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강원도 영동지역 주민들이 봄철에 좋은 날을 받아 [조상신](/topic/조상신)을 모시고 집안 대대로 정해 놓은 산에 올라가 산신, 삼신, 조상신, 군웅신, 용신에게 가족과 [가축](/topic/가축)의 무사안녕 및 번창 그리고 농사 풍년을 기원하는 민간신앙. |
---|---|
mp3Cnt | 0 |
wkorname | 김태수 |
정의 | 강원도 영동지역 주민들이 봄철에 좋은 날을 받아 [조상신](/topic/조상신)을 모시고 집안 대대로 정해 놓은 산에 올라가 산신, 삼신, 조상신, 군웅신, 용신에게 가족과 [가축](/topic/가축)의 무사안녕 및 번창 그리고 농사 풍년을 기원하는 민간신앙. | 정의 | 강원도 영동지역 주민들이 봄철에 좋은 날을 받아 [조상신](/topic/조상신)을 모시고 집안 대대로 정해 놓은 산에 올라가 산신, 삼신, 조상신, 군웅신, 용신에게 가족과 [가축](/topic/가축)의 무사안녕 및 번창 그리고 농사 풍년을 기원하는 민간신앙. | 내용 | 산멕이는 산에 음식을 대접한다는 의미에서 산멕이기, [산메기](/topic/산메기), 산멕이 등으로 불린다. [마을](/topic/마을)을 지키는 신앙을 ‘골맥이’라고 하는 것처럼 산 또는 산군(山君)으로 불리는 호랑이로부터의 피해를 막는다는 의미에서 ‘[산맥이](/topic/산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산멕이의 의례 절차나 내용, 그리고 농사 풍년을 위해 논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를 ‘논멕이’, 제사 음식을 마을 주민들에게 대접하는 것을 ‘마실멕이’라고 하는 등의 언어용례를 세심하게 관찰하면 산 또는 신을 대접한다는 뜻임이 분명하다. 산을 대접한다는 의미의 용어로 산멕이를 소리 나는 대로 쓴 ‘산메기’는 산에 사는 메기라는 오해가 생길 수 있고, ‘산멕이기’는 산멕이하는 행위 전체를 일컫는 말이기는 하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산멕이’가 합당한 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산멕이는 마을 단위의 집단적인 형태와 가정 단위의 개인적인 형태가 있다. 집단적인 산멕이는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며, 주로 음력 3월이나 4월 중 날을 잡는다. 날을 잡는 사람인 당주를 정하고, 당주가 날을 잡아 주민들에게 통보하면서 함께 갈 사람들을 확인한다. 이때 동행할 무당(또는 [독경](/topic/독경)쟁이)도 결정한다. 당일 새벽 네 시에 산멕이 갈 집에서는 제사상을 차려 조상님께 산멕이 행사를 고하고, 마을 어귀에 모여 함께 산을 오른다. 모든 의례는 무당이 주관한다. 산을 오르기 전에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를 한다. 산 정상에 도착하면 태백산신께 올리는 먼산맞이와 산멕이를 하러 온 산신을 위한 산신제를 올린다. 그리고 각 가정의 조상당으로 가서 제단 위에 제물을 진설한 뒤 절을 하고 나면 무당은 각 가정의 제단으로 와 가족들의 생년월일을 확인하며 축원해 준다. 제물은 가정에서의 [기제사](/topic/기제사) 때와 같다고 하지만 집집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 제물 가운데 모든 가정에서 빠뜨리지 않고 준비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동돌개비떡’이다. 동돌개비떡은 쌀가루나 찹쌀가루를 쪄서 둥근 모양으로 빚어 속을 넣지 않고 만드는 떡이다. 이것은 오직 산멕이의 제물로만 쓰인다. 조상당에서의 의례가 끝나면 그 자리에서 몸만 돌려 군웅신께 기원하는 의식을 행한다. 군웅의 신체는 소나무에 오방천을 매단 곳도 있고, 별도의 신체 없이 빌기도 한다. 군웅신에게 집에서 기르는 [가축](/topic/가축), 특히 소의 무사안녕과 번창을 기원한 뒤 삼신당으로 간다. 삼신의 신체는 20~30㎝ 크기의 돌에다 [한지](/topic/한지)를 감싸 실로 묶어 세워 둔 형태이다. 삼신당에서 아이를 점지해 달라고 빌고, 자라고 있는 아이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한다. 기원 대상은 열 살까지의 아동이다. 마지막으로 용신당으로 간다. 용신당은 큰 바위에 물웅덩이가 만들어진 곳이다. 이곳에서 간단히 제물을 차려 놓고 제를 올린 뒤 마치 씨를 뿌리듯 쌀을 던지며 농사 풍년을 기원한다. 그리고 조상님께 새 옷을 입혀 드린다는 의미의 ‘조상길갈라주기’로 의례를 모두 마친다. 조상길갈라주기는 [삼베](/topic/삼베)조각을 길게 늘어뜨려 놓고 좌우로 찢은 다음 나뭇[가지](/topic/가지)에 걸어 두는 의식이다. 제를 마치면 무당은 칼을 던져 신의 감응을 확인한다. 주민들은 상에 놓은 제물을 거둬들여서 한자리에 모여 즐거운 여흥의 시간을 갖다가 오후 2~3시쯤 산에서 내려온다. 개인적인 산멕이는 주로 삼월삼짇날, 사월초파일, 단오 가운데 하루를 택해 지낸다. 새벽 4시쯤에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부엌](/topic/부엌)에서 집안의 남자가 만들어준 왼새끼줄에 꿩이나 닭, 한지, 바다에서 처음 잡은 생선 등을 끼워 놓은 ‘산’과 다른 제물을 놓고 산멕이가는 것을 고한 후 제물을 그릇에 담아 머리에 이고 조상 대대로 사용하는 신목(神木)이 있는 산으로 향한다. 산에 올라 제단에 도착하면 먼저 자신의 나무(신목; 주로 소나무)에 [금줄](/topic/금줄)을 친 다음 가지고 온 제물을 놓고 제를 지낸다. 집안의 [대주](/topic/대주)인 남편과 가족의 생년월일을 대면서 산신령께 빌고 가축도 탈이 없기를 기원한다. 제물은 메 두 그릇, 무탕, 생선, 두부, [시루떡](/topic/시루떡), 과일, 술 등으로 간결하다. 제사가 모두 끝나면 절을 두 번 하고 가지고 온 칼을 동쪽으로 던진다. 이때 칼끝이 자신과 반대쪽 방향으로 향하면 신이 반갑게 [흠향](/topic/흠향)했다는 뜻으로 믿으며 액이 물러났다고 여긴다. 집단적인 산멕이와 개인적인 산멕이의 공통점은 ①‘산멕이’라는 제의 명칭 ②동 트기 전 새벽에 시작하는 제의 시간 ③산으로 출발하기 전에 집안에서 간단하게 상을 차려 놓고 제를 올리고, 가족들의 생년월일을 적어 축원하며, 끝났을 때 칼을 던져 신의 반응을 확인하는 제의진행 형식 ④제의 장소가 산이라는 점 ⑤집안 단위로 한 제단을 사용하는 점 ⑥시어머니에서 며느리로 이어지는 대물림의 법칙이 작용하는 점 ⑦제의의 목적이 가족 및 가축의 무사안녕과 번창 그리고 농사 풍년을 기원하는 점 등이다. 두 사례에서 모습을 달리하는 것은 제의 주관자, 모시는 신격, 의례형식 등이다. 개인적인 산멕이에서는 제의 주관자가 여성(시어머니와 며느리), 모시는 신격은 산신과 [조상신](/topic/조상신), 의례 형식은 [비손](/topic/비손)이다. 