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륭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집과 [마을](/topic/마을)의 터를 눌러주고 지켜 주는 수호신인 철륭에게 지내는 제의. 철륭은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터주의 명칭이다. 터주는 터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을 관장하는 지신(地神)이다.
definition
집과 [마을](/topic/마을)의 터를 눌러주고 지켜 주는 수호신인 철륭에게 지내는 제의. 철륭은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터주의 명칭이다. 터주는 터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을 관장하는 지신(地神)이다.
mp3Cnt
0
wkorname
송화섭
정의집과 [마을](/topic/마을)의 터를 눌러주고 지켜 주는 수호신인 철륭에게 지내는 제의. 철륭은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터주의 명칭이다. 터주는 터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을 관장하는 지신(地神)이다.
정의집과 [마을](/topic/마을)의 터를 눌러주고 지켜 주는 수호신인 철륭에게 지내는 제의. 철륭은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터주의 명칭이다. 터주는 터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을 관장하는 지신(地神)이다.
내용터주는 집안의 지신을 가리키며, 전국적으로 집안의 [가신](/topic/가신) 가운데 가장 높은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 전라도지역에서 터주는 터주, 철륭, 당산, 철륭당산, 철룡, 천룡 등으로 불린다. 철륭은 천룡(天龍)의 구개음화 현상으로 생겨난 민속어이다. 전라도지역에서 집 터주와 [마을](/topic/마을) 터주에 모셔지는 신은 천룡이다. 천룡은 ‘하늘의 용’을 이르는 불교의 호법선신인 천룡팔부(天龍八部)에서 차용되었다.

천룡제(天龍祭)는 동제(洞祭)로서의 천룡제와 가정신앙으로서의 천룡제가 있다. 마을에서 행하는 천룡제는 마을의 뒤쪽 주산(主山)에 위치한 천룡당에서 지내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의 동제를 말하며, 가정에서 행하는 천룡제는 집의 뒤꼍에 위치한 천룡단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를 각각 말한다. 마을의 천룡당이 마을 전체의 터를 관장하듯이 집의 천룡단도 울 안의 집터를 관장한다. 마을의 천룡당은 천룡이 강림한 곳으로 마을의 터주가 된다. 집의 천룡단은 마을의 천룡당에서 지맥이 집으로 내려온 곳에 조성한 터주, 당산을 일컫는다. 이 때문에 천룡은 산 밑에 집터를 잡은 집이나 집터가 센 집에서 모신다. 그러나 전통마을의 집터가 주산 아래 남향을 향한 경사진 면에 조성되는 경향이어서 대체로 집집마다 천룡을 모신 것으로 보아야 한다. 마을 주산의 천룡이 집터에 내용(來龍)하여 집의 당산에 천룡단을 조성하였다는 [풍수](/topic/풍수) 관념에서 천룡신앙이 싹튼 것이다.

처음에는 집터를 닦고 집을 지을 때 [지신제](/topic/지신제)를 지내고 터주를 모셨다. 그러다가 풍수지리와 불교신앙이 마을신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불교의 호법신앙이 차용되어 천룡신앙이 마을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마을의 취락 형성은 [배산임수](/topic/배산임수)를 보고 야트막한 경사면에 조성되는 경향이었으며, 벼농사 중심의 촌락사회에서 천룡숭배가 강렬한 것이 마을과 집에 천룡을 모시게 된 동기였다.

마을의 천룡제는 정월 열나흗날에 동제를 주관하는 [제관](/topic/제관)이 천룡당에 올라가서 지내는 제사이다. 집의 천룡제는 정월 초에 [장독대](/topic/장독대) 앞에 짚을 깔고 명절음식을 차린 철륭상을 차려 놓고 간단히 [비손](/topic/비손)을 하는 방식이다. 동짓날 터주를 위하면서 집안의 잡귀, 잡신을 몰아내고 액을 물리치기 위하여 동지팥죽을 사방에 뿌리기도 한다. 집터의 기운이 세면 정월 열나흗날 밤에 콩, 팥, [보리](/topic/보리), [수수](/topic/수수), [녹두](/topic/녹두) 등을 넣은 [오곡](/topic/오곡)잡곡밥을 지어서 집의 사방에 뿌리기도 한다. [농악](/topic/농악)대가 지신밟기를 하며 장독대 앞에서 지신을 밟아 주는 축원굿의 형식이다. 그러나 집의 천룡제는 주부가 설, 정월대보름, 추석 등 명절마다 촛불을 밝히고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 놓고 비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정월 초에 거행되는 지신밟기는 마을의 터주와 집의 터주를 밟아주어 평안을 기원하는 신년의례라 할 수 있다.

