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

한국무속신앙사전
산신
한국의 대표적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산에 있으면서 산을 지키고 담당하는 신령. 자연물에는 그것을 지배하는 정령이 있다는 애니미즘(animism)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일종의 산의 정령이다. 신체(神體)는 호랑이 또는 신선의 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단군이 산신이 되었다는 기록을 비롯하여 [견훤](/topic/견훤)의 사위 박영규(朴英規)가 해룡산신(海龍山神)이 되었다거나 박난봉(朴蘭鳳)이 인제산신(麟蹄山神)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사후의 인간이 산신이 되었다는 관념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definition
한국의 대표적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산에 있으면서 산을 지키고 담당하는 신령. 자연물에는 그것을 지배하는 정령이 있다는 애니미즘(animism)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일종의 산의 정령이다. 신체(神體)는 호랑이 또는 신선의 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단군이 산신이 되었다는 기록을 비롯하여 [견훤](/topic/견훤)의 사위 박영규(朴英規)가 해룡산신(海龍山神)이 되었다거나 박난봉(朴蘭鳳)이 인제산신(麟蹄山神)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사후의 인간이 산신이 되었다는 관념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mp3Cnt
0
wkorname
서영대
정의한국의 대표적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산에 있으면서 산을 지키고 담당하는 신령. 자연물에는 그것을 지배하는 정령이 있다는 애니미즘(animism) 신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일종의 산의 정령이다. 신체(神體)는 호랑이 또는 신선의 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단군이 산신이 되었다는 기록을 비롯하여 [견훤](/topic/견훤)의 사위 박영규(朴英規)가 해룡산신(海龍山神)이 되었다거나 박난봉(朴蘭鳳)이 인제산신(麟蹄山神)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사후의 인간이 산신이 되었다는 관념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내용산신에는 남성과 여성이 있다. 산신에 관한 최초의 기록인 [단군](/topic/단군)신화에는 단군이 산신으로 좌정했다고 하여 한국의 산신은 원래 남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대의 기록에서 대부분의 산신은 여성으로 나타난다. 신라 선도산(仙桃山)의 산신, 영취산(靈鷲山)의 산신, 김유신을 보호했다는 신라 3산의 산신은 모두 여성 산신이다. 이뿐만 아니라 고려 건국설화에 나오는 평나산(平那山)의 산신도 여성이다. 그러나 고려 시대로 오면서 산신의 성은 대부분 남성으로 바뀐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성 산신의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졌는데, 지리산의 산신은 지금도 여성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공주 동학사에서 모시는 계룡산신도 여성이다. 여성 산신의 전통은 산 이름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는데, 할머니를 뜻하는 ‘노고(老姑)’라는 산명이 전국에 산재한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한편 고려 시대를 전후하여 남성 산신이 산신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는데, 현재 남아 있는 산신도에는 산신이 남성으로 묘사되며, 이와 함께 산신에게 처녀를 바치는 풍습도 생겨난다. 개성 덕물산이나 나주 금성산 산신에게 처녀를 바치는 풍습이 그것이다. 이러한 산신의 성(性) 변화는 사회가 남성 중심으로 바뀌어 간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산신의 거처는 산정형(山頂型)ㆍ중복형(中腹型)ㆍ산하형(山下型)이 있다.

1. 산정형은 산정이 하늘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산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어 산의 지배자가 군림하기 알맞은 곳이다. 그래서 흔히 산정에 산신이 거처한다고 하여 산신을 모시는 제단이나 제당을 산정에 마련하여 산신에게 제사한다.

2. 중복형은 산 중턱이 찬바람을 막고 따뜻한 햇볕이 드는 이상적인 곳이므로 여기에 산신이 거처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산정은 올라가기 힘들어 인적이 뜸한 데 비해 중턱은 사람들의 내왕이 활발하고, 그 때문에 호환(虎患)을 당하거나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아 산 생활에서 의미가 있는 곳이다. 그래서 여기에 제단이나 제당을 마련하여 산신을 모시는 형이다.

3. 산하형은 산 아래 빛이 잘 드는 곳, 또는 [마을](/topic/마을)에서 산으로 들어가는 등산로 근처에 제단이나 제당을 만들고 산신에 제사하는 형이다. 산도 아니고 평야도 아닌 그 중간지점에 산신당이 있는 것은 산신이 그만큼 농경지로 내려온 것인데, 이것은 곧 산신이 산악의 신이나 수렵의 신에서 농경 신으로 그 역할이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산하형은 마을에 가까운 곳에 있으므로 마을 주민들의 모든 소망을 기원하는 장소가 되었다. 그래서 주민들은 풍작뿐만 아니라 치병, 기자(祈子) 등을 산신에게 빌기도 했다.