집단적인 산멕이에서는 제의 주관자가 부부 또는 가족이고, 모시는 신격은 산신과 조상신 외에 삼신․군웅신․용신이 추가되며, 의례 형식은 무당에 의한 굿이나 독경쟁이에 의한 독경으로 진행된다. | 내용 | 산멕이는 산에 음식을 대접한다는 의미에서 산멕이기, [산메기](/topic/산메기), 산멕이 등으로 불린다. [마을](/topic/마을)을 지키는 신앙을 ‘골맥이’라고 하는 것처럼 산 또는 산군(山君)으로 불리는 호랑이로부터의 피해를 막는다는 의미에서 ‘[산맥이](/topic/산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산멕이의 의례 절차나 내용, 그리고 농사 풍년을 위해 논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를 ‘논멕이’, 제사 음식을 마을 주민들에게 대접하는 것을 ‘마실멕이’라고 하는 등의 언어용례를 세심하게 관찰하면 산 또는 신을 대접한다는 뜻임이 분명하다. 산을 대접한다는 의미의 용어로 산멕이를 소리 나는 대로 쓴 ‘산메기’는 산에 사는 메기라는 오해가 생길 수 있고, ‘산멕이기’는 산멕이하는 행위 전체를 일컫는 말이기는 하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산멕이’가 합당한 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산멕이는 마을 단위의 집단적인 형태와 가정 단위의 개인적인 형태가 있다. 집단적인 산멕이는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며, 주로 음력 3월이나 4월 중 날을 잡는다. 날을 잡는 사람인 당주를 정하고, 당주가 날을 잡아 주민들에게 통보하면서 함께 갈 사람들을 확인한다. 이때 동행할 무당(또는 [독경](/topic/독경)쟁이)도 결정한다. 당일 새벽 네 시에 산멕이 갈 집에서는 제사상을 차려 조상님께 산멕이 행사를 고하고, 마을 어귀에 모여 함께 산을 오른다. 모든 의례는 무당이 주관한다. 산을 오르기 전에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를 한다. 산 정상에 도착하면 태백산신께 올리는 먼산맞이와 산멕이를 하러 온 산신을 위한 산신제를 올린다. 그리고 각 가정의 조상당으로 가서 제단 위에 제물을 진설한 뒤 절을 하고 나면 무당은 각 가정의 제단으로 와 가족들의 생년월일을 확인하며 축원해 준다. 제물은 가정에서의 [기제사](/topic/기제사) 때와 같다고 하지만 집집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 제물 가운데 모든 가정에서 빠뜨리지 않고 준비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동돌개비떡’이다. 동돌개비떡은 쌀가루나 찹쌀가루를 쪄서 둥근 모양으로 빚어 속을 넣지 않고 만드는 떡이다. 이것은 오직 산멕이의 제물로만 쓰인다. 조상당에서의 의례가 끝나면 그 자리에서 몸만 돌려 군웅신께 기원하는 의식을 행한다. 군웅의 신체는 소나무에 오방천을 매단 곳도 있고, 별도의 신체 없이 빌기도 한다. 군웅신에게 집에서 기르는 [가축](/topic/가축), 특히 소의 무사안녕과 번창을 기원한 뒤 삼신당으로 간다. 삼신의 신체는 20~30㎝ 크기의 돌에다 [한지](/topic/한지)를 감싸 실로 묶어 세워 둔 형태이다. 삼신당에서 아이를 점지해 달라고 빌고, 자라고 있는 아이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한다. 기원 대상은 열 살까지의 아동이다. 마지막으로 용신당으로 간다. 용신당은 큰 바위에 물웅덩이가 만들어진 곳이다. 이곳에서 간단히 제물을 차려 놓고 제를 올린 뒤 마치 씨를 뿌리듯 쌀을 던지며 농사 풍년을 기원한다. 그리고 조상님께 새 옷을 입혀 드린다는 의미의 ‘조상길갈라주기’로 의례를 모두 마친다. 조상길갈라주기는 [삼베](/topic/삼베)조각을 길게 늘어뜨려 놓고 좌우로 찢은 다음 나뭇[가지](/topic/가지)에 걸어 두는 의식이다. 제를 마치면 무당은 칼을 던져 신의 감응을 확인한다. 주민들은 상에 놓은 제물을 거둬들여서 한자리에 모여 즐거운 여흥의 시간을 갖다가 오후 2~3시쯤 산에서 내려온다. 개인적인 산멕이는 주로 삼월삼짇날, 사월초파일, 단오 가운데 하루를 택해 지낸다. 새벽 4시쯤에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부엌](/topic/부엌)에서 집안의 남자가 만들어준 왼새끼줄에 꿩이나 닭, 한지, 바다에서 처음 잡은 생선 등을 끼워 놓은 ‘산’과 다른 제물을 놓고 산멕이가는 것을 고한 후 제물을 그릇에 담아 머리에 이고 조상 대대로 사용하는 신목(神木)이 있는 산으로 향한다. 산에 올라 제단에 도착하면 먼저 자신의 나무(신목; 주로 소나무)에 [금줄](/topic/금줄)을 친 다음 가지고 온 제물을 놓고 제를 지낸다. 집안의 [대주](/topic/대주)인 남편과 가족의 생년월일을 대면서 산신령께 빌고 가축도 탈이 없기를 기원한다. 제물은 메 두 그릇, 무탕, 생선, 두부, [시루떡](/topic/시루떡), 과일, 술 등으로 간결하다. 제사가 모두 끝나면 절을 두 번 하고 가지고 온 칼을 동쪽으로 던진다. 이때 칼끝이 자신과 반대쪽 방향으로 향하면 신이 반갑게 [흠향](/topic/흠향)했다는 뜻으로 믿으며 액이 물러났다고 여긴다. 집단적인 산멕이와 개인적인 산멕이의 공통점은 ①‘산멕이’라는 제의 명칭 ②동 트기 전 새벽에 시작하는 제의 시간 ③산으로 출발하기 전에 집안에서 간단하게 상을 차려 놓고 제를 올리고, 가족들의 생년월일을 적어 축원하며, 끝났을 때 칼을 던져 신의 반응을 확인하는 제의진행 형식 ④제의 장소가 산이라는 점 ⑤집안 단위로 한 제단을 사용하는 점 ⑥시어머니에서 며느리로 이어지는 대물림의 법칙이 작용하는 점 ⑦제의의 목적이 가족 및 가축의 무사안녕과 번창 그리고 농사 풍년을 기원하는 점 등이다. 두 사례에서 모습을 달리하는 것은 제의 주관자, 모시는 신격, 의례형식 등이다. 개인적인 산멕이에서는 제의 주관자가 여성(시어머니와 며느리), 모시는 신격은 산신과 [조상신](/topic/조상신), 의례 형식은 [비손](/topic/비손)이다. 집단적인 산멕이에서는 제의 주관자가 부부 또는 가족이고, 모시는 신격은 산신과 조상신 외에 삼신․군웅신․용신이 추가되며, 의례 형식은 무당에 의한 굿이나 독경쟁이에 의한 독경으로 진행된다. | 역사 | 산멕이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전승집단 구성원들은 [마을](/topic/마을)의 [입향시조](/topic/입향시조)(入鄕始祖) 때부터 대대로 이어온 민속인 만큼 수백 년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을 뒷받침할 만한 문헌기록은 빈약하다. 추강 남효온(南孝溫, 1454~1492)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에 “영동 민속에는 매년 3․4․5월 중에 택일하여 무당을 맞이하고, 산해진미를 극진히 장만하여 산신에게 제를 지낸다. 부유한 자는 말에 싣고 가난한 자는 짊어지고 가서 제단에 제물을 진설한다. 생황을 불고 북을 치며 [거문고](/topic/거문고)를 뜯는 등 연 사흘 동안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고 논 연후에 집으로 내려 온다” 는 기록이 있다. 