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왕기

한국무속신앙사전
[백지](/topic/백지)나 천을 댓[가지](/topic/가지)에 묶어 용왕의 신체를 나타내는 깃발. 흔히 용왕을 ‘요왕’이라고 하기 때문에 요왕기라고도 한다.
definition
[백지](/topic/백지)나 천을 댓[가지](/topic/가지)에 묶어 용왕의 신체를 나타내는 깃발. 흔히 용왕을 ‘요왕’이라고 하기 때문에 요왕기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강정식
정의[백지](/topic/백지)나 천을 댓[가지](/topic/가지)에 묶어 용왕의 신체를 나타내는 깃발. 흔히 용왕을 ‘요왕’이라고 하기 때문에 요왕기라고도 한다.
내용[용왕상](/topic/용왕상)에 놓여 용왕신의 신체를 나타내며 용왕을 청해 들일 때 심방이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요왕질을 칠 때 용왕이 들어오는 길목에 꽂아 놓기도 한다.

용왕기는 지역에 따라 상이한 모양이다. 선왕기처럼 하나만 만들어 쓰기도 하고 색깔 별로 여러 개 만들어 쓰기도 한다. 여러 개 만들어 쓰는 사례는 워낙 드문 것이어서 예외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깃발 형태라는 점에서는 어디서나 같다. 대체로 하나로 만들어 쓴다. 용왕상에 세워 신체를 대신하는 용도로 쓴다. 신청궤를 할 때는 용왕기를 들고 춤을 추면서 용왕이 들어오는 모양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신체가 특정한 형상으로 통일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형태[백지](/topic/백지)로 용왕을 나타내는 신체를 오려 첵지와 함께 댓[가지](/topic/가지)에 얽어매어 만들기도 하고, 조금 끊어낸 물색을 댓가지에 얽어매어 만들기도 한다.
신구문화사시조문학사전정병욱1980.
열화당통영오귀새남굿정병호1989
동문선조선무속고이능화1995
문덕사서울새남굿신가집조흥윤 감수ㆍ서울새남굿보존회1996
고려대학교출판부함경도민속전경욱1997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한국의 무속신앙김헌선2001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서울무속 죽음의례의 유형과 구조적 상관성 연구김헌선2007
창작과 비평사조선무속고이능화, 서영대 역2008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남해안 굿 갈래 연구김형근200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