철륭은 처음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닦고 토지신(土地神)에게 제사를 지내면서 터주로 자리 잡게 된다. 터주는 집안의 평안과 안정을 위하여 가장 먼저 비는 대상이며, 가장 높은 가신의 신격을 지니고 있다. 지신밟기에서 철륭굿은 터주가 집의 터를 잘 눌러 주어 가내가 평안하기를 기원하는 축원굿이다. 철륭은 지역에 따라 다른 명칭과 신격을 지닌다.

경기지역에서 철륭은 터주, 터대감, [토주](/topic/토주)(土主), 터줏대감 등으로 불린다. 강원지역에서는 터주, 터주지신, 용단지라 한다. 터주에 대한 고사는 토지지신제, 텃고사, 지신제라고 불린다. 강원지역의 용단지는 ‘재물을 관장하는 신을 모신 단지’로서 터주와는 다른 가신으로 신앙되고 있다. 경북지역에서는 터주를 용단지로 부르는 사례가 많다. 충청지역에서는 터주, 당산, 터주당산, 당산신령님, 철륭당산, 토주, 토주대왕, 오방토주지신, 터줏대감 등으로 불린다. 전라도지역에서는 철륭, 터주, 당산으로 불린다. 터주는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가신의 명칭이지만 대체로 충청도와 전라도지역에서 철륭, 당산으로 불리고 있다.

철륭은 터주신으로서 터대감, 터줏대감, 후토주임과 같은 남성의 신격이다. 그러나 뒷꼍각시, 철륭할마이라는 여성의 신격도 지니고 있다. 안동지역에는 집안에 용단지가 두 개 있는데, 마누라를 상징하는 쌀용은 [부엌](/topic/부엌), 남편을 상징하는 꺼칠용은 뒤꼍에 각각 두는 풍속이 있다. 경기도지역에서는 주저리를 씌운 항아리가 두 개일 경우 하나는 ‘영감’, 다른 하나는 ‘영감마누라’라고 각각 부른다. 충청도지역에서도 할아버지, 할머니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철륭의 부부 명칭은 중국 토지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터주는 ‘터의 지신’이다. 신체는 항상 조그만 단지에 쌀 또는 나락을 넣고 [볏짚](/topic/볏짚)주저리를 씌워서 집의 뒤꼍 당산, 철륭에 단을 만들어 놓거나 묻어 놓는 방식이다. 곡식은 가을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고 햇짚으로 주저리를 틀어서 갈아 씌운다. 볏짚으로 원뿔형의 주저리를 씌워 놓는 방식은 전국적으로 공통이다.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는 장독대 옆에 놓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 광방, 부엌에 모셔 두기도 한다. 대체로 집의 뒤꼍 장독대가 위치하는 곳이 집의 당산이며 이곳에 천룡단이 위치한다. 천룡단에 신체로 [봉안](/topic/봉안)되는 단지는 터주단지․천륭단지․용단지로 불린다. 경기도지역에서는 터주를 터줏가리․터주항아리․토주항아리 등으로 부른다. 터줏가리는 소나무로 [기둥](/topic/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짚주저리](/topic/짚주저리)를 씌우는 방식이다. 터주항아리는 작은 질그릇 단지 안에 벼를 넣고 볏짚으로 주저리를 씌운 다음 왼새끼로 두르는 방식이다. 천륭의 신체로는 나락을 넣은 항아리에 볏짚으로 만든 주저리를 씌우는 낟가리형과 주저리를 씌우지 않고 항아리만 봉안하는 항아리형이 있다. 전라도지역의 철륭은 주로 낟가리형으로, 나락을 담은 항아리에 볏짚주저리를 씌워 놓는 방식을 취한다. 천룡단은 장독대 옆과 뒤에 돌 받침으로 단을 만들어 나락을 넣은 볏짚주저리를 올려놓는 방식이다. 전라도지역에서는 10월 말날에 천륭단지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는다. 정월대보름, 삼월삼짇날, 유두, 칠월칠석에 간단한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집의 천룡제는 정월 초에 지신밟기를 할 때 청수를 떠 놓고 촛불을 밝혀 놓기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제물을 차린다. 제물로는 청수, 떡, 무나물을 올린다. 술과 생선은 쓰지 않는다. 가을에 햇곡식을 [수확](/topic/수확)하면 터주단지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고 덜어낸 나락으로 밥을 지어 청수와 함께 터주에게 올리기도 한다. 햇곡식을 갈아 넣는 것은 1년 농사를 잘 짓게 해 주었다고 터주신에게 아뢰는 의미이다. 텃고사를 지낼 때에는 제물이 풍성해진다. 제물로는 팥시루떡과 북어, 돼지머리, 삼색실과, 무나물, 막걸리를 제물로 올린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동짓날 팥죽을 사방에 뿌린다. 정월대보름날에는 콩, 팥, 수수, 보리, 녹두 등을 넣은 잡곡밥을 집터 사방에다 뿌리기도 한다. 명절 때에는 명절음식을 장만하여 철륭상을 차려 놓기도 한다.
내용터주는 집안의 지신을 가리키며, 전국적으로 집안의 [가신](/topic/가신) 가운데 가장 높은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 전라도지역에서 터주는 터주, 철륭, 당산, 철륭당산, 철룡, 천룡 등으로 불린다. 철륭은 천룡(天龍)의 구개음화 현상으로 생겨난 민속어이다. 전라도지역에서 집 터주와 [마을](/topic/마을) 터주에 모셔지는 신은 천룡이다. 천룡은 ‘하늘의 용’을 이르는 불교의 호법선신인 천룡팔부(天龍八部)에서 차용되었다.