구체적인 제의 내용이 없어 단순한 산신제인지 집단적인 산멕이인지 불분명하지만 이 자료가 조선 전기의 산멕이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가 되고 있다. 조선 후기의 자료로는 홍석모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소개된 충청북도 진천지역의 풍속으로 “3월 3일부터 4월 8일까지 여인들이 무당을 초빙하여 용왕당과 삼신당에서 제를 올린다.”는 내용이다. 두 사례가 오늘날까지 영동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산멕이와 같은 유형의 산제라고 보면 그 역사가 조선 전기로 소급되고 전승 범위도 넓어진다. 영동지역 산멕이에 대한 좀 더 정확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펴낸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에서 볼 수 있다. 삼척지역의 봄철 놀이로 “[문중](/topic/문중)별로 모여 집안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무당과 함께 산 속으로 가서 산제(山祭)를 올린다.”는 내용이다. 삼척지역의 민속 조사 자료에서도 산멕이는 삼월 삼짇날이나 사월 초파일 또는 음력 삼월에 택일하는 봄철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이고, 문중(씨족) 단위로 무당을 대동하는 집단적인 민속신앙이라고 서술되어 있다. 산멕이의 초기 형태는 한 마을에 사는 문중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행하는 민속이었다. 그러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마을 내의 씨족구성원이 급격히 줄어들자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와 같이 마을 단위의 행사로 변한 곳도 있고 강릉지역의 사례처럼 각자 가정에서 날을 잡고 행하는 가정 단위의 산멕이로 변한 곳도 있다. 또한 초기에는 여성(시어머니와 며느리 등)이 의례의 주관자였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부부 또는 가족 모두로 변화되었다. 사제자 및 의례 방식도 여러 명의 무당을 대동하는 [굿놀이](/topic/굿놀이)에서 독경쟁이 또는 개인 치성으로 바뀌었다. | 역사 | 산멕이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전승집단 구성원들은 [마을](/topic/마을)의 [입향시조](/topic/입향시조)(入鄕始祖) 때부터 대대로 이어온 민속인 만큼 수백 년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을 뒷받침할 만한 문헌기록은 빈약하다. 추강 남효온(南孝溫, 1454~1492)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에 “영동 민속에는 매년 3․4․5월 중에 택일하여 무당을 맞이하고, 산해진미를 극진히 장만하여 산신에게 제를 지낸다. 부유한 자는 말에 싣고 가난한 자는 짊어지고 가서 제단에 제물을 진설한다. 생황을 불고 북을 치며 [거문고](/topic/거문고)를 뜯는 등 연 사흘 동안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배부르도록 음식을 먹고 논 연후에 집으로 내려 온다” 는 기록이 있다. 구체적인 제의 내용이 없어 단순한 산신제인지 집단적인 산멕이인지 불분명하지만 이 자료가 조선 전기의 산멕이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가 되고 있다. 조선 후기의 자료로는 홍석모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소개된 충청북도 진천지역의 풍속으로 “3월 3일부터 4월 8일까지 여인들이 무당을 초빙하여 용왕당과 삼신당에서 제를 올린다.”는 내용이다. 두 사례가 오늘날까지 영동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산멕이와 같은 유형의 산제라고 보면 그 역사가 조선 전기로 소급되고 전승 범위도 넓어진다. 영동지역 산멕이에 대한 좀 더 정확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펴낸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에서 볼 수 있다. 삼척지역의 봄철 놀이로 “[문중](/topic/문중)별로 모여 집안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무당과 함께 산 속으로 가서 산제(山祭)를 올린다.”는 내용이다. 삼척지역의 민속 조사 자료에서도 산멕이는 삼월 삼짇날이나 사월 초파일 또는 음력 삼월에 택일하는 봄철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이고, 문중(씨족) 단위로 무당을 대동하는 집단적인 민속신앙이라고 서술되어 있다. 산멕이의 초기 형태는 한 마을에 사는 문중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행하는 민속이었다. 그러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마을 내의 씨족구성원이 급격히 줄어들자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와 같이 마을 단위의 행사로 변한 곳도 있고 강릉지역의 사례처럼 각자 가정에서 날을 잡고 행하는 가정 단위의 산멕이로 변한 곳도 있다. 또한 초기에는 여성(시어머니와 며느리 등)이 의례의 주관자였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부부 또는 가족 모두로 변화되었다. 사제자 및 의례 방식도 여러 명의 무당을 대동하는 [굿놀이](/topic/굿놀이)에서 독경쟁이 또는 개인 치성으로 바뀌었다. | 지역사례 | 삼척지역에서는 대부분의 [마을](/topic/마을)에서 집단적인 산멕이를 이어 왔다. 그러나 1970년 후반부터 급격히 사라졌다.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곳은 도계읍 점리와 미로면 내미로리 정도이다. 내미로리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 산멕이를 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부터 봄에 한 번씩 하다가 최근에는 2년에 한 번씩 하고 있다. 음력 3월 중 좋은 날을 택하여 산멕이를 해 오다가 최근에는 산불 예방을 위한 입산통제로 인해 음력 사월로 시기가 늦추어지고 있다. 점리에서는 3년에 한 번 4월에 날을 잡아 산멕이를 하고 있다. 이 두 마을의 경우도 한 마을에 사는 같은 씨족끼리 산멕이를 하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마을 단위의 산멕이로 변했다. 마을의 당주가 날을 잡으면 주민 모두가 함께 가는 형태이다. 마을에서 집단적인 산멕이의 전통이 사라지면서 하지 않는 집이 많지만 삼척지역에서는 아직도 개별적으로 마을마다 몇 집 정도는 산멕이를 행하고 있다. 