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패

한국무속신앙사전
위패
동신(洞神)의 신위(神位)를 모셔 놓은 나무패.
definition
동신(洞神)의 신위(神位)를 모셔 놓은 나무패.
mp3Cnt
0
wkorname
이유나
정의동신(洞神)의 신위(神位)를 모셔 놓은 나무패.
정의동신(洞神)의 신위(神位)를 모셔 놓은 나무패.
내용신위는 죽은 사람의 위패 또는 [산천초목](/topic/산천초목) 등의 신령을 나타내는 신체(神體)를 모셔두는 자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위패(位牌)는 죽은 사람의 이름과 죽은 날짜를 적은 나무패인데,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다. 목주(木柱)ㆍ영위(靈位)ㆍ위판(位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형태는 몸체와 받[침대](/topic/침대)로 되어 있다. 위패는 대개 서원이나 성균관 대성전의 공자위패와 비슷하게 만드는데 유교에서처럼 일정하게 크기가 정해져 있지는 않다.

위패에 쓰인 문구는 [마을](/topic/마을)신의 성격을 나타낸다. 산신을 모신 경우에는 ‘○○산신지위(山神之位)’ 또는 ‘○○산왕지위(山王之位)’, 성황신을 모신 경우에는 ‘○○성황지신(城隍之神)’을 쓴다. 토지신을 모신 경우에는 ‘○○토지지신(土地之神)’, 인물신을 모신 경우에는 ‘○○○지위’ 등 마을신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마을제의에서 제사의 대상은 마을을 지켜 주는 동신이기 때문에 동신의 신위를 모셔 놓은 곳인 위패는 신체이자 중요한 제의도구이다.

마을제당은 암석을 신체로 삼는 경우도 가끔 있으나 대부분은 신목(神木)이 당이며 곧 신체이다. 그리고 옆에 당 건물을 세움으로써 위패, 신도(神圖), 방울, 목신상, 서낭대를 신체처럼 여기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 외, 일조각, 1991)
신주고 (최순권, 생활문물연구 2, 국립민속박물관, 2001)
한국의 제사 (최순권, 국립민속박물관, 2003)
[마을](/topic/마을)신앙 대상물로서의 신체의 유형과 특징 (이관호, 생활문물연구 21, 국립민속박물관, 2007)
내용신위는 죽은 사람의 위패 또는 [산천초목](/topic/산천초목) 등의 신령을 나타내는 신체(神體)를 모셔두는 자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위패(位牌)는 죽은 사람의 이름과 죽은 날짜를 적은 나무패인데,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다. 목주(木柱)ㆍ영위(靈位)ㆍ위판(位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형태는 몸체와 받[침대](/topic/침대)로 되어 있다. 위패는 대개 서원이나 성균관 대성전의 공자위패와 비슷하게 만드는데 유교에서처럼 일정하게 크기가 정해져 있지는 않다.

위패에 쓰인 문구는 [마을](/topic/마을)신의 성격을 나타낸다. 산신을 모신 경우에는 ‘○○산신지위(山神之位)’ 또는 ‘○○산왕지위(山王之位)’, 성황신을 모신 경우에는 ‘○○성황지신(城隍之神)’을 쓴다. 토지신을 모신 경우에는 ‘○○토지지신(土地之神)’, 인물신을 모신 경우에는 ‘○○○지위’ 등 마을신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마을제의에서 제사의 대상은 마을을 지켜 주는 동신이기 때문에 동신의 신위를 모셔 놓은 곳인 위패는 신체이자 중요한 제의도구이다.

마을제당은 암석을 신체로 삼는 경우도 가끔 있으나 대부분은 신목(神木)이 당이며 곧 신체이다. 그리고 옆에 당 건물을 세움으로써 위패, 신도(神圖), 방울, 목신상, 서낭대를 신체처럼 여기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 외, 일조각, 1991)
신주고 (최순권, 생활문물연구 2, 국립민속박물관, 2001)
한국의 제사 (최순권, 국립민속박물관, 2003)
[마을](/topic/마을)신앙 대상물로서의 신체의 유형과 특징 (이관호, 생활문물연구 21, 국립민속박물관, 2007)
일지사남국의 전설진성기1968
집문당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현용준2002
황금알바람의 축제 칠머리당 영등굿문무병2005
하2리 서낭당 위패
23047
하2리 서낭당 위패
당산 신위와 탱화
22127
당산 신위와 탱화
황정리 서낭당 위패
22974
황정리 서낭당 위패
개야도 신위와 잔
20547
개야도 신위와 잔
중산리 산제당 위패
21066
중산리 산제당 위패
중산리 산제당 위패
21065
중산리 산제당 위패
중산리 산제당 위패
21064
중산리 산제당 위패
황정리 서낭당 위패
22976
황정리 서낭당 위패
황정리 서낭당 위패
22975
황정리 서낭당 위패
하2리 서낭당 위패
23046
하2리 서낭당 위패
하2리 서낭당 위패
23047
하2리 서낭당 위패
당산 신위와 탱화
22127
당산 신위와 탱화
황정리 서낭당 위패
22974
황정리 서낭당 위패
개야도 신위와 잔
20547
개야도 신위와 잔
중산리 산제당 위패
21066
중산리 산제당 위패
중산리 산제당 위패
21065
중산리 산제당 위패
중산리 산제당 위패
21064
중산리 산제당 위패
황정리 서낭당 위패
22976
황정리 서낭당 위패
황정리 서낭당 위패
22975
황정리 서낭당 위패
하2리 서낭당 위패
23046
하2리 서낭당 위패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