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채춤

한국무속신앙사전
군웅거리에서 무녀가 군웅청배를 한 다음 사방으로 망수를 밟으며 굿상을 돌면서 추는 춤.
definition
군웅거리에서 무녀가 군웅청배를 한 다음 사방으로 망수를 밟으며 굿상을 돌면서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이애주
정의군웅거리에서 무녀가 군웅청배를 한 다음 사방으로 망수를 밟으며 굿상을 돌면서 추는 춤.
내용올림채춤은 나직한 올림채장단에 맞추어 가라앉은 무게로 진중하면서도 단아하게 춤을 시작한다. 사방으로 터를 밟아주고 빨라지면서 조임채로 가고 마지막에 [사방치기](/topic/사방치기)를 한다.

올림채 : 혼합10소박(3소박과 2소박의 혼소박)
![무속신앙 올림채춤](/upload/img/20170106/20170106165926_t_.jpg)

조임채: [장단](/topic/장단)이 점점 빨라지며 조임채로 간다.

올림채춤은 무녀가 홍[철릭](/topic/철릭)에 빗갓을 쓰고 부채와 방울을 들고 춤춘 다음 활을 놀리며 사방으로 활을 쏘고 신명나게 돈다. 또 닭을 들고 화살로 대면서 사살하는 시늉을 하기도 하고 [북어](/topic/북어)를 들고 화살로 대면서 추기도 한다. [만신](/topic/만신)과 화랭이가 쌍군웅춤을 추는데, 화랭이는 [꽹과리](/topic/꽹과리)를 치고 무녀는 장삼춤을 추며 발을 여덟팔자로 짚어 발뻐드레 사위를 하고 올림채장단에 맞추어 사방으로 돌며 춘다. 이때 두 사람이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삼진삼퇴하며 팽팽하게 진을 짜면서 추는 사방 구조이다.

올림채춤의 [춤사위](/topic/춤사위)는 다음과 같다.

1. 저정거리는 사위-([도살풀이춤](/topic/도살풀이춤), [별상춤](/topic/별상춤) 춤사위 참조)

2. 젖혔다 뿌리는 사위

3. 귀신 모시는 사위-귀신을 몰아가면서 걷는 시늉의 사위

4. 사방치기-잦은걸음으로 삼진삼퇴하며 한 방향씩 사방치기를 한다.

5. 활사위-사방으로 활을 놀리며 활을 쏜다.

군웅거리에서 사방으로 망수를 밟으며 부정한 것을 몰아내는 씻김의 의미를 갖는다. 산닭놀림에서는 산닭을 들고 징 장단에 맞추어 춤추는데, 이는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大壽大命)의 의미를 지닌다. 활춤은 활을 쏘는 시늉을 하며 악한 것을 쫓아버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지막에 ‘사방치기’는 역동적으로 빠르게 몰아가며 사방의 악귀를 모두 쳐내어 모든 부정을 떨쳐내는 춤이다.
참고문헌조선무속의 현지연구 (최길성,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7)
한국무속과 연희 (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경기도당굿의 굿춤 (이애주, 제8회 동양음악학국제학술회의, 2004)
계명대학교출판부조선무속의 현지연구秋葉隆 저, 최길성 역1987
동문선조선무속의 연구秋葉隆·赤松智城 저, 심우성 역1991
동문선조선무속고이능화 저, 이재곤 역1991
태학사양아록이문건 저, 이상주 역1997
민족사한국 무의 역사와 현상조흥윤1997
국립문화재연구소동해안별신굿2002
구마검이해조 저, 권영민 역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