개인적인 산멕이는 강릉이 주요 전승지이다. 옥계면 심곡리와 도직리 등 바다에 접한 마을에서 산멕이의 사례가 보고되었다. 음력 5월 4일 밤 12시에 성황제를 지내고 오일 새벽 네 시경에 산멕이를 지낸다. 남자들이 보면 부정 탄다고 하여 남편들은 부인이 산멕이 가는 것을 알아도 모른 척한다.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함께 제물을 이고 산으로 가서 각 가정의 신목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제물을 진설한 다음 제를 지내고 내려와 강릉 [단오장](/topic/단오장)으로 놀러간다고 한다. 강원도 영동지역 이외에 산멕이와 유사성을 보이는 사례로는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모산마을의 산제(山祭)를 들 수 있다. [종가](/topic/종가)에서는 3년마다 산제를 지낸다. 가문마다 산제를 지내는 장소가 따로 있다. 제사는 맏며느리가 주체가 되어 진행한다. 산제를 가기 전에 먼저 성주와 조상에게 고한 뒤 음식을 준비해서 산제를 지내는 곳의 튼 나무를 찾아간다. 제사를 지내고 산에서 내려와 [대문](/topic/대문)에 맞작대기를 사흘 동안 걸며, 이 기간에는 집 안에 아무도 들어갈 수 없다. 삼척지역의 산멕이도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에 ‘산제’로 기록되었고, 제사 참여범위가 집안 단위이며, 제의 주관자가 여성(맏며느리)이고, 제의 절차와 신체까지 산멕이와 유사한 형태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학가산 자락의 신전2리와 석탑리의 동제(洞祭)도 산멕이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사례이다. 이 두 마을은 김용(金涌)이라는 경주 김씨 [입향시조](/topic/입향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개척된 동성마을이며, 두 마을 사이에 선산이 있어 이를 공유하고 있다. 산줄기 정점인 삿갓봉에는 이 마을에 살고 있는 경주 김씨 사람들이 정성스럽게 모시는 ‘신구할매’가 좌정한 까닭에 매년 봄가을로 공동제사를 올린다. 이 마을에서 전승되는 신화는 대부분 신구할매에 집중되어 있다. 입향시조는 시월 시사(時祀)에 국한되지만 신구할매는 4월과 10월에 가족 단위로 전국에 흩어진 가족들이 모여 제를 올리고 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집안 단위의 공동제의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문헌 자료로는 홍성모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에 소개된 충청북도 진천지역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진천 땅 풍속에 3월 3일부터 4월 8일까지 여인들이 무당을 초빙하여 우담(牛潭)의 동서 용왕당(龍王堂)과 삼신당(三神堂)에 가서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정성을 올린다. 이 지역에서는 그러한 행렬이 끊어지지 않으며, 사방에서 여인들이 모여들어 기원을 하고 있어 연중 시장을 이룬 것같이 들끓었다는 내용이다. | 人们在春季择吉日,一家人来到祖祖辈辈供奉[祖先](/topic/祖先)神的山上,向众神祈祷保佑家人及家畜平安兴旺五谷丰登的祭仪,主要在江原道岭东地区进行。 “祭山”意指向山祭献供品。流传至现代的祭山分为两种:一是以村庄为单位举行,二是以家庭为单位举行。 集体祭山大多选在阴历三月或四月举行。祭仪的日期由堂主决定。参事的各家各户在祭山当天凌晨四点将供品在祭案上摆好,禀告祖先要举办祭山活动,然后在村口集合一起上山。到达山顶后,先进行[山神](/topic/山神)祭仪。之后各家到各自[祠堂](/topic/祠堂),将供品陈设于祭坛之上,行跪拜礼。此后巫师来到各家祭坛前,问家庭成员的出生日期,为其祈福。祭品当中不可或缺的是浑圆实心糕。该年糕用米粉或糯米粉蒸熟后捏成圆形做成,里面不放陷。接下来向“[军雄](/topic/军雄)神”祈祷,求其保佑家畜,特别是保佑牛的平安兴旺。之后在[三神](/topic/三神)堂祈求生子,还祈求神保佑孩子健康幸福。最后到龙神堂,简单地摆上祭品,祭祀后,将米像撒种子般撒出去祈求五谷丰登。祭仪结束后,巫师掷刀,看神是否有[感应](/topic/感应)。 私人祭山大多在阴历三月三日,四月八日,五月五日([端午](/topic/端午))中[择日](/topic/择日)进行。其过程与集体祭山相似,不过集体祭山由巫师主持,而私人祭山则由各家婆婆或媳妇等女主人主持。 | Sanmegi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un ritual para rendir homenaje a una montaña con comida ofrendada que se realiza mayormente en las áreas de Yeongdong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El término “sanmegi” significa “servir la comida a la montaña”. En la actualidad, el sanmegi se celebra tanto en lo comunal como en lo individual. El sanmegi se puede realizar con la participación de todos los aldeanos en un día de marzo o abril del calendario lunar. El oficiante del ritual suele seleccionar la fecha para efectuar el ritual. En el día del ritual, cada hogar prepara una mesa sacrificial para ofrecerla a los espíritus de sus antepasados a las 4 de la mañana. Y luego, todos los aldeanos se reúnen en la entrada de la aldea y suben juntos a la montaña. Al llegar a la cima de la montaña, inician un ritual para venerar al dios de la montaña llamado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Después de ofrendar la comida sacrificial sobre el altar y hacer una reverencia profunda en frente del altar de cada santuario del dios ancestral de los aldeanos, el chamán confirma las fechas de nacimiento de los miembros de la familia y ofrece oraciones para ellos. Un alimento que es indispensable para preparar la mesa sacrificial es un tipo de pastel de arroz llamado “dongdolgaebitteok”, hecho con harina blanca de arroz y harina de arroz glutinoso, enrollado en forma de bola sin relleno. El siguiente paso consiste en rezar por la salud y proliferación de vacas a [[Gunung](/topic/DeidadMilitar)](/topic/Gunung), dios de las artes marciales e ir al santuario de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dios del parto para pedir por la concepción de un bebé. Por último, los participantes del ritual se dirigen al santuario del [Rey Dragón](/topic/ReyDragón) llamado Yongsin para realizar un ritual con la mesa sacrificial y esparcir los granos de arroz como si sembraran las semillas. Este es un acto para pedir por una buena cosecha. Al finalizar el ritual, el chamán tira su cuchillo al suelo para ver si los dioses han sido impresionados por el ritual. El ritual se lleva a cabo también de manera individual en un día entre el 3 de marzo, el 8 de abril o el 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celebrado en el hogar son similares al ritual comunal. Una diferencia entre los dos tipos del sanmegi es que el ritual que se efectúa en el hogar se oficia no por un chamán, sino por la suegra o la nuera de la casa. | Sanmegi, literally meaning “mountain-feeding, ” is a ritual held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on an auspicious spring day, by climbing up to a designated family mountain to worship the ancestral god [[Josang](/topic/HouseholdDeities)](/topic/Josang) and to pray for the family’s well-being, healthy cattle, and a good harvest. Today mountainfeeding rituals are observed both communally and privately. Communal rituals generally take place in the third or fourth lunar month, on an auspicious date selected by the ritual host, who makes an announcement to invite villagers to join them. The host also hires a shaman or sorcerer to officiate the ritual. At 4 in the morning on the day of the ritual, a ritual table for the ancestral god Josang is set up at the host’s home to offer a report about the ritual, then the rest of the party gathers at the edge of the village to start the climb. All rituals are officiated by a shaman or sorcerer. Upon arrival at the mountain summit, a ritual is held for the mountain god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Then each member of the party heads to his family’s ancestral shrine and sets up a ritual table and offers bows, which is followed by the shaman going around the ancestral shrines to check the birthdates of the family members and offer prayers. An item that is indispensable to the table of sacrificial offerings is a rice cake called dongdolgaebitteok, made with steamed white rice powder or sticky rice powder, rolled into round balls without filling. The party then prays for the health of cows to martial hero deity [[Gunung](/topic/MartialHeroDeity)](/topic/Gunung), prays for a new child or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at samsindang (shrine for goddess of childbearing). Lastly, the party heads to yongsindang (dragon god shrine), where a simple ritual table is set up and the ritual is followed by the scattering of grains of rice, reminiscent of seed-sowing, to pray for a good harvest. When the entire ritual process is over, the shaman throws her knife to the ground to see if the gods have been moved by the ritual. The villagers enjoy a festive feast with the food from the ritual table and descend the mountain between 2 and 3 in the afternoon. Private mountain-feeding rituals are generally held on one of the following dates: the third day of the third lunar month; the eighth day of the fourth lunar month; or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The ritual follows a procedure similar to the communal version, but is officiated not by shamans but the women of the house–the mother-in-law, or the daughter-in-law. | 지역사례 | 삼척지역에서는 대부분의 [마을](/topic/마을)에서 집단적인 산멕이를 이어 왔다. 