천룡제(天龍祭)는 동제(洞祭)로서의 천룡제와 가정신앙으로서의 천룡제가 있다. 마을에서 행하는 천룡제는 마을의 뒤쪽 주산(主山)에 위치한 천룡당에서 지내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의 동제를 말하며, 가정에서 행하는 천룡제는 집의 뒤꼍에 위치한 천룡단에서 지내는 [고사](/topic/고사)를 각각 말한다. 마을의 천룡당이 마을 전체의 터를 관장하듯이 집의 천룡단도 울 안의 집터를 관장한다. 마을의 천룡당은 천룡이 강림한 곳으로 마을의 터주가 된다. 집의 천룡단은 마을의 천룡당에서 지맥이 집으로 내려온 곳에 조성한 터주, 당산을 일컫는다. 이 때문에 천룡은 산 밑에 집터를 잡은 집이나 집터가 센 집에서 모신다. 그러나 전통마을의 집터가 주산 아래 남향을 향한 경사진 면에 조성되는 경향이어서 대체로 집집마다 천룡을 모신 것으로 보아야 한다. 마을 주산의 천룡이 집터에 내용(來龍)하여 집의 당산에 천룡단을 조성하였다는 [풍수](/topic/풍수) 관념에서 천룡신앙이 싹튼 것이다.

처음에는 집터를 닦고 집을 지을 때 [지신제](/topic/지신제)를 지내고 터주를 모셨다. 그러다가 풍수지리와 불교신앙이 마을신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불교의 호법신앙이 차용되어 천룡신앙이 마을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마을의 취락 형성은 [배산임수](/topic/배산임수)를 보고 야트막한 경사면에 조성되는 경향이었으며, 벼농사 중심의 촌락사회에서 천룡숭배가 강렬한 것이 마을과 집에 천룡을 모시게 된 동기였다.

마을의 천룡제는 정월 열나흗날에 동제를 주관하는 [제관](/topic/제관)이 천룡당에 올라가서 지내는 제사이다. 집의 천룡제는 정월 초에 [장독대](/topic/장독대) 앞에 짚을 깔고 명절음식을 차린 철륭상을 차려 놓고 간단히 [비손](/topic/비손)을 하는 방식이다. 동짓날 터주를 위하면서 집안의 잡귀, 잡신을 몰아내고 액을 물리치기 위하여 동지팥죽을 사방에 뿌리기도 한다. 집터의 기운이 세면 정월 열나흗날 밤에 콩, 팥, [보리](/topic/보리), [수수](/topic/수수), [녹두](/topic/녹두) 등을 넣은 [오곡](/topic/오곡)잡곡밥을 지어서 집의 사방에 뿌리기도 한다. [농악](/topic/농악)대가 지신밟기를 하며 장독대 앞에서 지신을 밟아 주는 축원굿의 형식이다. 그러나 집의 천룡제는 주부가 설, 정월대보름, 추석 등 명절마다 촛불을 밝히고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 놓고 비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정월 초에 거행되는 지신밟기는 마을의 터주와 집의 터주를 밟아주어 평안을 기원하는 신년의례라 할 수 있다.