산신이 머무는 곳으로 간주되는 제당에는 토단(土壇)ㆍ석단(石壇)ㆍ거수(巨樹)ㆍ당우(堂宇) 등이 있다.

1. 토단형은 산정에 위치한 경우가 많으며, 외형은 둥근형과 사각형이 있다.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둘레에 떼를 입힌다. 높이는 1척, 면적은 1평 정도가 일반적이다. 산신 제당 가운데 가장 오래된 형태로 추정된다.

2. 석단형은 돌을 쌓은 것으로, 자연석으로 쌓은 것과 가공한 석재로 쌓은 것이 있다. 산 속에 있는 것은 대개 자연석으로 축조하는데, 마을에 가까울수록 인공 석재를 이용한 것이 많다. 또 시기적으로는 자연석으로 쌓은 것이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3. 거수형이란 큰 나무가 있고, 그 옆에 제단을 두어 산신을 모시는 형태이다. [단군](/topic/단군)신화에서 웅녀가 축원한 장소로 전하는 신단수(神壇樹)도 거수형에 해당한다. 거수형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고, 마을에서 모시지만 산중의 거목을 신목(神木)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단이나 당이 있는 곳은 신성한 구역이라 나무를 베지 않기 때문에 나무가 거목으로 성장한 것이다. 먼 데서 보면 산정 또는 산 중턱에 거목들이 우거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 산신이 있다고 여겨 산신제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 이 유형은 신목신앙과도 연결되는 것으로, 산신의 신앙 형태로는 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4. 당우형은 산신을 건물 안에서 모시는 유형이다. 존귀한 산신이 비바람을 맞는 것을 황송하게 여겨 건물을 짓고 그 안에 산신을 모신 것으로, 비교적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당우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지만 1평 정도 되는 단칸집이 많다. 당우에는 토단형·석단형·거수형과는 달리 산신상이나 산신의 [위패](/topic/위패)가 모셔져 있다. 산신상에서 산신은 백발에 긴 수염을 가진 노인으로 묘사되며 호랑이를 거느리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호랑이는 원래 산신 그 자체였으나 산신이 인간화되면서 산신의 사자 또는 산신이 나들이할 때 타는 승물(乘物)로 위상이 격하된다. 위패는 폭 15㎝, 길이 40㎝쯤 되는 나무판에 ‘○○산신위’ 혹은 ‘○○산령위’라고 하여 산명을 기록하는 경우와 산명을 명기하지 않고 ‘산신위’ ‘산령위’라 적어두는 경우도 있다. 위패나 신상은 당우의 정면 중앙에 두며, 경우에 따라서는 신상 앞에 위패를 두기도 한다. 당우의 정면에는 산신당·산령각·산신각 등의 [현판](/topic/현판)이 걸려 있고, 당우 안에는 산신제에 소용되는 제구(祭具)를 보관하기도 한다.

산신은 개인에게도 영향을 주지만 대부분은 동신(洞神)으로 마을공동체를 지켜주는 수호신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산신제는 개인제가 아니라 마을 공동의 제사로 행해진다. 산신제는 한 해를 시작하는 정월에 거행되는 경우가 많고 제사의 시간은 초저녁 또는 새벽이다. 제의 방법은 [제관](/topic/제관)을 중심으로 한 유교식이 많으며 제의 참여자들은 주로 마을의 안녕과 평안, 풍작을 기원한다.
참고문헌조선고대 산신에 취하여 (손진태, 조선민족문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8)
임동권 (산신고, 한국민속문화론, 집문당, 1983)
朝鮮の山神信仰 (依田千百子, 朝鮮民俗文化の硏究, 瑠璃書房, 1985)
동예사회의 호신숭배에 대하여 (서영대, 역사민속학 2, 한국역사민속학회, 1992)
고려시대의 산신신앙 (박호원, 민속학연구 2,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사찰의 산신신앙연구 (김형우,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韩国代表性的村庄守护神,住在山中负责守护大山的神灵。

“山神”是一种山的精灵,源自“自然物中存在支配其身的精灵”这一泛灵论(animism)信仰。神体表现为老虎或神仙的样子。但通过[檀君](/topic/檀君)变成山神的记录,可以看出人类死后变为山神的这一观念也存在。

山神中有男性与女性。关于山神的最早记录《[檀君神话](/topic/檀君神话)》中,写道檀君升仙为山神,因此韩国的山神原本应为男性。但在古代的记录中,大部分山神都是女性。高丽时代前后,男性山神占据了山神的主流,现在留存下来的山神图中,山神均被描述为男性。与此同时,还出现了将处女作为祭品献给山神的风俗。开城德物山和罗州锦城山有向山神进献处女的风俗。这种山神的性别变化与社会逐渐演变为以男性为中心这一点是一脉相通的。

