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33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배고사
    3612 2023.02.27
    뱃사람과 배의 안전, 순조로운 뱃길과 만선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배서낭, 어신․수신에게 축원하는 제의
  • 석전·기우·안택
    3611 2023.02.27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식민지 조선의 향토신사(鄕土神祀) 관련 자료집. 조선총독부는 전국에서 올라온 조사 보고를 토대로 1937년에 조선의 향토신사 제1부 『[부락제](/topic/부락제)(部落祭)』를 엮어내었다. 본서는 그 ‘부락제’ 이외의 향토신사에 대한 조사 보고를 정리하여 이듬해 조선의 향토신사 제2부로 편찬한 것이다. 본서의 말미에는 부록으로 관련 문헌자료들이 시대별과 지지별(地誌別)로 정리, 수록되어 있다.
  • 성줏단지
    3611 2023.02.27
    성주신의 신체로 쌀이나 [나락](/topic/나락)을 넣은 단지.
  • 제주지방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 자연석을 원통형으로 앃아 올린 탑. 1995년 8월 2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 대명왕사자기
    3611 2023.02.27
    제주도굿의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에서 대명왕사자(大冥王使者)의 신체(神體)로 쓰이는 [기메](/topic/기메).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마을](/topic/마을)의 안과태평(安過太平)과 각 가정의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제의가 이루어지는 장소.
  • 생기복덕
    3608 2023.02.27
    그날의 운수를 알아 보는 방법 중 하나. 일진(日辰)과 나이를 팔괘(八卦)에 배정하여 상·중·하 세 효(爻)의 변화로써 운수를 본다. 이것은 [제관](/topic/제관) 선정의 기준이 된다.
  • 삼신모시기
    3607 2023.02.27
    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 업가리
    3606 2023.02.27
    가정신앙의 대상이 되는 업의 형태로 모셔지는 신체.
  • 삼재
    3606 2023.02.27
    사람의 태어난 해에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드는 나쁜 운수로서 세 [가지](/topic/가지) 재난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혹은 도병재(刀兵災), 역려재(疫癘災), 기근재(饑饉災) 등을 말함.
  • 3606 2023.02.27
    신령이나 조상 앞에 진설되는 [제물](/topic/제물) 가운데 하나.
  • 된장
    3605 2023.02.27
    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 원주강원감영지
    3604 2023.02.27
    조선시대 강원도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관청이 있던 자리.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 54-1에 있으며, 2002년 3월 9일에 ‘사적 제439호’로 지정되었다.
  • 동맹
    3603 2023.02.27
    고구려에서 매년 10월에 거행한 제천의례.
  • 황도붕기풍어제
    3603 2023.02.27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제사. 이 제사는 1991년 7월 9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