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1936년 조선의 사상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각 지방에서 신을 어떻게 믿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30곳을 조사하여 집필한 조사보고서로 조선총독부에서 1937년 『조선의 향토신사(朝鮮の鄕土神祀)』 중 제1부로 발간하였다 |
---|---|
mp3Cnt | 0 |
wkorname | 최석영 |
정의 |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1936년 조선의 사상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각 지방에서 신을 어떻게 믿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30곳을 조사하여 집필한 조사보고서로 조선총독부에서 1937년 『조선의 향토신사(朝鮮の鄕土神祀)』 중 제1부로 발간하였다 | 정의 |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1936년 조선의 사상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각 지방에서 신을 어떻게 믿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30곳을 조사하여 집필한 조사보고서로 조선총독부에서 1937년 『조선의 향토신사(朝鮮の鄕土神祀)』 중 제1부로 발간하였다 | “Burakusai (Village Rituals)” was the first report issu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Jose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s part of the publication Chōsen no kyōdo shinshi (Folk Religious Worship in Joseon). It was written in 1936 by Murayama Chijun, a Japanese ethnographer who was commissio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o survey the religious practices of Korea as part of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Joseon way of thinking, visiting over 230 locations around the country. As he writes in his introduction, Murayama defined the origin of a people’s cultural heritage as “shinden, ” literally meaning “spiritual field, ” and concluded that the Korean heritage that had been best preserved without external influence was folk religion. Among many communal folk rituals, Murayama emphasized that village rituals were the most importa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He also asserted that with the influence of Western thought, Korean folk religion had been neglected as superstition, but village rituals were representative of the beauty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and that communities where village rituals were observed as a serious tradition were healthy and thriving. Murayama defined “village” not as an administrative unit but the smallest unit of naturally formed communities, and village rituals as the folk custom of staging one or several annual communal rituals, in which the entire community came together to pray to the gods for increased happiness and the prevention of calamities, in order to enjoy a comfortable life of gratitude, devoid of insecurities. | “Burakusai” es el título del primer informe emitido por el Gobierno General de Corea durante la ocupación japonesa de la dinastía Joseon, como parte de la publicación de . El informe fue elaborado en 1936 por Murayama Chijun, un etnógrafo japonés que fue contratado por el Gobierno General de Corea para que estudiara las creencias y prácticas religiosas en la península coreana a fin de investigar la forma de pensar de los ciudadanos de la dinastía Joseon, visitando más de 230 lugares diferentes de todo el país. Como mencionó Murayama en la introducción de su informe, él definió el origen de una herencia cultural de la gente como “shinden” que significaba literalmente “campo espiritual” y concluyó que el legado de Corea más bien conservado sin influencias exteriores era la religión popular. De muchos rituales comunitarios, Murayama Chijun