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성주

한국무속신앙사전
종이성주
집(가옥) 안에서 모시는 성주신(城主神)의 신체.
definition
집(가옥) 안에서 모시는 성주신(城主神)의 신체.
mp3Cnt
0
wkorname
김기설
정의집(가옥) 안에서 모시는 성주신(城主神)의 신체.
정의집(가옥) 안에서 모시는 성주신(城主神)의 신체.
내용종이성주의 신체는 흰색 [한지](/topic/한지)를 여러 겹 접어서 [실타래](/topic/실타래)로 묶어 [안방](/topic/안방)이나 [대청](/topic/대청)[마루](/topic/마루) 또는 [부엌](/topic/부엌)에다 모신다. 성주신은 가택신으로 집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집 안에 머물고 있다. 집 안에는 여러 신이 있는데, 그 가운데 성주신이 으뜸이 되고, 집안의 제일 어른인 가장을 수호해 준다. 집안의 으뜸신인 성주신이 머무는 공간은 집 안에서 가장 높은 곳인 대청마루의 상량 위, 또는 안방이나 부엌에 있는 [대들보](/topic/대들보) 위 동자[기둥](/topic/기둥)이다. 특히 대청마루는 제사, 장례, 혼례, 생일잔치, 굿 등 집안에 큰일이 있을 때 행사를 치르는 중요하고도 신성한 공간이다.

배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종이성주를 배에다 모시는데, 배에 모시는 성주는 [배성주](/topic/배성주), 배서낭이라고 한다. 신체는 한지나 [청실홍실](/topic/청실홍실)을 기관실에 모시거나 배에 세운 깃발 또는 쌀을 넣은 단지 등에다 모신다. 배의 기관실은 배의 심장에 해당되는 중요한 곳으로 이곳에 있는 기계가 고장이 나면 배는 표류한다. 그렇게 되면 바다에서 조업하다가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을 수 있다. 배에서 이런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종이성주를 모시는데, 종이성주는 보통 처음에 매단 것을 그대로 쓰기도 하지만 매년 새로 갈기도 한다.

성주신을『신단실기(神壇實記)』,『[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등에서는 성조(成造)라고도 한다. 성주신은 집안(집터)에 있는 터주신, 제석신(帝釋神), 측신(廁神), 지신(地神), 업신, [칠성신](/topic/칠성신)(七星神), 조왕신(竈王神), 삼신(三神) 등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 가운데 가장 귀중하고 소중한 으뜸이 되는 신이다.
서사무가인 성줏굿에 보면 성주신을 모시는 경위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옛날 경상도 안동(안동시 이천동 연응사 일대)에서 태어난 성주는 [집짓기](/topic/집짓기)가 소원이어서 제비원에서 솔씨를 받아다가 심고, 집안에 터전을 잡은 다음 각도(各道)의 대목들을 부른다. 대목들은 산속에 들어가서 여러 계곡을 넘나들며 재목으로 쓸 좋은 나무를 벤다. 하지만 나무를 베기 전에 산신제를 지내지 않아서 도끼가 말을 잘 듣지 않는다. 주위에서 돈을 받아 산신제를 지낸 다음 다시 톱질을 하여 나무를 베는데, 나무를 베기 위해 여럿이 톱질을 하다 보니 그만 톱니가 빠져 못 쓰게 되었다. 역시 주위로부터 돈을 받아내어 톱날을 벼르고, 나무를 베어 집을 반듯하게 짓는다. 네 귀에 주춧돌이 반듯한 큰 집을 짓고 나니 온갖 세간이 불어나고, [곳간](/topic/곳간)도 가득히 채워져 잘살게 되었다.’ 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예전에 성주신을 모시는 집에 아들이 있었는데, 그 아들이 부모님 모르게 종이성주를 태웠다. 그런 다음 그날 저녁 아들이 갑자기 이상해졌다. 몸이 비틀려 잘 가누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고, 호흡까지 곤란해졌다. 가족들이 급히 병원으로 옮겼으나 병원에서는 무슨 병인지 알지 못했다. 아버지는 하도 답답하여 무속인을 찾아가서 물어 보았다.

“우리 아들이 갑자기 몸이 이상해져 병원으로 옮겼는데 무슨 병인지 모르겠 다.”

“집안에 모신 신위를 건드린 적이 있느냐?”

“아들이 방에 있는 종이성주를 태웠다.”