철륭은 처음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닦고 토지신(土地神)에게 제사를 지내면서 터주로 자리 잡게 된다. 터주는 집안의 평안과 안정을 위하여 가장 먼저 비는 대상이며, 가장 높은 가신의 신격을 지니고 있다. 지신밟기에서 철륭굿은 터주가 집의 터를 잘 눌러 주어 가내가 평안하기를 기원하는 축원굿이다. 철륭은 지역에 따라 다른 명칭과 신격을 지닌다.

경기지역에서 철륭은 터주, 터대감, [토주](/topic/토주)(土主), 터줏대감 등으로 불린다. 강원지역에서는 터주, 터주지신, 용단지라 한다. 터주에 대한 고사는 토지지신제, 텃고사, 지신제라고 불린다. 강원지역의 용단지는 ‘재물을 관장하는 신을 모신 단지’로서 터주와는 다른 가신으로 신앙되고 있다. 경북지역에서는 터주를 용단지로 부르는 사례가 많다. 충청지역에서는 터주, 당산, 터주당산, 당산신령님, 철륭당산, 토주, 토주대왕, 오방토주지신, 터줏대감 등으로 불린다. 전라도지역에서는 철륭, 터주, 당산으로 불린다. 터주는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가신의 명칭이지만 대체로 충청도와 전라도지역에서 철륭, 당산으로 불리고 있다.