hizo hincapié en el hecho de que los rituales aldeanos eran los más importantes para mejorar la calidad de vida y revitalizar la economía. Él también aseguró que con la influencia del pensamiento occidental,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había sido desestimada por superstición, pero los rituales comunitarios eran representativos de la belleza de la cultura tradicional de Corea, y que las comunidades donde se llevaban a cabo los rituales aldeanos como una tradición importante se consideraban saludables y prósperos. Murayama definió “aldea” no como una unidad administrativa, sino la unidad más pequeña de comunidades formadas de manera natural; y los rituales aldeanos como una costumbre popular que tenía lugar cada vez o varias veces al año en pueblos en la cual la comunidad entera se reunía para rezar a los dioses por una felicidad creciente y prevención de calamidades con el fin de disfrutar de una vida cómoda de gratitud sin inseguridades. | 朝鲜总督府于1937年发行的《朝鲜的乡土神祀》之第一部调查报告书。 1936 年,日本人村山智顺在调查朝鲜思想的过程中,考察了230 个地方对神的信仰,并写下调查记录。 正如《部落祭》序言所述,村山智顺认为精神文化萌芽在于心田(比喻精神的术语),心田结出的果实是精神文化,而这种精神文化中不受外部影响保存完好的便是“乡土神祀”。 村山进一步强调,在具有社会性及共同属性的乡土神祀中,“部落祭”对改善生活,发展经济最为重要。村山在序言中写道,因受西方思想影响,韩国社会的祭仪一度被忽视为迷信,而“部落祭”是摆脱此种禁锢,拥有诸多美好传统文化的祭仪,且认真举行部落祭的部落往往延续着健康的生活。 村山并不认为部落是行政上的部落,而视其为是最小单位的小规模组织。他将部落祭定义为,具有共同生活区域和条件的人们,为躲避威胁生活的灾害,为追求更高品质的幸福生活,向神祈祷,以无忧无虑,充满感激地舒适生活为目的,众志成城,一年举行一次或几次祭祀活动的一种乡土年度活动。 | “Burakusai (Village Rituals)” was the first report issu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Jose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s part of the publication Chōsen no kyōdo shinshi (Folk Religious Worship in Joseon). It was written in 1936 by Murayama Chijun, a Japanese ethnographer who was commissio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o survey the religious practices of Korea as part of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Joseon way of thinking, visiting over 230 locations around the country. As he writes in his introduction, Murayama defined the origin of a people’s cultural heritage as “shinden, ” literally meaning “spiritual field, ” and concluded that the Korean heritage that had been best preserved without external influence was folk religion. Among many communal folk rituals, Murayama emphasized that village rituals were the most importa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He also asserted that with the influence of Western thought, Korean folk religion had been neglected as superstition, but village rituals were representative of the beauty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and that communities where village rituals were observed as a serious tradition were healthy and thriving. Murayama defined “village” not as an administrative unit but the smallest unit of naturally formed communities, and village rituals as the folk custom of staging one or several annual communal rituals, in which the entire community came together to pray to the gods for increased happiness and the prevention of calamities, in order to enjoy a comfortable life of gratitude, devoid of insecurities. | “Burakusai” es el título del primer informe emitido por el Gobierno General de Corea durante la ocupación japonesa de la dinastía Joseon, como parte de la publicación de . El informe fue elaborado en 1936 por Murayama Chijun, un etnógrafo japonés que