“그건 우리가 모시는 성주신인데, 왜 태웠느냐?”

“성주신을 위로하는 굿을 해야 한다.”고 하면서 굿을 했다. 굿을 하고 나니 아들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또 운수업을 하는 사람이 매년 일 년에 한 번씩 성주신을 모시고 산에 가서 치성을 드리는데, 사업이 잘될 때는 매년 같은 성주신을 모시고 가서 치성을 드리고, 사업이 잘 안 될 때는 성주신을 새로 바꿔서 치성을 드렸다. 그렇게 했더니 운수 사업이 계속 잘 되었다고 한다.

신체를 모시는 [봉안](/topic/봉안)을 ‘성주 옷 입힌다.’, ‘성주 맨다.’고 하는데 봉안은 아무 때나 하지 않고, 특별한 일이 있을 때 한다. 성주신은 집안에서 가장 높고, 가장 먼저 모시는 신이기 때문에 집을 새로 짓거나, 살림이 나서 새로 가정을 이뤄 새 집으로 갈 때, 또는 다른 집으로 [이사](/topic/이사) 갈 때, 집안에 우환이 자주 끼면 모시던 성주를 없애고, 새로운 성주를 만들어 모시기도 한다. 또 [마을](/topic/마을)에서 [별신굿](/topic/별신굿)이나 풍어제를 지낼 때는 굿을 할 때마다 한지로 성주신을 새로 만들어 붙인다. 이때 [서낭당](/topic/서낭당)에서 굿을 하면 서낭당에다 붙이고, 마을회관에서 굿을 하면 마을회관에다 붙인다.

집을 새로 지을 때는 상량고사를 지낸 뒤에 집주인이 종이에 실타래를 묶어 대들보에 매단다. 이때 [축문](/topic/축문)(상량축문)은 읽고 태운다. 상량식 때는 고사를 지내거나 굿을 하고 나서 모신다. 고사는 무격이나 무꾸리(점바치)를 모셔 지내는 경우도 있고, 집주인이 제주(祭主)가 되어 [비손](/topic/비손)을 하는 경우도 있다. 무격을 불러 굿을 할 때는 집을 지은 [목수](/topic/목수)도 함께 불러 무격과 지경을 다지는 흉내를 내면서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를 부른다. 한지는 대들보 위 기둥에 매달고 쌀독은 마루나 안방에 둔다. 이때 한지나 쌀독을 성주의 신체로 상징한다.

성주신을 모실 때는 집주인의 나이가 대체로 홀수일 때 모시는데, 특히 27살, 37살, 47살, 57살, 67살일 때 모신다. 27살 때는 2년 성주, 37살 때는 3년 성주, 47살 때는 4년 성주, 57살 때는 5년 성주, 67살 때는 6년 성주를 모신다. 이렇게 성주신을 모셔놓고 풀지 않고 그대로 모셔두었다가 집주인의 나이가 홀수에 드는 해, 특히 10년 주기가 되는 해에 다시 만들어 모신다.

이사할 때 종이성주는 산 속에다 매달아 놓고 간다. 어떤 지역에서는 불에 태워 땅속에 묻기도 한다. 또 집주인이 죽으면 땅에 묻어 없애고, 오랫동안 열어보지 않고 대우를 하지 않아 집안에 좋지 않은 일들이 생기면 태운다. 종이성주는 [아궁이](/topic/아궁이)에 넣지 않고 바깥에 나가 태우는데, 아궁이에다 태우면 며느리나 딸이 아기를 가졌을 때 성주신이 벌을 줘 어린아이에게 해가 끼쳐 소아마비에 걸린다고 한다.

종이성주를 태울 때는 손이 없는 방향으로 태운다. 1일과 2일에는 동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 3일과 4일에는 남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 5일과 6일에는 서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 7일과 8일에는 북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태운다. 9일과 10일에는 어느 쪽에도 손이 없기 때문에 동서남북 어느 방향으로 태워도 괜찮다.

[안택](/topic/안택)고사는 정초나 시월에 성주신을 모셔 놓고 지내는데, 집안이 평안하고 가족들이 건강하게 잘 지내게 해 달라고 지낸다. 정월 고사는 해가 바뀌어 한 해가 시작되는 정초에 지내는데, 이르면 설을 쇠고 그 이튿 날(음력 1월 2일)에 지내고, 늦으면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음력 1월 15일)에 지낸다. 또 가을 고사는 추수를 끝내고 시월상달에 지낸다. 정월은 한 해가 시작되는 달이고, 시월상달은 한 해 가운데 가장 좋은 달이다. 정월 고사는 한 해 동안 집안에 아무런 근심걱정이 없도록 기원하고, 농가에서는 한 해 농사에 풍년이 들길 기원한다. 시월 고사는 한 해 농사를 무사히 마치고 추수를 하여 결실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지낸다.

