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42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못자리고사
    643 2023.02.27
    벼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음력 3월쯤에 못자리를 만들거나 못자리를 낸 뒤 에 풍년 기원과 새나 개구리 같은 조수(鳥獸)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내는 가정의례. 다른 명칭으로 볍씨고사라고도 한다.
  • 성제묘
    792 2023.02.27
    서울특별시 중구 방산동 4가 96[번지](/topic/번지) 방산시장 내에 위치한 관우(關羽)를 주신으로 모시는 묘당. 관우를 모신 전각은 현성전이라고 한다.
  • 의원가면
    707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의원탈이라고도 부른다. 탈굿 속에서 의원 역할을 맡은 화랭이가 쓴다. 탈굿에서 [영감](/topic/영감)이 쓰러진 후 등장하여 영감을 소생시키려 하지만, 실패하는 의원을 형상화하는 기능을 한다.
  • 탁상굿
    612 2023.02.27
    제주도의 굿에서 [당클](/topic/당클)을 매지 않고 바닥의 상에 [제물](/topic/제물)을 차려놓고 하는 굿.
  • 굴뚝신
    886 2023.02.27
    [굴뚝](/topic/굴뚝)을 관장하는 신. [굴대[장군](/topic/장군)](/topic/굴대장군), 굴뚝장군, 구대장군님 등으로도 불린다.
  • 몽달귀신
    683 2023.02.27
    원한을 품은 채 죽은 총각 귀신.
  • 서울특별시 중구 방산동 4가 96[번지](/topic/번지) 방산시장 내에 위치한 성제묘에서 관우(關羽)를 주신으로 모시는 상인들의 제의. 1972년 5월 25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호’로지정되었다.
  • 이공본풀이
    658 2023.02.27
    제주도의 큰굿에서 초공맞이 다음 제차인 이공맞이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서사무가. [불도맞이](/topic/불도맞이)에서도 불린다. 같은 계열의 서사무가로 평안도의 와 경남 김해의 가 있다. 또한 『월인석보(月印釋譜)』의 , 고전소설 , 기림사사찰연기설화인 과도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불화(佛畵)로는 의 내용을 서사 전개에 따라 그린 이 있다.
  • 603 2023.02.27
    가정신앙을 비롯한 민속신앙에서 어떤 잘못된 행위로 인해 초자연적 존재(super-natural beings)를 자극함으로써 인간이 겪는 비정상적인 상태 또는 그 결과.
  • 굴부르기제
    908 2023.02.27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
  • 몽두리
    885 2023.02.27
    궁중 여령들이 정재에 참여할 때 입는 복식으로 대금형의 깃 모양이며 주로 황색으로 만들어진 표의(表衣).
  • 성주
    676 2023.02.27
    집을 짓고 지키며 집안의 모든 일이 잘되도록 관장하는 집안의 최고 신. 집을 짓거나 [이사](/topic/이사)할 때, [대주](/topic/대주) 사망 후 새로운 대주가 생겨났을 때 탄생하는 등 대주와 운명을 함께한다. 보편적으로 ‘성주(城主)’, ‘성조(成造)’, ‘성주신’ 등으로 불린다.
  • 이명옥
    690 2023.02.27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의 예능보[유자](/topic/유자).
  • 탑등
    599 2023.02.27
    굿당 좌측에 매달아 놓는 굿당 장식물로 굿이 진행되는 동안 굿당의 위엄을 지킨다.
  • 굿
    818 2023.02.27
    무당이 굿상을 차려 제물을 신에게 바치고 가무악희로 인간의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제의. 풍물을 울리는 메굿도 굿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으나 대개는 무당이 신에게 바치는 제의를 가리킨다. 굿은 굿을 의뢰하는 인간과 굿을 받는 신, 중간존재로서 무당이 있어야 진행된다. 굿은 신과 인간이 만나는 소통의 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