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주신

한국무속신앙사전
무당에게 강신하여 영력(靈力)의 주체가 되고 있는 신(神).
definition
무당에게 강신하여 영력(靈力)의 주체가 되고 있는 신(神).
mp3Cnt
0
wkorname
변지선
정의무당에게 강신하여 영력(靈力)의 주체가 되고 있는 신(神).
Momjusin se refiere al espíritu que ha descendido sobre el chamán que está poseído por él y adquiere la fuerza espiritual a través de la canalización en trance.

A diferencia de los otros dioses y deidades que descienden sobre el cuerpo de un chamán y transmiten sus palabras solamente durant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el Monjusin hace referencia al espíritu que mantiene su relación continua con su chamán poseído y es adorado en el propio santuario del chamán.

El Momjusin puede ser categorizado en los espíritus que se conectan con el chamán por vínculos de sangre y otros que no lo son. Los anteriores son familiares muertos del poseído, incluyendo a los abuelos o padres que murieron injustamente o por accidentes fuera del hogar, mientras que los últimos son figuras históricas que murieron de manera trágica, o tuvieron experiencias bizarras a lo largo de su vida, como la reina Seondeok, el general [Nam Yi](/topic/NamYi), el general Choe Yeong, la emperatriz Myeongseong, incluso el general de Estados Unidos, Douglas MacArthur, el héroe del exitoso desembarco en el desembarco de Incheon durante la guerra de Corea. Algunos chamanes veneran también al dios de la montaña llamado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el monje infantil, conocido como Dangja, el hada llamada Seonnyeo y el general legendario de China, Guanshengdijun como sus propias deidades.

Los chamanes reconocen sus Momjusin al encontrarse con ellos en forma de sueños. Las deidades posesoras son el objeto de adoración en cada santuario del chamán, y los rituales chamánicos son dedicados también a ellos. El propio santuario del chamán es decorado con objetos que simbolizan el espíritu posesor, por ejemplo, si el Momjusin es un niño, colocan sonajeros o caramelos para entretenerlo. Una vez poseído por el Momjusin, el chamán se identifica con el espíritu posesor hablando y actuando como si él mismo fuera su deidad posesora. Por esta razón, un chamán poseído por el espíritu de un niño actúa como un niño hablando de manera informal con todas las personas que asisten al ritual.
巫师[降神](/topic/降神)后成为灵力主体的神。

“身主神”与进行[巫祭](/topic/巫祭)时稍作停顿提示[神语](/topic/神语)的神有所不同,是指巫师平时也在自己的个人神堂中供奉的神。

身主神大体上可分为有血缘关系的神和没有血缘关系的神。有血缘关系的神多为自身的祖父母,父母等近亲中冤死或死于事故,抑或客死他乡的人的灵魂附身于巫师身上的情况。没有血缘关系的身主神是诸如“[善德女王](/topic/善德女王)”,“[南怡](/topic/南怡)将军”,“崔莹将军”,“明成皇后”等在历史上留名的人物。他们都是生前具有神灵的离奇之事或冤死之人。最近还将仁川登陆战中的英雄“麦克阿瑟将军”作为身主神进行供奉。也有将[山神](/topic/山神),童子,仙女,关圣帝君作为身主神进行供奉的情况。

[降神巫](/topic/降神巫)主要在梦中见到自己的身主神,并相信他们会降临在自己身上。身主神通常供奉于个人神堂中,巫师在巫祭会场上进行巫祭时,举行为身主神进行的巫祭。在个人神堂供奉身主神时,在神堂中摆放象征身主神的物品。若身主神为年幼孩童,则在神堂中摆放孩子喜欢的铃铛或糖果。供奉身主神的巫师在身主神降神于自己身上时,以与身主神的性格相符的语气和行动,将自身与身主神等同看待。若供奉孩童为身主神的巫师身上有身主神降临时,巫师会像孩童一般对巫祭会场上的所有人说非敬语,而不论其年纪长幼。
Momjusin is the spirit that has descended upon the possessed, the principal agent of the spiritual powers acquired in a state of possession.

Unlike other gods and spirits that descend during a ritual and channel words through the shaman, the possessing spirit maintains a continuing relationship with the possessed shaman, worshipped for life in the shaman’s personal shrine.

Momjusin can be categorized into spirits connected with the shaman by blood ties and those that are not. The former are spirits of the kin of the possessed, including grandparents and parents, who have died tragic deaths or by accident or away from home. The latter are historical figures many of whom have died tragic deaths or are known to have had spiritual or bizarre experiences in their lifetime, including [Queen Seondeok](/topic/QueenSeondeok), General [Nam Yi](/topic/NamYi), General Choe Yeong, Empress Myeongseong, and even U.S. General Douglas MacArthur, from contemporary times. Some shamans also worship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Mountain God), dongja (boy monk), seonnyeo (fairy), and the legendary Chinese general Guanshengdijun (Saintly Emperor Guan), as their personal deities.