고사 일시는 집주인의 생기를 보고 받기 때문에 집안에 따라 다르다. 안택고사를 지내기 위해 날을 받으면 집주인은 [대문](/topic/대문) 앞 양쪽으로 붉은 흙을 여러 무더기 뿌리고, 왼쪽으로 꼰 새끼에 한지를 끼워 대문에다 [금줄](/topic/금줄)을 친다. 금줄을 쳐 외부인의 접근을 막고 외부의 잡귀들도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집주인은 제물을 준비하기 위한 나들이 외엔 집밖으로 나[가지](/topic/가지) 않는다. 고사는 해가 지면 종이성주가 있는 곳에서 지낸다. 종이성주는 집안이나 지역에 따라 좌정하는 위치가 다른 데, 주로 대청, 안방, 부엌에 좌정한다. 종이성주 밑에다 제단을 차리고 제사상 위에 촛불을 밝힌 다음 제물을 올린다. 제물은 술, 3실과([대추](/topic/대추)·밤·감), 3색 나물([시금치](/topic/시금치)·도라지·고사리), 3탕(어탕·소탕·육탕), 메, 국, 어물 또는 육고기, 백설기 등이다. 제주(祭主)는 집주인 또는 안주인이 되기도 하고, 치성을 드려주는 직업적인 사람인 무꾸리나 점바치가 되기도 하고, 무격이 되기도 한다.

집주인이 제주가 되어 지내는 고사에서는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놓고 비손을 한다. 비손을 하면서 가족수대로 소지를 올린다. 성주신은 한 분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정에서 비손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무꾸리나 점바치를 불러 지내는 고사에서는 무꾸리(점바치)는 징을 치며 경을 읊고, 무격은 [사설](/topic/사설)을 읊으며 굿을 한다. 이들은 가정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성주신께 가족들에게 끼는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깃들도록 빈다. 특히 농촌지역에서는 풍년, 어촌지역에서는 풍어, 상가에서는 사업의 흥성을 각각 기원한다.
내용종이성주의 신체는 흰색 [한지](/topic/한지)를 여러 겹 접어서 [실타래](/topic/실타래)로 묶어 [안방](/topic/안방)이나 [대청](/topic/대청)[마루](/topic/마루) 또는 [부엌](/topic/부엌)에다 모신다. 성주신은 가택신으로 집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집 안에 머물고 있다. 집 안에는 여러 신이 있는데, 그 가운데 성주신이 으뜸이 되고, 집안의 제일 어른인 가장을 수호해 준다. 집안의 으뜸신인 성주신이 머무는 공간은 집 안에서 가장 높은 곳인 대청마루의 상량 위, 또는 안방이나 부엌에 있는 [대들보](/topic/대들보) 위 동자[기둥](/topic/기둥)이다. 특히 대청마루는 제사, 장례, 혼례, 생일잔치, 굿 등 집안에 큰일이 있을 때 행사를 치르는 중요하고도 신성한 공간이다.

배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종이성주를 배에다 모시는데, 배에 모시는 성주는 [배성주](/topic/배성주), 배서낭이라고 한다. 신체는 한지나 [청실홍실](/topic/청실홍실)을 기관실에 모시거나 배에 세운 깃발 또는 쌀을 넣은 단지 등에다 모신다. 배의 기관실은 배의 심장에 해당되는 중요한 곳으로 이곳에 있는 기계가 고장이 나면 배는 표류한다. 그렇게 되면 바다에서 조업하다가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을 수 있다. 배에서 이런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종이성주를 모시는데, 종이성주는 보통 처음에 매단 것을 그대로 쓰기도 하지만 매년 새로 갈기도 한다.

