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3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삼신모시기
    590 2023.02.27
    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화신제(火神祭)’ 또는 ‘물보기제’라고도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7년 5월 15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액막이
    588 2023.02.27
    액운이 들 것으로 예상되면 정초에 액을 막기 위해 하는 주술적 의례.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4리 해망산에 위치한 천제당과 성황당에서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서낭제.
  • 출어고사
    587 2023.02.27
    첫 출어 시에 어로의 안전과 풍어를 빌기 위해 지내는 제의. 출어고사는 출어할 때마다 지낸다기보다 새해 첫 번째 출어할 때 지내는 고사라는 뜻이다. 고사를 지내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출어고사, 명절고사, 진수고사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출어고사를 가장 큰 규모로 지낸다.
  • 용왕제
    587 2023.02.27
    어로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바다의 용왕신에게 올리는 [마을](/topic/마을)공동제의.
  • 죽령산신당
    587 2023.02.27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3리에 있으며, 조선시대 국행제(國行祭)이던 죽령산신제의 제당. ‘국[사당](/topic/사당)(國師堂)’이라고도 불리며, 목조[기와](/topic/기와) 형식을 갖추고 있다. 1976년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3호’로 지정되었다.
  • 인삼고사
    586 2023.02.27
    [인삼](/topic/인삼)을 재배하는 가정에서 인삼농사의 풍작을 위해 [생업](/topic/생업) 현장인 인삼밭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
  • 혼맞이굿
    586 2023.02.27
    씻김굿 중 수사자(水死者) 이외의 객사한 혼을 집안으로 모셔 오기 위해 길거리에서 혼을 불러 맞이하는 굿.
  • 제석할망고사
    585 2023.02.27
    제주도지역에서 풍농의 신인 제석에게 올리던 [고사](/topic/고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topic/마을)](/topic/하회마을)에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제의.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해 지내는 당굿형 마을제사.
  • 평진오기굿
    585 2023.02.27
    서울굿에서 신분에 따라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망자천도굿의 하나로, 주로 일반 서민들의 진오기굿을 이르는 의례.
  • 서울 자하문 밖 종로구 부암동에서 전승되는 [마을](/topic/마을) 제사. 인왕산 산신을 제사 대상으로 삼고 있다.
  • 주당풀이
    585 2023.02.27
    주당을 맞아 거의 죽어가는 환자를 주술적으로 치료하여 살려내는 민간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