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영장치기
    711 2023.02.27
    중병에 걸린 환자를 치유하려는 목적을 가진 무속제의. 달리 ‘영장(永葬)’, ‘헛장[虛葬]’이라고도 불린다.
  • 돌하르방
    711 2023.02.27
    돌하르방은 조선시대 관청인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성문 밖에 세워두었던 석상. 1971년 8월 25일에‘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되었다.
  • 위도띠뱃놀이
    711 2023.02.27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 초사흘에 행해지는 마을굿. 위도띠뱃놀이는 1985년 2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다호’로 지정되었으며, 남해안ㆍ동해안ㆍ서해안 [별신굿](/topic/별신굿)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풍어제의 하나이다.
  • 강원도 동해시 동호동 주민들이 매년 정월초하룻날에 동제(洞祭)를 올리는 제단. 동해시 발한동 513-12[번지](/topic/번지)에 자리하고 있다.
  •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1415-3[번지](/topic/번지) 오동촌[마을](/topic/마을) 어귀에 위치한 [우물](/topic/우물).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마을에서 동제를 지낸다. 2001년 9월 27일에 ‘전라남도 기념물 제186호’로 지정되었다.
  • 떰쿵장단
    709 2023.02.27
    하나의 무가를 부르다가 다른 무가를 부를 때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 넋당석
    709 2023.02.27
    씻김굿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보낼 때 그 영혼을 싣고 간다고 여기는 무구.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정량리 원정[마을](/topic/마을)에서 음력 정월 열엿샛날 지내는 동제.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줄당기기([줄다리기](/topic/줄다리기))와 함께 행해진다.
  • 대감벙거지
    708 2023.02.27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원에서 가정신앙의 하나로 모시는 대감신의 신체.
  • 샛별국화
    707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이나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제단에 올려놓는 지화(紙花)의 한 종류로 샛별 모양의 국화. 일명 당국화(唐菊花)라고도 한다.
  •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신 [사당](/topic/사당). 경남 통영시 사량면 금평리 150[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장군당(將軍堂)’으로도 부른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바리공주
    707 2023.02.27
    한국의 망자천도굿인 서울 지역 진오기굿의 말미거리, 호남 지역 씻김굿의 오구풀이거리, 동해안 지역 오구굿 발원굿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장편서사무가. 지역에 따라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 비리데기라고도 부른다. 원래는 서사무가의 주인공 이름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서사무가 각 편의 대표적인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 나무고사
    707 2023.02.27
    [마을](/topic/마을) 공동체 신앙의 대상인 신목(神木), 동구나무 등 외에 가정신앙의 대상인 특정나무를 신체로 위하는 제의.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세동리에서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 19세기 후반 산향계를 조직하고 운영해 온 문서.
  • 돗제
    705 2023.02.2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일대에서 집안에 우환이 있거나 결혼잔치 때 돼지를 잡은 뒤 [마을](/topic/마을)의 육식신에게 바치는 가정의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