성주신을『신단실기(神壇實記)』,『[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등에서는 성조(成造)라고도 한다. 성주신은 집안(집터)에 있는 터주신, 제석신(帝釋神), 측신(廁神), 지신(地神), 업신, [칠성신](/topic/칠성신)(七星神), 조왕신(竈王神), 삼신(三神) 등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 가운데 가장 귀중하고 소중한 으뜸이 되는 신이다.
서사무가인 성줏굿에 보면 성주신을 모시는 경위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옛날 경상도 안동(안동시 이천동 연응사 일대)에서 태어난 성주는 [집짓기](/topic/집짓기)가 소원이어서 제비원에서 솔씨를 받아다가 심고, 집안에 터전을 잡은 다음 각도(各道)의 대목들을 부른다. 대목들은 산속에 들어가서 여러 계곡을 넘나들며 재목으로 쓸 좋은 나무를 벤다. 하지만 나무를 베기 전에 산신제를 지내지 않아서 도끼가 말을 잘 듣지 않는다. 주위에서 돈을 받아 산신제를 지낸 다음 다시 톱질을 하여 나무를 베는데, 나무를 베기 위해 여럿이 톱질을 하다 보니 그만 톱니가 빠져 못 쓰게 되었다. 역시 주위로부터 돈을 받아내어 톱날을 벼르고, 나무를 베어 집을 반듯하게 짓는다. 네 귀에 주춧돌이 반듯한 큰 집을 짓고 나니 온갖 세간이 불어나고, [곳간](/topic/곳간)도 가득히 채워져 잘살게 되었다.’ 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예전에 성주신을 모시는 집에 아들이 있었는데, 그 아들이 부모님 모르게 종이성주를 태웠다. 그런 다음 그날 저녁 아들이 갑자기 이상해졌다. 몸이 비틀려 잘 가누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고, 호흡까지 곤란해졌다. 가족들이 급히 병원으로 옮겼으나 병원에서는 무슨 병인지 알지 못했다. 아버지는 하도 답답하여 무속인을 찾아가서 물어 보았다.

“우리 아들이 갑자기 몸이 이상해져 병원으로 옮겼는데 무슨 병인지 모르겠 다.”

“집안에 모신 신위를 건드린 적이 있느냐?”

“아들이 방에 있는 종이성주를 태웠다.”

“그건 우리가 모시는 성주신인데, 왜 태웠느냐?”

“성주신을 위로하는 굿을 해야 한다.”고 하면서 굿을 했다. 굿을 하고 나니 아들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또 운수업을 하는 사람이 매년 일 년에 한 번씩 성주신을 모시고 산에 가서 치성을 드리는데, 사업이 잘될 때는 매년 같은 성주신을 모시고 가서 치성을 드리고, 사업이 잘 안 될 때는 성주신을 새로 바꿔서 치성을 드렸다. 그렇게 했더니 운수 사업이 계속 잘 되었다고 한다.

신체를 모시는 [봉안](/topic/봉안)을 ‘성주 옷 입힌다.’, ‘성주 맨다.’고 하는데 봉안은 아무 때나 하지 않고, 특별한 일이 있을 때 한다. 성주신은 집안에서 가장 높고, 가장 먼저 모시는 신이기 때문에 집을 새로 짓거나, 살림이 나서 새로 가정을 이뤄 새 집으로 갈 때, 또는 다른 집으로 [이사](/topic/이사) 갈 때, 집안에 우환이 자주 끼면 모시던 성주를 없애고, 새로운 성주를 만들어 모시기도 한다. 또 [마을](/topic/마을)에서 [별신굿](/topic/별신굿)이나 풍어제를 지낼 때는 굿을 할 때마다 한지로 성주신을 새로 만들어 붙인다. 이때 [서낭당](/topic/서낭당)에서 굿을 하면 서낭당에다 붙이고, 마을회관에서 굿을 하면 마을회관에다 붙인다.

집을 새로 지을 때는 상량고사를 지낸 뒤에 집주인이 종이에 실타래를 묶어 대들보에 매단다. 이때 [축문](/topic/축문)(상량축문)은 읽고 태운다. 상량식 때는 고사를 지내거나 굿을 하고 나서 모신다. 고사는 무격이나 무꾸리(점바치)를 모셔 지내는 경우도 있고, 집주인이 제주(祭主)가 되어 [비손](/topic/비손)을 하는 경우도 있다. 무격을 불러 굿을 할 때는 집을 지은 [목수](/topic/목수)도 함께 불러 무격과 지경을 다지는 흉내를 내면서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를 부른다. 한지는 대들보 위 기둥에 매달고 쌀독은 마루나 안방에 둔다. 이때 한지나 쌀독을 성주의 신체로 상징한다.