山神的居所可分为山顶,山腰和山下。认为其居住在山顶,是因此处不仅离天空更近,还可将整座山尽收眼底,是与山的支配者君临天下地位相匹配的地方。认为其居住在山腰,是因此处既可阻挡凉风,又可照到温暖的阳光,是山神居住的理想之地。认为其居住在山下,是因在山下阳光容易照射之处,或从村庄进入山中的登山路附近修建祭坛或祭堂,并向山神进行祭祀。此外,若居住于山下,则因位于邻近村庄之处,成为村民们祈求所有心愿的场所。因此,村民们不仅向山神祈求作物丰收,还祈求治病,[祈子](/topic/祈子)等。

被视为是山神停留之处的祭堂中,有用泥土做成的祭坛型,用石头搭建的祭坛型,大树型和在家供奉型等。用泥土做成的祭坛型多位于山顶,外形有圆形和四边形。据推测,这是[山神祭](/topic/山神祭)堂中最为久远的形态。用石头搭建的祭坛型是将石头堆积起来,分为用自然石堆积和用加工的石材进行堆积。大树型是指,在高大的树木旁边建造祭坛供奉山神的形态。大树型多位于村庄入口处,虽在村庄里供奉,也有将山中的巨木用作神木的情况。在家供奉型是在建筑物内部供奉山神的类型。与用泥土做成的祭坛型,用石头搭建的祭坛型和大树型有所不同,堂宇中常供奉山神像或山神的牌位。

山神虽然对个人也产生影响,但大部分作为村庄神,是村庄共同体的守护神。因此,大部分山神祭并非个人祭,而是作为村庄共同的祭仪而举行。山神祭多在新年伊始正月举行,祭仪的时间是在傍晚或凌晨。祭仪方式多为以[祭官](/topic/祭官)为中心的儒教方式,祭仪参与者主要祈求村庄的安宁,平安与丰收。
Sansin, or Mountain God, is a widely worshipped village guardian deity that resides in the mountain as its ruler and protector.

The worship of Sansin is based on animism, the religious belief that natural physical entities possess a spiritual essence. Sansin’s sacred entities are rendered in the form of the tiger or the Taoist immortal sinseon. There are records that say the national founder [Dangun](/en/topic/detail/1913) became Sansin, which supports the belief that humans could also become Sansin in afterlife.

Sansin comprises both male and female deities. The earliest existing record of Sansin is the Dangun myth, which notes that Dangun took the position of Sansin, evidence of the gender of the mountain god in Korea. In other ancient records that follow, however, Sansin are in most cases goddesses. Starting in Goryeo (918-1392), male mountain gods emerged as the majority, which is reflected in the shamanic paintings that remain today. Along with this change came the new custom of offering a virgin to the mountain god, observed in Gaeseong (Mt. Deongmul) and in Naju (Mt. Geumseong). The change in the gender of the deit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shift in history to a male-centric society.

Sansin resides on the summit, the hillside, or at the foot of a mountain. The summit is considered an ideal place for the ruler of the mountain, due to its proximity to the sky and the vista of all that lies below. The hillside is sunny, sheltered from cold winds, also providing a good home for the mountain god. For a deity that resides at the foot of a mountain, an altar or a shrine is set up in a bright spot or by the hiking path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serving as a communal shrine for the private prayers of villagers for a good harvest, healing or a son.

Shrines for mountain gods come in the form of altars, made of clay or stones, large trees or a house. Clay altars are round or rectangular, and are the oldest types of mountain god shrines, generally located on mountain summits. Stone altars are stone stacks, made of either natural or artificially cut stones. Tree shrines are mostly located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with an altar next to the tree, but some take the form of a divine tree (sinmok) deep in the mountains. Found inside house-type shrines are a figurine of Sansin and a spirit tablet.

Sansin has great influence over the lives of individuals but first of all serves as a village guardian deity. [[Sansinje](/topic/RitualforMountainGod)](/topic/Sansinje), or mountain god rituals, therefore, are held not as private but communal affairs. The rituals are generally observed in the first lunar month, around dusk or dawn. Ritual procedures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and participants pray for peace and safety in the village and a good harvest.
Sansin es el nombre del dios de la montaña, adorado ampliamente como una deidad guardiana del pueblo que reside en las montañas y asume el rol de protector.

