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1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동화대
    635 2023.02.27
    동화제’로 호명되는 [마을](/topic/마을) 제사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달집’.
  • 삼지창
    666 2023.02.27
    창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무구의 일종. 대·중·소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청룡도](/topic/청룡도) 또는 [언월도](/topic/언월도)와 함께 한 조를 이루면서 사용된다.
  • 옥녀각시
    567 2023.02.27
    신부가 처음으로 시가(媤家)로 가는 [신행](/topic/신행)(新行)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피해야 하는 방위와 관련된 살(煞)의 일종.
  • 천상제
    483 2023.02.27
    신라와 고려시대에 홍수나 가뭄이 있을 때 하천 상류에서 백신(百神)에게 지낸 제사.
  • 고드개 무당
    1017 2023.02.27
    함경도 무속 현장에서 쓰이는 용어로써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얼마 되지 않은 새 무당.
  • 돼지
    570 2023.02.27
    동제(洞祭)등 각종 제사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으로 소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제사용 희생동물.
  • 삼짇고사
    644 2023.02.27
    삼월삼짇날에 가정 단위가 중심이지만 [문중](/topic/문중) 단위 또는 [마을](/topic/마을) 단위로 지내는 [고사](/topic/고사).
  • 옥수그릇
    578 2023.02.27
    신령님께 올리는 맑은 물인 ‘옥수(玉水)’를 담는 잔 또는 통. 옥수그릇은 ‘옥수잔’, ‘청수잔’, ‘옥수단지’, ‘옥수동이’라고도 한다.
  • 천신
    475 2023.02.27
    첫 [수확](/topic/수확)을 끝내고 햇곡식으로 집안의 신을 위하는 제의. [제물](/topic/제물)의 종류에 따라 밀 천신, 배 천신, 햇밥천신, 햇곡천신,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 떡국천신,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참외](/topic/참외)천신,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조기천신 등으로 부르며 제의시기에 따라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流頭薦新)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 고리동반
    982 2023.02.27
    둥글납작한 떡 위에 방울 모양의 떡 일곱 개를 놓아 댓[가지](/topic/가지)로 얽어매고 창살 모양의 [백지](/topic/백지)로 감싼 것.
  • 돼지코
    672 2023.02.27
    경상북도 안동지역에서 침을 흘리지 않을 시기가 되어도 여전히 침을 흘리는 아이의 목에 부적처럼 거는 실제 돼지의 코.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갈남2리 신남[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과 시월 첫 오일(午日)에 지내는 서낭제 중 일부. 이 해신제는 향나무로 깎은 남근목을 봉헌하는 유교식 동제이다.
  •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청마리에 있는 탑신당, 솟대, 천하대[장군](/topic/장군), 지하대장군 등을 아우르는 용어. 1976년 12월 21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천왕대
    577 2023.02.27
    부산 지방의 [별신굿](/topic/별신굿) 가운데 밧당 천왕굿에서 사용되는 무구.
  • 고리짝
    975 2023.02.27
    버드나무 [가지](/topic/가지)를 엮어서 만든 납작한 상자로 옷이나 책을 담는데 쓰며 ‘동고리’라고도 한다. 주로 서울 지역의 작은 굿에서 고리짝의 등쪽을 오동나무 채로 긁어 장구대신 사용한다.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태가 있으며, 근래에는 대나무로 만든 [바구니](/topic/바구니)를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