성주신을 모실 때는 집주인의 나이가 대체로 홀수일 때 모시는데, 특히 27살, 37살, 47살, 57살, 67살일 때 모신다. 27살 때는 2년 성주, 37살 때는 3년 성주, 47살 때는 4년 성주, 57살 때는 5년 성주, 67살 때는 6년 성주를 모신다. 이렇게 성주신을 모셔놓고 풀지 않고 그대로 모셔두었다가 집주인의 나이가 홀수에 드는 해, 특히 10년 주기가 되는 해에 다시 만들어 모신다.

이사할 때 종이성주는 산 속에다 매달아 놓고 간다. 어떤 지역에서는 불에 태워 땅속에 묻기도 한다. 또 집주인이 죽으면 땅에 묻어 없애고, 오랫동안 열어보지 않고 대우를 하지 않아 집안에 좋지 않은 일들이 생기면 태운다. 종이성주는 [아궁이](/topic/아궁이)에 넣지 않고 바깥에 나가 태우는데, 아궁이에다 태우면 며느리나 딸이 아기를 가졌을 때 성주신이 벌을 줘 어린아이에게 해가 끼쳐 소아마비에 걸린다고 한다.

종이성주를 태울 때는 손이 없는 방향으로 태운다. 1일과 2일에는 동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 3일과 4일에는 남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 5일과 6일에는 서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 7일과 8일에는 북쪽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각각 태운다. 9일과 10일에는 어느 쪽에도 손이 없기 때문에 동서남북 어느 방향으로 태워도 괜찮다.

[안택](/topic/안택)고사는 정초나 시월에 성주신을 모셔 놓고 지내는데, 집안이 평안하고 가족들이 건강하게 잘 지내게 해 달라고 지낸다. 정월 고사는 해가 바뀌어 한 해가 시작되는 정초에 지내는데, 이르면 설을 쇠고 그 이튿 날(음력 1월 2일)에 지내고, 늦으면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음력 1월 15일)에 지낸다. 또 가을 고사는 추수를 끝내고 시월상달에 지낸다. 정월은 한 해가 시작되는 달이고, 시월상달은 한 해 가운데 가장 좋은 달이다. 정월 고사는 한 해 동안 집안에 아무런 근심걱정이 없도록 기원하고, 농가에서는 한 해 농사에 풍년이 들길 기원한다. 시월 고사는 한 해 농사를 무사히 마치고 추수를 하여 결실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지낸다.

고사 일시는 집주인의 생기를 보고 받기 때문에 집안에 따라 다르다. 안택고사를 지내기 위해 날을 받으면 집주인은 [대문](/topic/대문) 앞 양쪽으로 붉은 흙을 여러 무더기 뿌리고, 왼쪽으로 꼰 새끼에 한지를 끼워 대문에다 [금줄](/topic/금줄)을 친다. 금줄을 쳐 외부인의 접근을 막고 외부의 잡귀들도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집주인은 제물을 준비하기 위한 나들이 외엔 집밖으로 나[가지](/topic/가지) 않는다. 고사는 해가 지면 종이성주가 있는 곳에서 지낸다. 종이성주는 집안이나 지역에 따라 좌정하는 위치가 다른 데, 주로 대청, 안방, 부엌에 좌정한다. 종이성주 밑에다 제단을 차리고 제사상 위에 촛불을 밝힌 다음 제물을 올린다. 제물은 술, 3실과([대추](/topic/대추)·밤·감), 3색 나물([시금치](/topic/시금치)·도라지·고사리), 3탕(어탕·소탕·육탕), 메, 국, 어물 또는 육고기, 백설기 등이다. 제주(祭主)는 집주인 또는 안주인이 되기도 하고, 치성을 드려주는 직업적인 사람인 무꾸리나 점바치가 되기도 하고, 무격이 되기도 한다.

