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40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모포줄
    644 2023.02.27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모포리 지역에서 [줄다리기](/topic/줄다리기)에 사용되면서 동신(洞神)의 신체(神體)로 신앙시되어 온 줄. 1984년 4월 17일에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87호’로 지정되었다.
  • 설쇠
    700 2023.02.27
    작은 놋대접을 엎어 놓은 모양의 제주도 무속 타악기.
  • 유천동산신제
    564 2023.02.27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동 주민들이 보문산 산신에게 [마을](/topic/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제례. 1997년 1월 9일에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 큰대
    588 2023.02.27
    제주 무속제의 중 ‘[사당](/topic/사당)클’을 매어 하는 큰굿을 할 때 [마당](/topic/마당)에 세우는 큰 깃대.
  • 군웅
    867 2023.02.27
    무속의 [장군](/topic/장군)신 가운데 하나. 많은 군사를 거느린 무장의 모습으로 그려지는 점에서 일종의 장군신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영 장군](/topic/최영장군), [임경업 장군](/topic/임경업장군)과 같은 무속의 대표적인 장군신과는 차이가 있다. 이들 무속의 장군신은 한 인물이 죽은 다음에도 생전의 개별적 정체성을 유지한 채 신격화된 인물신이다. 이에 비해 군웅은 생존한 어떤 장군과 같은 구체적인 인물이 신격화된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장수(將帥)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군웅을 군왕(君王)의 와전으로 보아 고려 군왕의 신 혹은 군왕으로서 정상적인 죽음을 하지 못한 자라는 견해도 있으나, 군웅을 묘사하는 무가 [사설](/topic/사설)을 통해서 확인하기 어렵다.
  • 목단꽃
    658 2023.02.27
    굿당 장식에 사용되는 지화의 한 종류.
  • 설위설경
    659 2023.02.27
    앉은굿에서 [무경](/topic/무경)의 내용을 형상화하는 물질전승 일체.
  • 은산별신제
    656 2023.02.27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서 전승되어 오는 별신제. 이 별신제는 1966년 2월 15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 큰머리춤
    519 2023.02.27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대모](/topic/대모)가 시왕탄일거리를 끝내고 [내림춤](/topic/내림춤)을 출 때 첫 번째로 [큰머리](/topic/큰머리)를 벗어 들고 추는 춤.
  • 군웅
    1025 2023.02.27
    집안의 [외양간](/topic/외양간)에 모시는, 우마를 담당하는 신. 소 삼신이라고도 한다. 주로 강원도 영동에서 모셔진다. 군웅, 쇠구영신, 산, 소귀신, 쇠군웅, 쇠머리영산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 목제남근
    619 2023.02.27
    소나무 등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모형 남근.
  • 섬떡
    695 2023.02.27
    음력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에 식구들이 자신의 나이 수만큼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떡을 빚고, 나이 수만큼 먹는 떡.
  • 음복
    627 2023.02.27
    제의를 진행하는 중간이나 거행한 뒤 제의에 참여한 이들이 신령의 뜻이 담긴 음식을 받아먹으며 복을 비는 행위. 대개 술잔이 행위의 중심이 되므로 음복이라 한다.
  • 490 2023.02.27
    곡식을 까불러서 쭉정이를 가려내는 [농기구](/topic/농기구)로서 기우제 때에도 사용하는 도구.
  • 군웅방울
    982 2023.02.27
    황해도굿의 거리 중 하나인 군웅거리에서 사용되는 방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