그러나 1970년 후반부터 급격히 사라졌다.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곳은 도계읍 점리와 미로면 내미로리 정도이다. 내미로리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 산멕이를 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부터 봄에 한 번씩 하다가 최근에는 2년에 한 번씩 하고 있다. 음력 3월 중 좋은 날을 택하여 산멕이를 해 오다가 최근에는 산불 예방을 위한 입산통제로 인해 음력 사월로 시기가 늦추어지고 있다. 점리에서는 3년에 한 번 4월에 날을 잡아 산멕이를 하고 있다. 이 두 마을의 경우도 한 마을에 사는 같은 씨족끼리 산멕이를 하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마을 단위의 산멕이로 변했다. 마을의 당주가 날을 잡으면 주민 모두가 함께 가는 형태이다. 마을에서 집단적인 산멕이의 전통이 사라지면서 하지 않는 집이 많지만 삼척지역에서는 아직도 개별적으로 마을마다 몇 집 정도는 산멕이를 행하고 있다. 개인적인 산멕이는 강릉이 주요 전승지이다. 옥계면 심곡리와 도직리 등 바다에 접한 마을에서 산멕이의 사례가 보고되었다. 음력 5월 4일 밤 12시에 성황제를 지내고 오일 새벽 네 시경에 산멕이를 지낸다. 남자들이 보면 부정 탄다고 하여 남편들은 부인이 산멕이 가는 것을 알아도 모른 척한다.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함께 제물을 이고 산으로 가서 각 가정의 신목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제물을 진설한 다음 제를 지내고 내려와 강릉 [단오장](/topic/단오장)으로 놀러간다고 한다. 강원도 영동지역 이외에 산멕이와 유사성을 보이는 사례로는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모산마을의 산제(山祭)를 들 수 있다. [종가](/topic/종가)에서는 3년마다 산제를 지낸다. 가문마다 산제를 지내는 장소가 따로 있다. 제사는 맏며느리가 주체가 되어 진행한다. 산제를 가기 전에 먼저 성주와 조상에게 고한 뒤 음식을 준비해서 산제를 지내는 곳의 튼 나무를 찾아간다. 제사를 지내고 산에서 내려와 [대문](/topic/대문)에 맞작대기를 사흘 동안 걸며, 이 기간에는 집 안에 아무도 들어갈 수 없다. 삼척지역의 산멕이도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에 ‘산제’로 기록되었고, 제사 참여범위가 집안 단위이며, 제의 주관자가 여성(맏며느리)이고, 제의 절차와 신체까지 산멕이와 유사한 형태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학가산 자락의 신전2리와 석탑리의 동제(洞祭)도 산멕이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사례이다. 이 두 마을은 김용(金涌)이라는 경주 김씨 [입향시조](/topic/입향시조)를 기점으로 하여 개척된 동성마을이며, 두 마을 사이에 선산이 있어 이를 공유하고 있다. 산줄기 정점인 삿갓봉에는 이 마을에 살고 있는 경주 김씨 사람들이 정성스럽게 모시는 ‘신구할매’가 좌정한 까닭에 매년 봄가을로 공동제사를 올린다. 이 마을에서 전승되는 신화는 대부분 신구할매에 집중되어 있다. 입향시조는 시월 시사(時祀)에 국한되지만 신구할매는 4월과 10월에 가족 단위로 전국에 흩어진 가족들이 모여 제를 올리고 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집안 단위의 공동제의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문헌 자료로는 홍성모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에 소개된 충청북도 진천지역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진천 땅 풍속에 3월 3일부터 4월 8일까지 여인들이 무당을 초빙하여 우담(牛潭)의 동서 용왕당(龍王堂)과 삼신당(三神堂)에 가서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정성을 올린다. 이 지역에서는 그러한 행렬이 끊어지지 않으며, 사방에서 여인들이 모여들어 기원을 하고 있어 연중 시장을 이룬 것같이 들끓었다는 내용이다. | 人们在春季择吉日,一家人来到祖祖辈辈供奉[祖先](/topic/祖先)神的山上,向众神祈祷保佑家人及家畜平安兴旺五谷丰登的祭仪,主要在江原道岭东地区进行。 “祭山”意指向山祭献供品。流传至现代的祭山分为两种:一是以村庄为单位举行,二是以家庭为单位举行。 集体祭山大多选在阴历三月或四月举行。祭仪的日期由堂主决定。参事的各家各户在祭山当天凌晨四点将供品在祭案上摆好,禀告祖先要举办祭山活动,然后在村口集合一起上山。到达山顶后,先进行[山神](/topic/山神)祭仪。之后各家到各自[祠堂](/topic/祠堂),将供品陈设于祭坛之上,行跪拜礼。此后巫师来到各家祭坛前,问家庭成员的出生日期,为其祈福。祭品当中不可或缺的是浑圆实心糕。该年糕用米粉或糯米粉蒸熟后捏成圆形做成,里面不放陷。接下来向“[军雄](/topic/军雄)神”祈祷,求其保佑家畜,特别是保佑牛的平安兴旺。之后在[三神](/topic/三神)堂祈求生子,还祈求神保佑孩子健康幸福。最后到龙神堂,简单地摆上祭品,祭祀后,将米像撒种子般撒出去祈求五谷丰登。祭仪结束后,巫师掷刀,看神是否有[感应](/topic/感应)。 私人祭山大多在阴历三月三日,四月八日,五月五日([端午](/topic/端午))中[择日](/topic/择日)进行。其过程与集体祭山相似,不过集体祭山由巫师主持,而私人祭山则由各家婆婆或媳妇等女主人主持。 | Sanmegi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un ritual para rendir homenaje a una montaña con comida ofrendada que se realiza mayormente en las áreas de Yeongdong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El término “sanmegi” significa “servir la comida a la montaña”. En la actualidad, el sanmegi se celebra tanto en lo comunal como en lo individual. El sanmegi se puede realizar con la participación de todos los aldeanos en un día de marzo o abril del calendario lunar. El oficiante del ritual suele seleccionar la fecha para