집주인이 제주가 되어 지내는 고사에서는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놓고 비손을 한다. 비손을 하면서 가족수대로 소지를 올린다. 성주신은 한 분이기 때문에 대부분 가정에서 비손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무꾸리나 점바치를 불러 지내는 고사에서는 무꾸리(점바치)는 징을 치며 경을 읊고, 무격은 [사설](/topic/사설)을 읊으며 굿을 한다. 이들은 가정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성주신께 가족들에게 끼는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깃들도록 빈다. 특히 농촌지역에서는 풍년, 어촌지역에서는 풍어, 상가에서는 사업의 흥성을 각각 기원한다.
형태성주신은 태고적에 사람에게 집 짓는 방법을 가르쳐준 신으로 집안에 모시는 여러 [가신](/topic/가신) 가운데 최고의 신이다. 성주신을 모시는 형태는 종이에 모시는 형태와 단지에 모시는 형태가 있는데, 종이에다 모시는 성주는 종이성주, 단지에다 모시는 성주는 [성줏단지](/topic/성줏단지)라고 한다. 종이성주는 [한지](/topic/한지)를 여러 겹 접어 [실타래](/topic/실타래)로 묶었고, 성줏단지([조상단지](/topic/조상단지) · [신줏단지](/topic/신줏단지))는 성주신을 모셔놓은 단지다.

종이성주는 한지(흰종이) [전지](/topic/전지)를 가로 10㎝, 세로 30㎝ 정도로 여러 겹 접어 장방형(長方形)으로 만들어서 그 상단부에다 실타래로 묶는다. 모양은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 다소 다르다. 한지만 접어서 모시기도 하고, 마른 명태에다 실타래만 묶어서 모시기도 한다. 흰 종이는 신을 불러 모으고, 실은 자손들의 장수를 기원한다. 신은 붉은색은 두려워하여 기피하지만 흰색은 좋아해서 멀리서 보고 모여 들어 그곳에다 안식처를 정해 좌정한다. 또 실은 질기고 길어서 자손들의 수명이 실처럼 질기고 길게 장수하게 해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성줏단지는 단지를 [대청](/topic/대청)이나 [안방](/topic/안방) 또는 [부엌](/topic/부엌)에 모시는 데, 주로 안방 [윗목](/topic/윗목) 구석에다 모신다. 나무판자로 만든 선반이나 통나무로 만든 [시렁](/topic/시렁) 위에 올려놓기도 하고 부엌의 [천장](/topic/천장) 안쪽 모서리에 공간을 만들어 올려놓기도 한다. 이때 곡식을 가득 채워 한지로 덮고 [무명](/topic/무명)실로 묶는다.
형태성주신은 태고적에 사람에게 집 짓는 방법을 가르쳐준 신으로 집안에 모시는 여러 [가신](/topic/가신) 가운데 최고의 신이다. 성주신을 모시는 형태는 종이에 모시는 형태와 단지에 모시는 형태가 있는데, 종이에다 모시는 성주는 종이성주, 단지에다 모시는 성주는 [성줏단지](/topic/성줏단지)라고 한다. 종이성주는 [한지](/topic/한지)를 여러 겹 접어 [실타래](/topic/실타래)로 묶었고, 성줏단지([조상단지](/topic/조상단지) · [신줏단지](/topic/신줏단지))는 성주신을 모셔놓은 단지다.

종이성주는 한지(흰종이) [전지](/topic/전지)를 가로 10㎝, 세로 30㎝ 정도로 여러 겹 접어 장방형(長方形)으로 만들어서 그 상단부에다 실타래로 묶는다. 모양은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 다소 다르다. 한지만 접어서 모시기도 하고, 마른 명태에다 실타래만 묶어서 모시기도 한다. 흰 종이는 신을 불러 모으고, 실은 자손들의 장수를 기원한다. 신은 붉은색은 두려워하여 기피하지만 흰색은 좋아해서 멀리서 보고 모여 들어 그곳에다 안식처를 정해 좌정한다. 또 실은 질기고 길어서 자손들의 수명이 실처럼 질기고 길게 장수하게 해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성줏단지는 단지를 [대청](/topic/대청)이나 [안방](/topic/안방) 또는 [부엌](/topic/부엌)에 모시는 데, 주로 안방 [윗목](/topic/윗목) 구석에다 모신다. 나무판자로 만든 선반이나 통나무로 만든 [시렁](/topic/시렁) 위에 올려놓기도 하고 부엌의 [천장](/topic/천장) 안쪽 모서리에 공간을 만들어 올려놓기도 한다. 이때 곡식을 가득 채워 한지로 덮고 [무명](/topic/무명)실로 묶는다.
지역사례종이성주는 집을 짓고 상량식을 할 때 [한지](/topic/한지)를 [명주](/topic/명주)실에 묶어 상량에 매달아 놓는 것이 보통이다. 신체를 모시는 장소와 방법은 지역과 집안에 따라 다소 다른 데, 서울 지역에서는 한지에 동전을 싸서 접은 다음 깨끗한 물을 부어 [대들보](/topic/대들보)에 붙여 놓고 마르기 전에 흰 쌀을 던져 그 위에 붙도록 한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집을 새로 지으면 한지를 한 장 접어 실로 묶고 [마루](/topic/마루) [기둥](/topic/기둥)에 매단다. [대청](/topic/대청)의 기둥이나 대청의 [안방](/topic/안방)쪽 벽에 한지를 장방형으로 접어 대나무나 싸리나무를 깎아 만든 못으로 네 귀에 꽂고 [무명](/topic/무명)실로 고정시킨다.