El culto a Sansin se basa en el animismo, la creencia religiosa que las entidades naturales poseen la esencia espiritual. Las entidades sagradas de Sansin se representan en forma de tigre o taoísta inmortal llamado sinseon. Existen los registros en los que se menciona la historia del fundador nacional, [Dangun](/sp/topic/detail/1913)se convirtió en Sansin, por lo que se respalda la creencia de que un ser humano puede llegar a ser el dios de la montaña tras su muerte.

Sansin puede ser una deidad masculina o una femenina. El registro más antiguo entre los existentes respecto a Sansin es el mito de Dangun, en la que se señala que el fundador del primer reino en la península coreana tuvo el puesto del dios de la montaña. Teniendo cuenta esto, se puede suponer que a principios Sansin era una divinidad masculina. Sin embargo, otros registros antiguos muestran que en la mayoría de los casos, Sansin se representa como una deidad femenina. En la época del reino Goryeo (918-1392), el dios masculino de la montaña se volvió popular, lo que es reflejado en las pinturas chamánicas que se conservan hasta la actualidad. Este cambio trajo una nueva costumbre de ofrendar una mujer virgen al dios de la montaña que se practicaba en el monte de Deongmulsan de Gaeseong y en el monte de Geumseongsan de Naju. El “cambio de sexo” de Sansin se conecta estrechamente con el cambio de la sociedad a favor del género masculino.

Sansin reside en tres lugares de la montaña: cima, ladera (falda) y pie. La cima se considera un espacio ideal para el gobernante de la montaña debido a su cercanía al cielo y vista espectacular desde arriba. La ladera es la parte abrigada de los vientos fríos, así que el clima es soleado generalmente en la falda de la montaña donde será un buen hogar para Sansin. Para una deidad que reside al pie de la montaña, un altar o un santuario está instalado en la zona más iluminada o junto al sendero que se encuentra en la entrada de una aldea, que sirve como un santuario comunal donde los aldeanos puedan elevar sus plegarias para pedir por una buena cosecha, curación de enfermedades o fertilidad.

Los santuarios de Sansin tienen la forma de altar hecho con arcilla o piedras, la de árbol grande o la de una casa. El santuario con forma de altar hecho con arcilla es redondo o rectangular, que se supone que es el tipo más antiguo de los santuarios del dios de la montaña. Este tipo de santuario se ubica generalmente en la cima de la montaña. El santuario con forma de altar hecho con piedras son montículos de piedras, acumulados natural y artificialmente. Los santuarios en forma de árbol grande están a menudo localizados en la entrada de aldeas, con un altar junto al árbol, pero algunos tienen forma de un árbol divino llamado sinmok en el interior de la montaña. En los santuarios en forma de una casa se encuentran una figura de Sansin y una tablilla espiritual a diferencia del resto de santuarios de Sansin.

Sansin tiene gran influencia sobre la vida humana, pero, primero que nada, sirve como una deidad guardiana del pueblo. Por lo tanto, el ritual de adoración al dios de la montaña llamado sansinje no se lleva a cabo de manera privada, sino de manera comunal. El sansinje se practica generalmente al amanecer o al anochecer en un día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iguen la tradición confuciana y las personas que asisten al ritual rezan por la paz y seguridad en la comunidad o por la buena cosecha.
역사한국에서 산신신앙은 수렵문화 단계에 이미 출현했다. 이때 산신은 산의 일체를 관장하는 자연의 주인(master of nature)이다. 신체(神體)는 호랑이였는데, 동예의 호랑이신 숭배는 이러한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단군](/topic/단군)신화에서 단군이 마지막에 아사달 산신으로 좌정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고조선 시대에도 산신신앙이 유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산신신앙은 신라에서 특히 성행했고, 신라 국가제사의 대상 대부분이 산신이었다. 이는 산신이 국가를 수호한다는 믿음에 [기초](/topic/기초)한 것이었고, 그래서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는 산신이 나타나 이를 경고하기도 했다. 신라 49대 헌강왕이 포석정이나 북악에 행차했을 때 3산 5악의 신들이 나타나 춤을 추면서 다가올 위기를 경고했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반영한다. 고려 시대에는 산신들에 대해 수시로 봉작을 내려 산신의 가호를 빌기도 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중요 산악들을 국가의 제사대상으로 삼아 정기적으로 제사했다.

한편 불교가 수용되면서 전통신앙과 불교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산신은 사찰의 수호신으로 [자리](/topic/자리) 잡는다. 그래서 사찰마다 산신각을 지어 산신을 모시게 되는데, 그 시기는 대략 조선 후기로 짐작된다.
사당(산신도)
23747
사당(산신도)
산신당
23807
산신당
산신도
64804
산신도
구월산신령
64793
구월산신령
태백산신령
64810
태백산신령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