 붉은색 매직펜으로 눈, 눈썹, 입, 귀 순으로 그리고 귀 근처를 뚫어 머리에 묶을 노끈을 매달면 탈이 완성된다. 탈은 탈굿을 연행할 때마다 새로 제작하며, 굿이 끝나면 소각한다. | 참고문헌 | 동해안 [탈굿](/topic/탈굿)의 변화양상과 축제성 (김신효,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형태 | 종이로 만든 탈은 크기가 가로 24㎝(귀를 뺀 크기는 19㎝), 세로 23㎝, 높이 8㎝ 이다. 흰색바탕에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으며, 반점을 그린 경우도 있다. 입은 중앙에서 왼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졌으며, 코 역시 삐뚤어[지게](/topic/지게) 붙여놓아 정상인이 아닌 모습을 하고 있다. 탈의 크기와 생김새는 만드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
---|
조선총독부 | 朝鮮巫俗の硏究 上 | 赤松智城ㆍ秋葉隆 | 1937 | 문화재관리국 | 관북지방무가 | 임석재ㆍ장주근 | 1965 | 신구문화사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 현용준 | 1980 | 태학사 | 손진태전집 5 | 손진태 | 1981 | 집문당 | 제주도 무속 연구 | 현용준 | 1986 | 길벗 | 한국의 창세신화 | 김헌선 | 1994 | 집문당 |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 | 김헌선 | 1995 | 태학사 | 한국창세서사시연구 | 박종성 | 1999 | 비교민속학회 | 무속의 천신의례에 관한 연구 | 황루시 | 2002 |
---|
싹불이가면 | 64666 싹불이가면 |
---|---|
싹불이가면 | 64665 싹불이가면 |
싹불이가면 | 64664 싹불이가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