영남지역이나 호남지역에서는 [성줏단지](/topic/성줏단지)에 쌀 또는 [보리](/topic/보리)쌀을 넣어 마루 한 구석에 놓거나 마루 [천장](/topic/천장)의 중보와 마룻대 사이 [대공](/topic/대공)에 한지를 접어 붙인다.

충청도지역에서는 안방 마루의 문 위나 대들보 위에 한지를 접어서 흰 실로 매달기도 하고 집안의 한가운데 있는 상기둥(上柱)에 붙이기도 한다. 중부지역이나 영남의 일부지역에서는 접은 한지 안에 동전을 넣기도 하고, 한지 위에 낟알을 물에 적셔 붙이기도 한다.

강원도 영서지역에서는 상기둥에 한지를 장방형으로 접어 붙인다. 성주 [봉안](/topic/봉안)의식에서 사용한 한지를 장방형으로 접어 물에 적셔 대청의 상기둥이나 [부엌](/topic/부엌)의 중심이 되는 기둥에 붙인다. 강원도 영동지역에서는 성주를 받을 때 쓴 한지를 길게 접어 가운데에다 [실타래](/topic/실타래)로 묶어서 부엌의 중심이 되는 기둥 윗부분에 걸어둔다. 강원도 영동지역인 강릉에서는 종이성주를 부엌 대들보 위에 있는 동자(동개)기둥에 매달거나,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 앞에 있는 기둥에 매달기도 한다.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의 어떤 집에서는 바다에서 나는 명태를 성주신으로 모시는데, 명태성주는 [거실](/topic/거실)이나 [현관](/topic/현관)문 위에 매단다. 또 강릉시 구정면 언별리의 어떤 집에서는 단지성주를 모시는데, 성주단지는 안방에 있는 선반 위나 부엌 천장의 대들보 옆에 있는 벽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강원도와 경상북도 동해안 바닷가 지역에서는 종이성주를 [마을](/topic/마을)회관에 모시기도 하고, 경상도 동해안 바닷가 일부 지역에서는 [서낭당](/topic/서낭당)에다 모시기도 한다. 동해안에서 배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배의 기관실에다 모신다.

경기도 지역이나 충청도 지역에서는 대청의 대들보 밑에 한지를 반구형(半球形)으로 만들어 붙인다. 성주 봉안의식에서 [성줏대](/topic/성줏대)에 걸었던 한지에 실과 돈을 넣고 접어서 깨끗한 물이나 막걸리로 적시어 둥글게 뭉친 다음 대청의 대들보 밑이나 안방 [윗목](/topic/윗목)에 있는 벽 윗부분에다 붙인다.

평안도 지역이나 함경도 지역에서는 쌀을 항아리에 담아 대들보에다 봉안한다.
참고문헌[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이재곤 역주, 백록출판사, 1976)
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94)
한국의 가정신앙 상 (민속원, 2005)
강릉단오제 원형콘텐츠 (강릉시, 2008)
지역사례종이성주는 집을 짓고 상량식을 할 때 [한지](/topic/한지)를 [명주](/topic/명주)실에 묶어 상량에 매달아 놓는 것이 보통이다. 신체를 모시는 장소와 방법은 지역과 집안에 따라 다소 다른 데, 서울 지역에서는 한지에 동전을 싸서 접은 다음 깨끗한 물을 부어 [대들보](/topic/대들보)에 붙여 놓고 마르기 전에 흰 쌀을 던져 그 위에 붙도록 한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집을 새로 지으면 한지를 한 장 접어 실로 묶고 [마루](/topic/마루) [기둥](/topic/기둥)에 매단다. [대청](/topic/대청)의 기둥이나 대청의 [안방](/topic/안방)쪽 벽에 한지를 장방형으로 접어 대나무나 싸리나무를 깎아 만든 못으로 네 귀에 꽂고 [무명](/topic/무명)실로 고정시킨다.