fue contratado por el Gobierno General de Corea para que estudiara las creencias y prácticas religiosas en la península coreana a fin de investigar la forma de pensar de los ciudadanos de la dinastía Joseon, visitando más de 230 lugares diferentes de todo el país. Como mencionó Murayama en la introducción de su informe, él definió el origen de una herencia cultural de la gente como “shinden” que significaba literalmente “campo espiritual” y concluyó que el legado de Corea más bien conservado sin influencias exteriores era la religión popular. De muchos rituales comunitarios, Murayama Chijun hizo hincapié en el hecho de que los rituales aldeanos eran los más importantes para mejorar la calidad de vida y revitalizar la economía. Él también aseguró que con la influencia del pensamiento occidental,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había sido desestimada por superstición, pero los rituales comunitarios eran representativos de la belleza de la cultura tradicional de Corea, y que las comunidades donde se llevaban a cabo los rituales aldeanos como una tradición importante se consideraban saludables y prósperos. Murayama definió “aldea” no como una unidad administrativa, sino la unidad más pequeña de comunidades formadas de manera natural; y los rituales aldeanos como una costumbre popular que tenía lugar cada vez o varias veces al año en pueblos en la cual la comunidad entera se reunía para rezar a los dioses por una felicidad creciente y prevención de calamidades con el fin de disfrutar de una vida cómoda de gratitud sin inseguridades. | 朝鲜总督府于1937年发行的《朝鲜的乡土神祀》之第一部调查报告书。 1936 年,日本人村山智顺在调查朝鲜思想的过程中,考察了230 个地方对神的信仰,并写下调查记录。 正如《部落祭》序言所述,村山智顺认为精神文化萌芽在于心田(比喻精神的术语),心田结出的果实是精神文化,而这种精神文化中不受外部影响保存完好的便是“乡土神祀”。 村山进一步强调,在具有社会性及共同属性的乡土神祀中,“部落祭”对改善生活,发展经济最为重要。村山在序言中写道,因受西方思想影响,韩国社会的祭仪一度被忽视为迷信,而“部落祭”是摆脱此种禁锢,拥有诸多美好传统文化的祭仪,且认真举行部落祭的部落往往延续着健康的生活。 村山并不认为部落是行政上的部落,而视其为是最小单位的小规模组织。他将部落祭定义为,具有共同生活区域和条件的人们,为躲避威胁生活的灾害,为追求更高品质的幸福生活,向神祈祷,以无忧无虑,充满感激地舒适生活为目的,众志成城,一年举行一次或几次祭祀活动的一种乡土年度活动。 | 내용 | 『부락제』의 저자인 무라야마 지준은 1919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조선총독부와 인연을 맺은 이래 1941년 일본 국내의 조선장학회(朝鮮獎學會) 주사로 자리를 옮겨 삶의방향을 바꾸기까지 조선에서 정열적인 조사활동을 수행하였다. 일본의 패전과 동시에 조선을 떠난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보다 먼저 그가 조선을 떠난 이유가 무엇인지는 분명하게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양부(養父) 무라야마 지젠(村山智全)의 사망으로 인한 사찰 주지의 계승이라는 이유가 크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라야마에 대한 당대의평가는 그의 조사방법과 의의를 둘러싸고 손진태(孫晉泰)와 김효경(金孝敬)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아마도 무라야마의 『부락제』를 처음으로 소개한 사람은 김효경일 것이다. 김효경은 1926년 3월 조선불교단(朝鮮佛敎團)의 제2회 갑종(甲種)포교유학생에 선발되어 같은 해 월 일본의 다이쇼대학(大正大學)에 입학하였다. 그는 1929년 다이쇼대학 전문부 불교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의 종교학과에 입학하여 1932년 3월 「巫堂(Mudang)考」라는 논문으로 졸업하였다. 그 후 1934년까지 종교학과 부수(副手, 아마도 조수에 해당)로 있다가 그다음 해부터는 같은 대학 종교학과 연구실 연구생으로 있었고 1942년까지『다이쇼대학보』에 그의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1942년까지는 다이쇼대학에서 연구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1945년 이후에는 『동국대학교 90년지』에 의하면 1946년 동국대학 전문부 제2부 문화과(文化科) 주임을 지냈다. 6·25전쟁 후 그의 행방은 알 수 없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동안 그는 한국의 무속, [풍수](/topic/풍수), 불교, 성황신앙 등 한국의 신앙 및 종교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 외에 번역서와 일본어로 된『 지나(支那)정신과 그 국민성』이라는 저술을 남기기도 하였다. 