철륭은 터주신으로서 터대감, 터줏대감, 후토주임과 같은 남성의 신격이다. 그러나 뒷꼍각시, 철륭할마이라는 여성의 신격도 지니고 있다. 안동지역에는 집안에 용단지가 두 개 있는데, 마누라를 상징하는 쌀용은 [부엌](/topic/부엌), 남편을 상징하는 꺼칠용은 뒤꼍에 각각 두는 풍속이 있다. 경기도지역에서는 주저리를 씌운 항아리가 두 개일 경우 하나는 ‘영감’, 다른 하나는 ‘영감마누라’라고 각각 부른다. 충청도지역에서도 할아버지, 할머니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철륭의 부부 명칭은 중국 토지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터주는 ‘터의 지신’이다. 신체는 항상 조그만 단지에 쌀 또는 나락을 넣고 [볏짚](/topic/볏짚)주저리를 씌워서 집의 뒤꼍 당산, 철륭에 단을 만들어 놓거나 묻어 놓는 방식이다. 곡식은 가을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고 햇짚으로 주저리를 틀어서 갈아 씌운다. 볏짚으로 원뿔형의 주저리를 씌워 놓는 방식은 전국적으로 공통이다.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는 장독대 옆에 놓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 광방, 부엌에 모셔 두기도 한다. 대체로 집의 뒤꼍 장독대가 위치하는 곳이 집의 당산이며 이곳에 천룡단이 위치한다. 천룡단에 신체로 [봉안](/topic/봉안)되는 단지는 터주단지․천륭단지․용단지로 불린다. 경기도지역에서는 터주를 터줏가리․터주항아리․토주항아리 등으로 부른다. 터줏가리는 소나무로 [기둥](/topic/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짚주저리](/topic/짚주저리)를 씌우는 방식이다. 터주항아리는 작은 질그릇 단지 안에 벼를 넣고 볏짚으로 주저리를 씌운 다음 왼새끼로 두르는 방식이다. 천륭의 신체로는 나락을 넣은 항아리에 볏짚으로 만든 주저리를 씌우는 낟가리형과 주저리를 씌우지 않고 항아리만 봉안하는 항아리형이 있다. 전라도지역의 철륭은 주로 낟가리형으로, 나락을 담은 항아리에 볏짚주저리를 씌워 놓는 방식을 취한다. 천룡단은 장독대 옆과 뒤에 돌 받침으로 단을 만들어 나락을 넣은 볏짚주저리를 올려놓는 방식이다. 전라도지역에서는 10월 말날에 천륭단지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는다. 정월대보름, 삼월삼짇날, 유두, 칠월칠석에 간단한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집의 천룡제는 정월 초에 지신밟기를 할 때 청수를 떠 놓고 촛불을 밝혀 놓기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제물을 차린다. 제물로는 청수, 떡, 무나물을 올린다. 술과 생선은 쓰지 않는다. 가을에 햇곡식을 [수확](/topic/수확)하면 터주단지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고 덜어낸 나락으로 밥을 지어 청수와 함께 터주에게 올리기도 한다. 햇곡식을 갈아 넣는 것은 1년 농사를 잘 짓게 해 주었다고 터주신에게 아뢰는 의미이다. 텃고사를 지낼 때에는 제물이 풍성해진다. 제물로는 팥시루떡과 북어, 돼지머리, 삼색실과, 무나물, 막걸리를 제물로 올린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동짓날 팥죽을 사방에 뿌린다. 정월대보름날에는 콩, 팥, 수수, 보리, 녹두 등을 넣은 잡곡밥을 집터 사방에다 뿌리기도 한다. 명절 때에는 명절음식을 장만하여 철륭상을 차려 놓기도 한다.
의의철륭신은 집안 최고의 [가신](/topic/가신)이다. 철륭신은 [풍수](/topic/풍수)지리적으로 집과 집안을 수호하는 용신(龍神)이라 할 수 있다. [용왕제](/topic/용왕제), 업신 등 용사(龍蛇)신앙과 관련된 민간신앙이 있지만 철륭신은 가정신앙에서 집터를 관장하는 가장 높은 신격을 지닌다. 가신은 [마을](/topic/마을)신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집은 마을의 소우주로서 마을이 지닌 공간성과 신앙성을 그대로 집안에 담아내고 있다. 이는 집의 터주를 철륭, 당산이라고 부르는 데서 알 수 있다. 마을의 철륭제가 마을을 대우주 공간으로 성역화하는 것이라면 집안의 철륭제는 집을 소우주 공간으로 성역화한 종교적 장치이다. 천룡은 하늘에서 비바람의 조화를 일으키는 용이 마을의 주산으로 내려와 마을수호신이 되고, 다시 천룡당의 지맥이 집에까지 뻗어 내려와 집터의 수호신이 된다. 천룡제는 정월 초에 마을과 집안을 수호하는 터주신인 천룡에게 집안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신년의례이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전남․전북 (국립문화재연구소)
안동지역의 용단지 (김명자, 문화재 26, 문화재관리국, 1993)
경기지역의 터주신앙 (김명자, 역사민속학 9, 한국역사민속학회, 1999)
향토문화와 민속 (김형주, 선명출판사, 1999)
[가신](/topic/가신)신앙에서 [영등제](/topic/영등제)와 철륭제 (송화섭, 한국의 가정신앙-하, 2005)
한중 가신신앙의 비교 (정연학, 비교민속학 35, 비교민속학회, 2008)
의의철륭신은 집안 최고의 [가신](/topic/가신)이다. 철륭신은 [풍수](/topic/풍수)지리적으로 집과 집안을 수호하는 용신(龍神)이라 할 수 있다. [용왕제](/topic/용왕제), 업신 등 용사(龍蛇)신앙과 관련된 민간신앙이 있지만 철륭신은 가정신앙에서 집터를 관장하는 가장 높은 신격을 지닌다. 가신은 [마을](/topic/마을)신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집은 마을의 소우주로서 마을이 지닌 공간성과 신앙성을 그대로 집안에 담아내고 있다. 이는 집의 터주를 철륭, 당산이라고 부르는 데서 알 수 있다. 마을의 철륭제가 마을을 대우주 공간으로 성역화하는 것이라면 집안의 철륭제는 집을 소우주 공간으로 성역화한 종교적 장치이다. 천룡은 하늘에서 비바람의 조화를 일으키는 용이 마을의 주산으로 내려와 마을수호신이 되고, 다시 천룡당의 지맥이 집에까지 뻗어 내려와 집터의 수호신이 된다. 천룡제는 정월 초에 마을과 집안을 수호하는 터주신인 천룡에게 집안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신년의례이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전남․전북 (국립문화재연구소)
안동지역의 용단지 (김명자, 문화재 26, 문화재관리국, 1993)
경기지역의 터주신앙 (김명자, 역사민속학 9, 한국역사민속학회, 1999)
향토문화와 민속 (김형주, 선명출판사, 1999)
[가신](/topic/가신)신앙에서 [영등제](/topic/영등제)와 철륭제 (송화섭, 한국의 가정신앙-하, 2005)
한중 가신신앙의 비교 (정연학, 비교민속학 35, 비교민속학회, 2008)
유래터주신은 [마을](/topic/마을)의 생성과 함께 시작한다. 처음 집을 짓기 전에 터를 닦고 [지신제](/topic/지신제)(地神祭)를 지내면서 터주신을 모시게 된다. 각 집이 모여서 마을을 이루듯이 집 터주가 모이면 마을 터주가 된다. 마을 터주는 마을 전체의 터를 관장하면서 평안하게 보호해 주는 마을수호신이요, 집 터주는 집안의 터를 관장하면서 집안을 평온하게 보호해 주는 가정수호신이다. 터주신으로는 집 터주도 있고 마을 터주도 있다. 마을 터주는 [풍수](/topic/풍수)지리적으로 마을의 터를 품고 있는 주산에 위치하고, 집 터주는 집의 뒤 안 담 안쪽에 각각 위치한다.