영남지역이나 호남지역에서는 [성줏단지](/topic/성줏단지)에 쌀 또는 [보리](/topic/보리)쌀을 넣어 마루 한 구석에 놓거나 마루 [천장](/topic/천장)의 중보와 마룻대 사이 [대공](/topic/대공)에 한지를 접어 붙인다.

충청도지역에서는 안방 마루의 문 위나 대들보 위에 한지를 접어서 흰 실로 매달기도 하고 집안의 한가운데 있는 상기둥(上柱)에 붙이기도 한다. 중부지역이나 영남의 일부지역에서는 접은 한지 안에 동전을 넣기도 하고, 한지 위에 낟알을 물에 적셔 붙이기도 한다.

강원도 영서지역에서는 상기둥에 한지를 장방형으로 접어 붙인다. 성주 [봉안](/topic/봉안)의식에서 사용한 한지를 장방형으로 접어 물에 적셔 대청의 상기둥이나 [부엌](/topic/부엌)의 중심이 되는 기둥에 붙인다. 강원도 영동지역에서는 성주를 받을 때 쓴 한지를 길게 접어 가운데에다 [실타래](/topic/실타래)로 묶어서 부엌의 중심이 되는 기둥 윗부분에 걸어둔다. 강원도 영동지역인 강릉에서는 종이성주를 부엌 대들보 위에 있는 동자(동개)기둥에 매달거나,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 앞에 있는 기둥에 매달기도 한다.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의 어떤 집에서는 바다에서 나는 명태를 성주신으로 모시는데, 명태성주는 [거실](/topic/거실)이나 [현관](/topic/현관)문 위에 매단다. 또 강릉시 구정면 언별리의 어떤 집에서는 단지성주를 모시는데, 성주단지는 안방에 있는 선반 위나 부엌 천장의 대들보 옆에 있는 벽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강원도와 경상북도 동해안 바닷가 지역에서는 종이성주를 [마을](/topic/마을)회관에 모시기도 하고, 경상도 동해안 바닷가 일부 지역에서는 [서낭당](/topic/서낭당)에다 모시기도 한다. 동해안에서 배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배의 기관실에다 모신다.

경기도 지역이나 충청도 지역에서는 대청의 대들보 밑에 한지를 반구형(半球形)으로 만들어 붙인다. 성주 봉안의식에서 [성줏대](/topic/성줏대)에 걸었던 한지에 실과 돈을 넣고 접어서 깨끗한 물이나 막걸리로 적시어 둥글게 뭉친 다음 대청의 대들보 밑이나 안방 [윗목](/topic/윗목)에 있는 벽 윗부분에다 붙인다.

평안도 지역이나 함경도 지역에서는 쌀을 항아리에 담아 대들보에다 봉안한다.
참고문헌[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이재곤 역주, 백록출판사, 1976)
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94)
한국의 가정신앙 상 (민속원, 2005)
강릉단오제 원형콘텐츠 (강릉시, 2008)
燕山君日記
成宗實錄
中宗實錄
일지사조선조 무속 국행의례 연구최종성2002
창비조선무속고-역사로 본 한국무속이능화 지음, 서영대 역주2008
한지 성주신체
14036
한지 성주신체
안방 출입문 위에 안치한 성주.
13901
안방 출입문 위에 안치한 성주.
안방 모서리에 봉안한 성주
13903
안방 모서리에 봉안한 성주
성주를 받을 때 봉안한 쌀 ․ 동전 ․ 숯 ․ 나뭇가지. 상동,
13902
성주를 받을 때 봉안한 쌀 ․ 동전 ․ 숯 ․ 나뭇가지. 상동,
실타래로 건 성주
13900
실타래로 건 성주
종이성주
13899
종이성주
종이성주
13898
종이성주
한지 성주신체
14036
한지 성주신체
안방 출입문 위에 안치한 성주.
13901
안방 출입문 위에 안치한 성주.
안방 모서리에 봉안한 성주
13903
안방 모서리에 봉안한 성주
성주를 받을 때 봉안한 쌀 ․ 동전 ․ 숯 ․ 나뭇가지. 상동,
13902
성주를 받을 때 봉안한 쌀 ․ 동전 ․ 숯 ․ 나뭇가지. 상동,
실타래로 건 성주
13900
실타래로 건 성주
종이성주
13899
종이성주
종이성주
13898
종이성주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