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마을](/topic/마을)의 본향당에서 매년 정월 신에게 새해를 맞이하여 과세를 드리는 의미로 벌이는 굿. 달리 ‘신과세’, ‘대제’라고 하기도 한다. 그 어원으로 ‘신-’은 일반어휘와 구별하기 위하여 무속에서 흔히 덧붙이는 접두사이며 과세는 한자어 ‘過歲’로 과세문안(過歲問安)의 뜻이다. |
---|---|
mp3Cnt | 0 |
wkorname | 강정식 |
정의 | [마을](/topic/마을)의 본향당에서 매년 정월 신에게 새해를 맞이하여 과세를 드리는 의미로 벌이는 굿. 달리 ‘신과세’, ‘대제’라고 하기도 한다. 그 어원으로 ‘신-’은 일반어휘와 구별하기 위하여 무속에서 흔히 덧붙이는 접두사이며 과세는 한자어 ‘過歲’로 과세문안(過歲問安)의 뜻이다. | 내용 | 신과세제는 앉은굿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선굿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앉은굿은 [연물](/topic/연물)을 다 갖추지 않고 제차를 축소하여 간단히 하거나 그냥 비념으로만 진행하기도 한다. 선굿으로 할 때는 연물을 갖추어 필요한 제차를 모두 진행한다. 규모 있는 당에서는 신과세제, [영등제](/topic/영등제), [마불림제](/topic/마불림제), 시만곡제 등 1년에 네 차례 정도 제의를 벌인다. 이 가운데 신과세제는 정월에 벌이는 당굿이다. 신과세제는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의 생산・물고・호적・장적을 관장하는 본향신에게 새해를 맞이하여 함께 문안을 드리고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아울러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제일](/topic/제일)은 대개 정월 1∼3일 혹은 11∼15일이다. 현재 다른 시기의 당굿에 비하여 규모가 가장 크고 흔한 편이다. 사정에 따라서는 2~3년에 한 번 신과세제를 벌이는 곳도 있다. 하루 혹은 반나절 소요되는 것이 보통이나 이틀 이상 소요되는 사례도 있다. 당굿이 전승되는 마을에는 지정된 심방, 곧 매인심방이 있어 당굿을 전담한다. 선굿으로 할 때는 [소미](/topic/소미) 3, 4명이 함께 참여하여 북·설쒜·대양 등의 [무악](/topic/무악)기를 울리는 한편 굿의 진행을 돕는다. 심방은 이들 소미가 연주하는 무악에 맞추어 춤을 추면서 굿을 진행한다. 오늘날 이처럼 규모 있게 신과세제를 벌이는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다. 송당본향당, [와흘본향당](/topic/와흘본향당), [수산본향당](/topic/수산본향당), 신양본향당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신과세제의 제차라고 해서 별다른 것은 없다. 대개 궷문열림, 열명, 베[포도](/topic/포도)업침, 날과국섬김, 연유닦음, 군문열림, 신청궤(본향듦), 자손절시킴, 석살림, 산받음, 액맥이 순으로 진행한다. 이들 제차에는 마을에 따라 [산신놀이](/topic/산신놀이)가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궷문열림은 “상궷문도 열립니다. 중궷문도 열립니다. 하궷문도 열립니다” 하면서 궷문을 열거나 궤를 덮고 있는 돌을 들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열명은 집집마다 차례로 가족의 성과 나이를 고해 올리는 것이다. 베포도업침부터 연유닦음까지는 굿하는 사정을 차례에 맞게 고하는 제차이다. 베포도업침은 세상이 생긴 내력을 고하는 순서이다. 날과국섬김은 굿하는 날짜와 장소를 고해 올리는 것이다. 연유닦음은 굿을 하게 된 연유를 상세하게 고해 올리는 순서이다. 군문열림은 신이 인간세상으로 오기 위해서는 반드시 열어야 하는 신역(神域)의 문을 여는 것이다. 심방이 관련되는 말명을 하고 무악에 맞추어 감상기를 흔들며 제단과 제장 입구 사이를 오가며 문을 여는 행위를 연출한다. 신청궤는 신들을 차례로 청해 들이는 제차이다. 심방이 제장 바깥에까지 나서 신들을 차례로 청하여 모셔 들이는 행위를 연출한다. 