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전북 지역 무속의례에서 사용되는 망자의 넋을 상징화한 종이무구. ‘전’·‘넋발’·‘속대’라고도 한다. [겉연](/topic/겉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이라고 불린다. 연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라는,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
---|---|
mp3Cnt | 0 |
wkorname | 최진아 |
정의 | 전북 지역 무속의례에서 사용되는 망자의 넋을 상징화한 종이무구. ‘전’·‘넋발’·‘속대’라고도 한다. [겉연](/topic/겉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이라고 불린다. 연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라는,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 내용 | 속연은 [천도굿](/topic/천도굿)인 씨끔굿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전남 지역의 ‘넋’과 가장 유사한 기능을 한다. 속연은 의례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쌀을 쌓아 놓은 상 위에 얹어 놓았다가 씨끔·연올리기·길닦음에 사용한다. 속연은 씨끔에서는 넋그릇 안에 담겨진다. 넋그릇은 뚜껑이 있는 주발에 쌀과 돈을 담고 그 안에 신위형태의 넋(혹은 [혼백](/topic/혼백)이라 칭해짐)을 접어 넣은 뒤에, 그 위로 속연을 펼쳐서 얹고 뚜껑을 덮으면 완성된다. 이 넋그릇을 옹기단지 안에 넣고, 그 위에 솥뚜껑을 얹은 다음 옹기단지와 솥뚜껑에 밀가루를 뿌리고, [무명](/topic/무명)수건에 물을 묻혀 이를 닦아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는 망자의 육신을 씻기는 것으로 상징된다. 넋그릇도 마찬[가지](/topic/가지)로 씨끔의 과정을 진행하는데, 망자의 넋을 씻기는 정화의례(淨化儀禮)로 상징된다. 전남의 넋올리기와 유사한 연올리기(혹은 전올리기)에서는 속연을 망자 가족의 머리 위에 올린 뒤에 [겉연](/topic/겉연)을 올려서 끌어올린다. 속연이 따라 올라오면 겉연을 가족들의 머리 위에서 원을 그리듯이 돌리는데, 이는 망자에게 유족들의 향기를 맡게 하려는 의도를 지닌다. 그리고 의례 주재자는 망자의 가족에게 두 손을 모으게 한 뒤에, 겉연을 털어 속연을 받게 하거나 펼쳐 놓은 망자의 옷 위에 털기도 한다. 길닦음에서는 용선 안에 담겨져 망자가 저승길로 가는 것으로 상징화한다. 속연은 겉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이라 불린다. 연은 종이묶음이라는 의미인 동시에 죽은 망자나 조상과의 인연을 상징한다. 즉, 망자와 산 사람들을 연결해주는 인연의 매개체로서, 속연은 망자의 영혼 또는 망자와 동일시된다. 남녀의 성을 구분할 때, 이것은 지방에 필사되는 삼혼칠백(三魂七魄)과 삼혼구백(三魂九魄)에 영향을 받아 칠백인 남자는 7장, 구백인 여자는 9장으로 상징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전남에서 남녀의 넋을 구분하여 오리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영혼의 성별을 구분한 또 다른 사례로 볼 수 있다. 특히 넋발은 사람 형상으로 오려진 혼백을 덧붙이는데, 넋의 모습을 추상화 한 속연을 인간의 형상에 가깝게 구체화 한 형태라 볼 수 있다. 속연이 넋그릇 안에 담겨져 씨끔이 진행될 때는 망자의 영혼이 씻겨져 정화되는 것으로, 연올리기에서 유가족의 몸에 올려지는 것은 곧 죽은 망자가 가족들의 체취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된다. 속연은 망자가 의례에 만족했는지를 알아보는 척도가 된다. 즉 유족들의 정성이 마음에 들 경우 속연은 겉연에 따라 올라오는 것으로 간주한다. 용선에 담겨져 [길베](/topic/길베) 위에 올려졌을 때는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것과 동일시한다. 연올리기가 끝난 뒤 혹은 의례가 끝난 뒤에, 속연을 겉연에 담아 놓은 채 겉연의 손잡이 부분의 일부를 칼로 잘라내는 행위를 하는데, 이는 인연의 단절, 즉 죽은 망자와 그 가족과의 관[계단](/topic/계단)절을 의미한다. 즉, 절연을 상징하는 것으로, 잠시나마 망자가 자식들의 체취를 맡았지만, 이를 저승까지 가지고 갈 경우 자식들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망자에게 빨리 잊고 가라는 의미를 지닌다. 속연은 대체로 용선과 함께 소각된다. 속연을 바다에 던졌을 경우 바다는 이승에서 저승으로 건너가는 경계영역인 월천(越川)으로 상징된다. 이처럼 속연은 망자의 신체(神體)로도 상징되지만, 그 명칭에 담겨 있듯이, 이승과 저승의 인연을 단절시키는 매개물의 의미도 동시에 지닌다. | 참고문헌 | [전북의 앉은굿](/topic/전북의앉은굿) 도지정문화재 제26호 기능보[유자](/topic/유자) [최갑선](/topic/최갑선) 면담 및 의례조사(2006년 6월3일~6월6일) 자료 전북의 앉은굿 [법사](/topic/법사) 최광식 면담 및 의례조사(2008년 2월27일) 자료 전북의 넋풀이굿 도지정문화재 제38호 기능보유자 [하진순](/topic/하진순) 면담 및 의례조사(2008년 4월27일) 자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4-무의식편 (문화재관리국, 1983) 호남지역 종이무구의 변화상 및 상징성 고찰 (최진아, 한국무속학 14, 한국무속학회, 2007)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형태 | 속연은 [한지](/topic/한지)가 주재료이다. 정사각형으로 일정하게 자른 한지를 6~9장 내외로 겹친 뒤에 이를 여러 번 접은 채로 가위로 문양을 오린다. 오린 것을 다시 펼치면 완성된 종이는 길이와 폭이 동일하게 40㎝ 내외이다. 한지로 돌돌 말아 만든 끈 위에 문양을 오린 종이를 가운데에 얹고 끈으로 묶는다. 묶은 것을 풍성해 보이게끔 종이를 위로 잡아주면 완성된다. 그 형태는 종이를 풍성하게 뭉쳐 놓은 모습이다. 완성된 속연의 길이와 폭은 동일하게 20㎝ 내외이다. 속연을 제작할 때 종이의 매수는 제작자마다 달리 나타나며, 일부 사례에서는 남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남녀를 구별하지 않고 동일한 매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6호 [전북의 앉은굿](/topic/전북의앉은굿)의 [최갑선](/topic/최갑선)의 사례에서는 평균적으로 6매를 사용), 남녀를 구분하여 그 매수를 달리하는 경우(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8호 전북의 넋풀이굿 기능보[유자](/topic/유자) [하진순](/topic/하진순), 최광식의 사례) 남자는 7장, 여자는 9장을 겹쳐서 만든다. 속연은 발 모양을 추가로 오린 뒤에 [혼백](/topic/혼백)을 덧붙이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그 형태에서 이름을 본 떠 ‘넋발’이라 칭한다. 혼백의 총길이는 대략 20㎝ 내외이며, [도포](/topic/도포)를 착용한 사람의 형상에 머리와 머리카락이 과장되게 오려진다. 그 몸통 부분에는 망자의 위명을 ‘三魂七魄○氏○魄靈駕’라고 필사한다. |
---|
문화재관리국 | 무무 | 문화재연구소 | 1987 | 풀빛 | 황루시의 우리 무당 이야기 | 황루시 | 2000 | 화산문화 | 동해안별신굿 | 박경선·장휘주 | 2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