Shamans recognize their possessing spirits upon encountering them in dreams. The possessing deities are worshipped in personal shamanic shrines, and the shaman’s rituals are dedicated to them as well. Personal shrines are decorated with objects that symbolize the possessing spirit, for instance rattles or candies when the worshipped spirit is that of a child. When the spirit has descended on the shaman, the possessed shaman identifies with the spirit by speaking and acting like the possessing spirit. A shaman possessed by a child’s spirit, for example, will act like a child, speaking informally without honorifics to everyone attending the ritual.
내용한국의 무당은 신을 받아 무당이 되는 강신무(降神巫)와 세습에 의해 무당이 되는 세습무(世襲巫)로 나눌 수 있다. 강신무는 무당의 몸에 특정한 신이 [빙의](/topic/빙의)(憑依)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당들은 ‘신을 받는다’ 혹은 ‘신이 내렸다.’라고 한다. 굿을 할 때 강신무에게는 여러 신이 빙의한다. 몸주신은 굿을 할 때 잠깐씩 실려서 [공수](/topic/공수)를 주는 신과는 달리 무당이 평소에도 자신의 개인 신당에 모시는 신을 말한다.

몸주신은 크게 나누어 혈연관계가 있는 신과 그렇지 않은 신이 있다. 혈연관계가 있는 신은 대개 자신의 조부모, 부모, 삼촌, 고모, 조카, 자식 등 가까운 친족 중에 억울하게 죽거나 사고로 죽었거나 타지에서 죽음을 맞은 이들의 혼이 무당의 몸에 빙의하는 경우를 말한다. 혈연관계가 없는 몸주신들은 ‘[선덕여왕](/topic/선덕여왕)(善德女王)’, ‘남이(南怡) [장군](/topic/장군)’, ‘[최영](/topic/최영)(崔瑩) 장군’, ‘명성황후(明成皇后)’ 등과 같은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인물이다. 이들은 생전에 신령스러운 이적(異蹟)이 있었거나 억울한 죽음을 맞은 자들이다. 최근에는 인천상륙작전의 영웅인 ‘맥아더 장군’을 몸주신으로 모신 무당도 있다. 산신(山神), 동자(童子), 선녀(仙女),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關聖帝君)을 몸주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강신무들은 자신의 몸주신을 주로 꿈에서 보고 그들이 자신의 몸에 내린 것을 믿는다. 몸주신은 대개 개인 신당에서 모셔지다가 무당이 굿을 할 때에는 굿판에서 몸주신을 위한 굿을 연행한다. 몸주신을 개인 신당에서 모실 때는 신당에 몸주신을 상징하는 물건을 놓는다. 어린아이가 몸주신일 경우에는 신당에 어린아이가 좋아하는 방울이나 사탕을 놓고, 선녀인 경우에는 선녀를 상징하는 날개옷인 선녀의대나 선녀부채를 놓는다. 선덕여왕을 몸주신으로 모시는 경우에는 신당에 신라시대의 금관 모형이나 옥목걸이, 의상, 거울 등을 놓는다. 무당은 모시는 몸주신에 따라 몸주신이 실렸을 때의 행동이 달라진다. 어린아이를 몸주신으로 모시는 무당은 점을 볼 때 어린아이의 말투와 어린아이의 행동거지를 흉내 내어 손님에게 점괘를 알려 준다. 선녀를 모시는 무당은 무당의 나이와 상관없이 젊고 아리따운 여인의 목소리와 행동거지로 손님을 대한다. 선덕여왕을 몸주신으로 모시는 무당은 성별과 상관없이 우아한 여인의 목소리와 행동거지로 손님을 대한다.

굿거리에서 모셔지는 몸주신들은 대체로 굿을 의뢰받았으나 굿을 능숙하게 진행하지 못하는 무당이 맡는다. 이들은 몸주신을 모신 지 얼마 되지 않아 무당이나 무당의 고객으로부터 영험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이들은 굿을 잘하는 무당이 아니어서 손님으로부터 굿을 의뢰받아 굿판에 참여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에 몸주신이 실렸다면서 자신의 몸주신을 위한 굿거리를 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선녀를 몸주신으로 모신 무당은 자신을 ‘선녀보살’이라고 자칭한다. 이들은 굿 중간에 선녀의대를 입고 굿판으로 나와 선녀처럼 춤을 추고 공수를 준다. 이때 무당은 나이와 상관없이 젊고 아리따운 여인의 목소리로 상냥하게 말을 한다. 동자를 몸주신으로 모신 무당들은 자신을 ‘동자보살’로 칭하고 어린아이의 말투와 행동거지로 굿판에 온 사람들을 대한다. 명성황후를 모시는 무당은 굿을 할 때 명성황후가 착용했던 것과 비슷한 머리장식과 예복을 입고 황후의 말투로 굿판의 사람들을 대한다. 몸주신을 모시는 무당은 몸주신이 자신의 몸에 강신했을 때 몸주신의 성격에 맞는 말투와 행동 등을 하면서 자신과 몸주신을 동일시한다. 점을 보러 온 손님이든 굿판에 모인 사람이든 모두 이러한 무당의 행동을 받아들인다. 가령 어린아이를 몸주신으로 모시는 무당에게 몸주신이 실린 경우에 무당은 굿판의 모든 사람에게 나이와 관계없이 반말을 한다. 반말을 들은 사람들은 어린아이가 하는 반말이기에 모두 이해하고 그에 맞춰 대응할 뿐이다.
참고문헌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1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민족문화사, 1991)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이재곤 역, 동문선, 1995)
한국민속문화대사전 상 (김용덕, 도서출판 창솔, 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