efectuar el ritual. En el día del ritual, cada hogar prepara una mesa sacrificial para ofrecerla a los espíritus de sus antepasados a las 4 de la mañana. Y luego, todos los aldeanos se reúnen en la entrada de la aldea y suben juntos a la montaña. Al llegar a la cima de la montaña, inician un ritual para venerar al dios de la montaña llamado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Después de ofrendar la comida sacrificial sobre el altar y hacer una reverencia profunda en frente del altar de cada santuario del dios ancestral de los aldeanos, el chamán confirma las fechas de nacimiento de los miembros de la familia y ofrece oraciones para ellos. Un alimento que es indispensable para preparar la mesa sacrificial es un tipo de pastel de arroz llamado “dongdolgaebitteok”, hecho con harina blanca de arroz y harina de arroz glutinoso, enrollado en forma de bola sin relleno. El siguiente paso consiste en rezar por la salud y proliferación de vacas a [[Gunung](/topic/DeidadMilitar)](/topic/Gunung), dios de las artes marciales e ir al santuario de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dios del parto para pedir por la concepción de un bebé. Por último, los participantes del ritual se dirigen al santuario del [Rey Dragón](/topic/ReyDragón) llamado Yongsin para realizar un ritual con la mesa sacrificial y esparcir los granos de arroz como si sembraran las semillas. Este es un acto para pedir por una buena cosecha. Al finalizar el ritual, el chamán tira su cuchillo al suelo para ver si los dioses han sido impresionados por el ritual. El ritual se lleva a cabo también de manera individual en un día entre el 3 de marzo, el 8 de abril o el 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celebrado en el hogar son similares al ritual comunal. Una diferencia entre los dos tipos del sanmegi es que el ritual que se efectúa en el hogar se oficia no por un chamán, sino por la suegra o la nuera de la casa. | Sanmegi, literally meaning “mountain-feeding, ” is a ritual held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on an auspicious spring day, by climbing up to a designated family mountain to worship the ancestral god [[Josang](/topic/HouseholdDeities)](/topic/Josang) and to pray for the family’s well-being, healthy cattle, and a good harvest. Today mountainfeeding rituals are observed both communally and privately. Communal rituals generally take place in the third or fourth lunar month, on an auspicious date selected by the ritual host, who makes an announcement to invite villagers to join them. The host also hires a shaman or sorcerer to officiate the ritual. At 4 in the morning on the day of the ritual, a ritual table for the ancestral god Josang is set up at the host’s home to offer a report about the ritual, then the rest of the party gathers at the edge of the village to start the climb. All rituals are officiated by a shaman or sorcerer. Upon arrival at the mountain summit, a ritual is held for the mountain god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Then each member of the party heads to his family’s ancestral shrine and sets up a ritual table and offers bows, which is followed by the shaman going around the ancestral shrines to check the birthdates of the family members and offer prayers. An item that is indispensable to the table of sacrificial offerings is a rice cake called dongdolgaebitteok, made with steamed white rice powder or sticky rice powder, rolled into round balls without filling. The party then prays for the health of cows to martial hero deity [[Gunung](/topic/MartialHeroDeity)](/topic/Gunung), prays for a new child or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at