이러한 터주신은 중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중국 강남지방에서는 마을의 제당에 토지신을 모시는 전각과 신단이 있다. 마을제당에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여러 신이 [봉안](/topic/봉안)되어 있는데, 마을 전체의 터 또는 토지를 보호해 주는 토지신이 배향되어 있다. 중국의 토지신은 마을제당 안에 배향되어 토지공(土地公), 토지파(土地婆), 토지할아버지(土地爺), 토지할머니(土地奶奶)라고 불린다. 문헌에는 후토신으로 기록하고 있다. 강남지방의 마을에서는 마을 터주를 모시는 민속이 강하다. 반면에 양자강 이북인 허베이 성과 산둥성 등 강북지역에서는 마을 터주보다 집안에 토지신을 모시는 집 터주를 모시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나라의 터주신과 중국의 터주신을 모시는 방식에서 집안과 마을에 터주신을 모시는 공통점이 있다. 중국은 인격화된 터주신을 모시는 반면에 한국은 자연신으로서 터주신을 모신다. 중국의 터주신앙이 불교문화의 전파로 한반도에 건너왔으며, 민속신앙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사찰의 호법선신인 철룡팔부와 풍수지리가 결합된 천룡신앙이 한국민속에 철륭신앙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유래터주신은 [마을](/topic/마을)의 생성과 함께 시작한다. 처음 집을 짓기 전에 터를 닦고 [지신제](/topic/지신제)(地神祭)를 지내면서 터주신을 모시게 된다. 각 집이 모여서 마을을 이루듯이 집 터주가 모이면 마을 터주가 된다. 마을 터주는 마을 전체의 터를 관장하면서 평안하게 보호해 주는 마을수호신이요, 집 터주는 집안의 터를 관장하면서 집안을 평온하게 보호해 주는 가정수호신이다. 터주신으로는 집 터주도 있고 마을 터주도 있다. 마을 터주는 [풍수](/topic/풍수)지리적으로 마을의 터를 품고 있는 주산에 위치하고, 집 터주는 집의 뒤 안 담 안쪽에 각각 위치한다.

이러한 터주신은 중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중국 강남지방에서는 마을의 제당에 토지신을 모시는 전각과 신단이 있다. 마을제당에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여러 신이 [봉안](/topic/봉안)되어 있는데, 마을 전체의 터 또는 토지를 보호해 주는 토지신이 배향되어 있다. 중국의 토지신은 마을제당 안에 배향되어 토지공(土地公), 토지파(土地婆), 토지할아버지(土地爺), 토지할머니(土地奶奶)라고 불린다. 문헌에는 후토신으로 기록하고 있다. 강남지방의 마을에서는 마을 터주를 모시는 민속이 강하다. 반면에 양자강 이북인 허베이 성과 산둥성 등 강북지역에서는 마을 터주보다 집안에 토지신을 모시는 집 터주를 모시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나라의 터주신과 중국의 터주신을 모시는 방식에서 집안과 마을에 터주신을 모시는 공통점이 있다. 중국은 인격화된 터주신을 모시는 반면에 한국은 자연신으로서 터주신을 모신다. 중국의 터주신앙이 불교문화의 전파로 한반도에 건너왔으며, 민속신앙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사찰의 호법선신인 철룡팔부와 풍수지리가 결합된 천룡신앙이 한국민속에 철륭신앙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민속원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서울굿의 양상과 의미홍태한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