김효경은 무라야마의『 부락제』를 “조선의 사회형태에 있어서 부락공동생활에서 이루어진 부락제의 중대한 사명을 보여주는 긴요한 자료로서 높이 평가할 만한 것”이라고 하고 “실로 조선의 민간신앙생활 총결산의 보고”라고 총평하면서 조사목적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조선의 향토신사 제1부로서 서(序)에 서술되어 있듯이 민중의 심전개발, 특히 경신(敬神)관념을 함양하고 애향정신을 진작하는 데 참고자료로서 향토신사(鄕土神祀)는 오래된몇 [가지](/topic/가지) 전통 소산 가운데 가장 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특히 정조에 의하여 지켜져 온 경신 행사이기 때문에 현재 지방향토에 있어서 경신사상을 그 실상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즉『 부락제』는 193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에 의한 심전개발(心田開發)정책과 관련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무라야마가 부락제를 조사한 목적에는 조선총독부의 심전개발정책이 크게 작용하였음은 분명하다. 조선총독부는 1930년대 세계경제공황과 함께 만주사변으로 인한 국제연맹으로부터의 탈퇴 등으로 일본이 국내외적으로 처한 난국을 극복하기위하여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총독을 중심으로 1934년 심전개발정책을 주창하고 이를 종교적으로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조선의 무속 등을 조사한 무라야마 지준, 최남선, 이능화,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등을 중추원으로 불러 심전개발정책을 조선의 민간신앙에서 모색하려는 시도라든가 우가키 총독이 직접 기독교와 불교 관계자들과 만나 대책 마련에 고심하였다. 무라야마 지준이『 부락제』의 서언에서 밝히고 있듯이 정신문화의 싹을 심전이라고 보고 이 심전 위에 맺은 열매를 정신문화로 보았다. 이 정신문화 가운데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온존되어 왔다고 판단한 것이 ‘향토신사(鄕土神祀)’라는 것이다. 그는 더 나아가 사회적이면서 공동적인 속성을 가진 향토신사 가운데 그의 표현대로 하면 ‘부락제’가 생활개선과 경제갱생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무라야마는 서언에서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서구사상의 영향으로 미신으로서 등한시되어 온풍토를 벗어나 부락제야말로 많은 아름다움을 가진 전통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부락제를 진지하게 거행하고 있는 부락이 대체로 건강한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고 보았다. 무라야마는 부락제를 조사한 이유에 대해 “농촌진흥을 목표로 하는 한, 심전개발에 필요한 심전의 인식은 사회공동성이 가장 농후한 향토신사인 부락제를 살핌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다”라고 서술하였다. 무라야마 지준은 부락제를 조사하면서 부락을 행정상의 부락이라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를 이루는 최소단위로 보았다. 부락제에 대해서는 생활지역과 조건을 함께하는부락 사람들이 그 생활을 위협하는 재해를 피하고 그 생활을 증진시키는 행복을 구하기 위하여 신명(神明)에게 기원함으로써 어떠한 불안도 없이 오히려 감사에 충만한 평안한생활을 즐기려고 하는 목적에서 각각 마음을 합쳐 연 1회 혹은 여러 차례 제사를 삼가 행하는 향토적 연중행사의 하나로 정의하였다. 무라야마는 부락제라는 용어와 같은개념으로 동제(洞祭)라는 단어도 사용하고 있으며 조선의 부락제를 조사하면서 다음과 같이 7가지 점에 비추어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조선의 부락제와 일본의 부락제와 비교하여 양자의 공통점으로서 청정화와 신인합일(神人合一)에 주목하고 이 점을 크게 강조하였다. 둘째로 조선의 부락제가 역사적인 유구성뿐만 아니라 불변성에 주목하였다. 조선의 부락제는 제신이 자연신·다신교적이고 강신을 위한 나무를 세우고 참석자들이 춤을 추는 것 등이 통일신라 이전의 고대 그대로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셋째로 조선 부락제의 보편성을 들었다. 무라야마는 조사의 불철저에서 온 결론으로 보면서도 지방적으로 특색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고 보고조선 부락제의 대동소이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조선 부락제의 제신(祭神)이 자연신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여 제신과 부락 사람들 간에 인격적인 관계가 적다는 점을 들었다. 무라야마는 제신의 대부분은 산신이라든가 성황신이라든가 모두 자연력을 신격화한 것으로 부락민과 혈연적 지연적 종족적 내지 일반적으로 문화적 사회적 관계가 있는 역사상의 인물에 이르러서는 매우 드물다는 점을 특색으로 들었다. 부락민은 그것을 두려워하면서 그러나 그 영험력을 무시할 수 없고 그 영험력을 부락의 제재초복(除災招福)에만 희구한다고 하는 바를 조선부락제의 속성으로 보았다. 다섯째로 조선의 부락제는 신에 대한 경원한 태도와 함께 부락제를 통한 ‘심신(心身)의 신성화’야말로 민중의 심전개발을 위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점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점이 무라야마 지준이 조선의 부락제를 조사한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여섯째로 조선의 부락제가 가지는 사회성·공동성에 주목하고 조선의 부락제야말로 향토오락의 제일에 위치할 만하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무라야마는 조선 부락제가 가지는 위생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즉 이 부락제 기간을 전후하여 [마을](/topic/마을) 전체를 크게 청소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무라야마 