samsindang (shrine for goddess of childbearing). Lastly, the party heads to yongsindang (dragon god shrine), where a simple ritual table is set up and the ritual is followed by the scattering of grains of rice, reminiscent of seed-sowing, to pray for a good harvest. When the entire ritual process is over, the shaman throws her knife to the ground to see if the gods have been moved by the ritual. The villagers enjoy a festive feast with the food from the ritual table and descend the mountain between 2 and 3 in the afternoon. Private mountain-feeding rituals are generally held on one of the following dates: the third day of the third lunar month; the eighth day of the fourth lunar month; or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The ritual follows a procedure similar to the communal version, but is officiated not by shamans but the women of the house–the mother-in-law, or the daughter-in-law. | 의의 | 산멕이는 만물이 소생하는 봄철에 한 [마을](/topic/마을)에 사는 [문중](/topic/문중) 사람들이 생기 좋은 날을 택해 집 안에서 모시는 [조상신](/topic/조상신)과 함께 정해진 문중 산에 올라 생식의 능력이 있는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가족 모두의 무사안녕과 자손 번창, [가축](/topic/가축)의 번창, 곡식의 번창을 기원하는 생명의 확대 재생산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가정신앙이다. | 참고문헌 | 영동지역 “산멕이”연구 (김경남, 임영문화 16, 강릉문화원, 1992)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 (村山智順, 박전열 역, 집문당, 1992) 삼척지방의 [마을](/topic/마을)신앙 (장정룡, 삼척문화원, 1993) 강원지역 [산맥이](/topic/산맥이) 신앙 고찰 (장정룡, 한국민속학 25, 민속학회, 1993) 산에다 복을 비는 민간신앙, [산메기](/topic/산메기) (황루시, 실직문화 5, 삼척문화원, 1994) 한국세시풍속기 (강무학, 집문당, 1995) 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문화사, 1998) 강원도 민속의 지역적 정체성-산간민속을 중심으로 (김진순, 비교민속학 29, 비교민속학회, 2000) 삼척지역의 민속문화 (이창식, 삼척문화원, 2000) 산메기 현지연구-강원도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김진순, 역사민속학 10, 민속원, 2000) 산메기의 특징과 가정신앙적 성격 (장장식, 한국의 가정신앙-하, 민속원, 2005) ‘산멕이’에 관한 논쟁적 해석 (김태수, 한국민속학 43, 한국민속학회, 2006) | 의의 | 산멕이는 만물이 소생하는 봄철에 한 [마을](/topic/마을)에 사는 [문중](/topic/문중) 사람들이 생기 좋은 날을 택해 집 안에서 모시는 [조상신](/topic/조상신)과 함께 정해진 문중 산에 올라 생식의 능력이 있는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가족 모두의 무사안녕과 자손 번창, [가축](/topic/가축)의 번창, 곡식의 번창을 기원하는 생명의 확대 재생산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가정신앙이다. | 참고문헌 | 영동지역 “산멕이”연구 (김경남, 임영문화 16, 강릉문화원, 1992) [조선의 향토오락](/topic/조선의향토오락) (村山智順, 박전열 역, 집문당, 1992) 삼척지방의 [마을](/topic/마을)신앙 (장정룡, 삼척문화원, 1993) 강원지역 [산맥이](/topic/산맥이) 신앙 고찰 (장정룡, 한국민속학 25, 민속학회, 1993) 산에다 복을 비는 민간신앙, [산메기](/topic/산메기) (황루시, 실직문화 5, 삼척문화원, 1994) 한국세시풍속기 (강무학, 집문당, 1995) 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문화사, 1998) 강원도 민속의 지역적 정체성-산간민속을 중심으로 (김진순, 비교민속학 29, 비교민속학회, 2000) 삼척지역의 민속문화 (이창식, 삼척문화원, 2000) 산메기 현지연구-강원도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김진순, 역사민속학 10, 민속원, 2000) 산메기의 특징과 가정신앙적 성격 (장장식, 한국의 가정신앙-하, 민속원, 2005) ‘산멕이’에 관한 논쟁적 해석 (김태수, 한국민속학 43, 한국민속학회, 2006) |
---|
산멕이를 지내기 위해 준비한 제물을 진설한 광경 | 13457 산멕이를 지내기 위해 준비한 제물을 진설한 광경 |
---|---|
마을 주민들이 모여 산멕이를 지냄 | 13456 마을 주민들이 모여 산멕이를 지냄 |
산멕이러 가기 전에 주방에 걸어둔 산을 채에 담아 준비한 제수 위에 둠 | 13455 산멕이러 가기 전에 주방에 걸어둔 산을 채에 담아 준비한 제수 위에 둠 |
주방에 걸어둔 산 | 13454 주방에 걸어둔 산 |
객귀물리기 | 13453 객귀물리기 |
조상길갈라주기 | 13452 조상길갈라주기 |
용신제 | 13451 용신제 |
삼신당 축원 | 13450 삼신당 축원 |
삼신당 상차리기 | 13449 삼신당 상차리기 |
조상당 소지올리기 | 13448 조상당 소지올리기 |
산멕이를 지내기 위해 준비한 제물을 진설한 광경 | 13457 산멕이를 지내기 위해 준비한 제물을 진설한 광경 |
마을 주민들이 모여 산멕이를 지냄 | 13456 마을 주민들이 모여 산멕이를 지냄 |
산멕이러 가기 전에 주방에 걸어둔 산을 채에 담아 준비한 제수 위에 둠 | 13455 산멕이러 가기 전에 주방에 걸어둔 산을 채에 담아 준비한 제수 위에 둠 |
주방에 걸어둔 산 | 13454 주방에 걸어둔 산 |
객귀물리기 | 13453 객귀물리기 |
조상길갈라주기 | 13452 조상길갈라주기 |
용신제 | 13451 용신제 |
삼신당 축원 | 13450 삼신당 축원 |
삼신당 상차리기 | 13449 삼신당 상차리기 |
조상당 소지올리기 | 13448 조상당 소지올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