이 대목에서 본향신을 청해 들이게 되는데 이를 본향듦이라고 하며, 매우 비중 있게 처리한다. 사람들은 본향듦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굿의 규모를 파악하기도 한다. 본향듦이 있으면 선굿으로 무악을 울리면서 제대로 하는 것이고, 본향듦이 없으면 그냥 앉은굿으로 요령을 흔들며 말명을 하는 방식으로 간단히 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셈이다. 자손절시킴은 본향신이 들어왔으니 자손들이 절을 하는 것이다. 대개 마을 임원 셋이 대표로 절을 한다. 그다음에는 참여한 사람들이 차례대로 절을 한다. 여기에서 산받음을 하여 신의 뜻을 전달하는 분부사룀을 하기도 한다. 이때의 산받음은 마을 공동체 전체에 대한 것이어서 특별히 도산받음이라고 한다. 이어지는 석살림은 무악과 춤으로 신을 즐겁게 놀리는 제차이다. 서우제소리를 흥겹게 부르며 모두 나와 춤을 춘다. [시루떡](/topic/시루떡)을 높이 던져 올렸다가 받아내는 이른바 나까시리 놀림을 하는 곳도 있다. 이렇게 하면 주요 의례가 마[무리](/topic/무리)되는 셈이다. 이제 사람마다 개별적으로 산을 받는다. 이를 각산받음이라고 한다. 사람이 많으므로 일일이 산을 받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소미들이 모두 나서서 산받음을 한다. 운수가 나쁘다고 하는 경우에는 액맥이를 하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모든 사람이 액맥이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산받음 이전에 마을 전체의 액을 막는 도액막음을 먼저 하는 사례도 있다. 산받음이 끝나면 제각기 자신이 준비해 올린 제물을 내려 걸명을 하고 끼리끼리 모여앉아 [음복](/topic/음복)을 한다. 그리고 삼삼오오 구덕을 끼고 당을 떠난다. 앉은굿으로 할 때는 선굿의 제차를 말명으로 간단히 축약하여 진행한다. 심방이 미리 당에 가서 기다리다가 사람들이 도착한 순서대로 비념을 하고 운수를 보아주는 것이 예사이다. 그이로 인해 소요시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2일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본래 며칠간의 제일에 모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요즘 사람들은 대개 신과세제 가장 많이 찾는다. 그러다 보니 신과세제가 가장 규모 있는 당굿이 된다. 신과세제에 참석하지 못한 사람은 그다음 제일에 참여한다. 신과세제에서 산받을 때 운수가 나쁘니 다음 제일에라도 참여하여 액맥이를 하라고 하면 반드시 다음 제일에 참여하여 액맥이를 하게 된다. 본향신은 마을 경계의 안을 두루 보호하는 토지관이면서 마을 사람들의 생사 관련 문서를 관리하는 존재이다. 신과세제에서는 새해를 맞이하여 인적 구성원의 변화를 일일이 고하고 한 해 동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셈이다. 따라서 신과세제는 본향신의 성격에 가장 부합되는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신과세제는 공동체의 제의로는 가장 흔한 것이기는 하지만 마을의 사정에 따라 영등굿이나 잠수굿에 밀려난 경우도 적지 않다. | 참고문헌 | 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
---|
동문선 | 조선무속의 연구 | 赤松智城·秋葉隆 | 1991 | 국립민속박물관 | 큰무당 우옥주 유품 | 1995 |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의 무속-서울·황해도편 | 1999 | 한국샤머니즘학회 | 성의 상징성-무복을 통해 본 한국무속의 권력 | 이용식 | 2001 | 비교민속학회 | 한국무속복식의 역할에 관한 논의 | 고부자 | 2003 | 한국세시풍속사전-봄편 | 2005 |
---|
신과세제 | 64474 신과세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