지준은 조선의 부락제 조사를 통하여 심전개발정책을 위해서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목적이 심전개발정책의 수립에 참고하기 위한 데에 있었지만, 그만큼 현실의 긴박성에서 당시의 동제를 크게 반영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 이는 근대 이전과 이후의 동제변화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무라야마가 한국의 동제를 제대로 파악했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를 통해서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大正大學學報 제17호 (1934) 宗敎硏究 新제9권 (종교연구편집부, 東京:宗敎硏究發行所, 1932) 書評, 村山智順氏の民間信仰四部作を讀みて (손진태, 民俗學, 1933) 民族學硏究 제3권 제4호 (일본민족학회 편, 1937) 일제가 실시한 조선민간신앙조사의 문제점 (김태곤, 석주선교수회갑기념 민속학논총, 1971) 조선불교단연구 (김순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9,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1995) 일제의 동화이데올로기의 창출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7) 書評, 村山智順師の謎 (朝倉敏夫, 民博通信79호, 일본국립민족학박물관, 1997)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9) 구한말, 일제하 민속문헌 해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제국일본이 그린 조선민속 (주영하·임경택·남근우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내용 | 『부락제』의 저자인 무라야마 지준은 1919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조선총독부와 인연을 맺은 이래 1941년 일본 국내의 조선장학회(朝鮮獎學會) 주사로 자리를 옮겨 삶의방향을 바꾸기까지 조선에서 정열적인 조사활동을 수행하였다. 일본의 패전과 동시에 조선을 떠난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보다 먼저 그가 조선을 떠난 이유가 무엇인지는 분명하게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양부(養父) 무라야마 지젠(村山智全)의 사망으로 인한 사찰 주지의 계승이라는 이유가 크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라야마에 대한 당대의평가는 그의 조사방법과 의의를 둘러싸고 손진태(孫晉泰)와 김효경(金孝敬)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아마도 무라야마의 『부락제』를 처음으로 소개한 사람은 김효경일 것이다. 김효경은 1926년 3월 조선불교단(朝鮮佛敎團)의 제2회 갑종(甲種)포교유학생에 선발되어 같은 해 월 일본의 다이쇼대학(大正大學)에 입학하였다. 그는 1929년 다이쇼대학 전문부 불교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의 종교학과에 입학하여 1932년 3월 「巫堂(Mudang)考」라는 논문으로 졸업하였다. 그 후 1934년까지 종교학과 부수(副手, 아마도 조수에 해당)로 있다가 그다음 해부터는 같은 대학 종교학과 연구실 연구생으로 있었고 1942년까지『다이쇼대학보』에 그의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1942년까지는 다이쇼대학에서 연구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1945년 이후에는 『동국대학교 90년지』에 의하면 1946년 동국대학 전문부 제2부 문화과(文化科) 주임을 지냈다. 6·25전쟁 후 그의 행방은 알 수 없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동안 그는 한국의 무속, [풍수](/topic/풍수), 불교, 성황신앙 등 한국의 신앙 및 종교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 외에 번역서와 일본어로 된『 지나(支那)정신과 그 국민성』이라는 저술을 남기기도 하였다. 김효경은 무라야마의『 부락제』를 “조선의 사회형태에 있어서 부락공동생활에서 이루어진 부락제의 중대한 사명을 보여주는 긴요한 자료로서 높이 평가할 만한 것”이라고 하고 “실로 조선의 민간신앙생활 총결산의 보고”라고 총평하면서 조사목적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조선의 향토신사 제1부로서 서(序)에 서술되어 있듯이 민중의 심전개발, 특히 경신(敬神)관념을 함양하고 애향정신을 진작하는 데 참고자료로서 향토신사(鄕土神祀)는 오래된몇 [가지](/topic/가지) 전통 소산 가운데 가장 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특히 정조에 의하여 지켜져 온 경신 행사이기 때문에 현재 지방향토에 있어서 경신사상을 그 실상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즉『 부락제』는 193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에 의한 심전개발(心田開發)정책과 관련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무라야마가 부락제를 조사한 목적에는 조선총독부의 심전개발정책이 크게 작용하였음은 분명하다. 조선총독부는 1930년대 세계경제공황과 함께 만주사변으로 인한 국제연맹으로부터의 탈퇴 등으로 일본이 국내외적으로 처한 난국을 극복하기위하여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총독을 중심으로 1934년 심전개발정책을 주창하고 이를 종교적으로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조선의 무속 등을 조사한 무라야마 지준, 최남선, 이능화,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등을 중추원으로 불러 심전개발정책을 조선의 민간신앙에서 모색하려는 시도라든가 우가키 총독이 직접 기독교와 불교 관계자들과 만나 대책 마련에 고심하였다. 무라야마 지준이『 부락제』의 서언에서 밝히고 있듯이 정신문화의 싹을 심전이라고 보고 이 심전 위에 맺은 열매를 정신문화로 보았다. 이 정신문화 가운데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온존되어 왔다고 판단한 것이 ‘향토신사(鄕土神祀)’라는 것이다. 그는 더 나아가 사회적이면서 공동적인 속성을 가진 향토신사 가운데 그의 표현대로 하면 ‘부락제’가 생활개선과 경제갱생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무라야마는 서언에서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서구사상의 영향으로 미신으로서 등한시되어 온풍토를 벗어나 부락제야말로 많은 아름다움을 가진 전통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부락제를 진지하게 거행하고 있는 부락이 대체로 건강한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고 보았다. 무라야마는 부락제를 조사한 이유에 대해 “농촌진흥을 목표로 하는 한, 심전개발에 필요한 심전의 인식은 사회공동성이 가장 농후한 향토신사인 부락제를 살핌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다”라고 서술하였다. 무라야마 지준은 부락제를 조사하면서 부락을 행정상의 부락이라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를 이루는 최소단위로 보았다. 부락제에 대해서는 생활지역과 조건을 함께하는부락 사람들이 그 생활을 위협하는 재해를 피하고 그 생활을 증진시키는 행복을 구하기 위하여 신명(神明)에게 기원함으로써 어떠한 불안도 없이 오히려 감사에 충만한 평안한생활을 즐기려고 하는 목적에서 각각 마음을 합쳐 연 1회 혹은 여러 차례 제사를 삼가 행하는 향토적 연중행사의 하나로 정의하였다. 무라야마는 부락제라는 용어와 같은개념으로 동제(洞祭)라는 단어도 사용하고 있으며 조선의 부락제를 조사하면서 다음과 같이 7가지 점에 비추어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조선의 부락제와 일본의 부락제와 비교하여 양자의 공통점으로서 청정화와 신인합일(神人合一)에 주목하고 이 점을 크게 강조하였다. 둘째로 조선의 부락제가 역사적인 유구성뿐만 아니라 불변성에 주목하였다. 조선의 부락제는 제신이 자연신·다신교적이고 강신을 위한 나무를 세우고 참석자들이 춤을 추는 것 등이 통일신라 이전의 고대 그대로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셋째로 조선 부락제의 보편성을 들었다. 무라야마는 조사의 불철저에서 온 결론으로 보면서도 지방적으로 특색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고 보고조선 부락제의 대동소이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조선 부락제의 제신(祭神)이 자연신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여 제신과 부락 사람들 간에 인격적인 관계가 적다는 점을 들었다. 무라야마는 제신의 대부분은 산신이라든가 성황신이라든가 모두 자연력을 신격화한 것으로 부락민과 혈연적 지연적 종족적 내지 일반적으로 문화적 사회적 관계가 있는 역사상의 인물에 이르러서는 매우 드물다는 점을 특색으로 들었다. 부락민은 그것을 두려워하면서 그러나 그 영험력을 무시할 수 없고 그 영험력을 부락의 제재초복(除災招福)에만 희구한다고 하는 바를 조선부락제의 속성으로 보았다. 다섯째로 조선의 부락제는 신에 대한 경원한 태도와 함께 부락제를 통한 ‘심신(心身)의 신성화’야말로 민중의 심전개발을 위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점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점이 무라야마 지준이 조선의 부락제를 조사한 가장 큰 이유가 될 것이다. 여섯째로 조선의 부락제가 가지는 사회성·공동성에 주목하고 조선의 부락제야말로 향토오락의 제일에 위치할 만하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무라야마는 조선 부락제가 가지는 위생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즉 이 부락제 기간을 전후하여 [마을](/topic/마을) 전체를 크게 청소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무라야마 지준은 조선의 부락제 조사를 통하여 심전개발정책을 위해서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목적이 심전개발정책의 수립에 참고하기 위한 데에 있었지만, 그만큼 현실의 긴박성에서 당시의 동제를 크게 반영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 이는 근대 이전과 이후의 동제변화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무라야마가 한국의 동제를 제대로 파악했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를 통해서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大正大學學報 제17호 (1934) 宗敎硏究 新제9권 (종교연구편집부, 東京:宗敎硏究發行所, 1932) 書評, 村山智順氏の民間信仰四部作を讀みて (손진태, 民俗學, 1933) 民族學硏究 제3권 제4호 (일본민족학회 편, 1937) 일제가 실시한 조선민간신앙조사의 문제점 (김태곤, 석주선교수회갑기념 민속학논총, 1971) 조선불교단연구 (김순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9,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1995) 일제의 동화이데올로기의 창출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7) 書評, 村山智順師の謎 (朝倉敏夫, 民博通信79호, 일본국립민족학박물관, 1997)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9) 구한말, 일제하 민속문헌 해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제국일본이 그린 조선민속 (주영하·임경택·남근우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