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동당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에서 동해안 지역 세습무(世襲巫)에 의해 3년마다 거행되는 별신굿. 이 굿은 2003년 4월 24일에 ‘일산동당제(별신굿)’라는 명칭으로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에서 동해안 지역 세습무(世襲巫)에 의해 3년마다 거행되는 별신굿. 이 굿은 2003년 4월 24일에 ‘일산동당제(별신굿)’라는 명칭으로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이균옥
정의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에서 동해안 지역 세습무(世襲巫)에 의해 3년마다 거행되는 별신굿. 이 굿은 2003년 4월 24일에 ‘일산동당제(별신굿)’라는 명칭으로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일산동에서는 매년 정월 보름에는 당신(堂神)에게 제물을 진설하고 유교식의 제를 지낸다. 별신굿은 2년마다 음력 10월 초하루부터 약 4일간 연행된다. 음력 10월 초하루 자시(子時)에 유교식으로 신당(神堂)에서 제주와 [마을](/topic/마을) 임원들이 제를 먼저 지낸 다음 장소를 옮겨 무당이 주재하는 별신굿을 한다.

첫날의 유교식 제의는 제주가 제물 등을 모두 준비하고 [제관](/topic/제관) 역할도 한다. 제주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교체하지 않는다. 다른 마을과 같이 제주는 제일이 다가오면 제물 준비를 하고, 찬물에 목욕하고, 부부간의 잠자리도 삼가며, 부정한 일을 하지 않는 등의 금기를 지킨다.

일산동별신굿의 경비는 일산동 어촌계가 주로 부담하고, 마을 주민과 외지의 마을 출신 인사들이 기부한 금액으로 경비를 조달한다. 별신굿의 목적이 주로 풍어이기 때문이다.

무당이 담당하는 별신굿은 사정에 따라 다르다. 대체로 22~24개의 굿거리로 구성되며, 각 굿거리는 무녀가 주재한다. 남자무당인 양중들은 [무악](/topic/무악)을 연주하거나 무극(巫劇)인 곤반에 참여한다. 잽이들의 무악 반주악기는 주로 장구, [꽹과리](/topic/꽹과리), 징, 바라 등이 사용된다. 동해안 지역 별신굿에서는 장구가 가장 기본적인 악기이다.

굿당은 바닷가 모래사장 위에 천막을 치고 설치된다. 제물을 진설하기 위해 만든 제물대는 후면이 바다에 접하도록 설치한다. 제물은 제물대의 오른쪽 아랫부분부터 [시루떡](/topic/시루떡) 시루, 중앙 위쪽 좌우와 중앙에 지화(紙花), 그 사이에 소주와 밀가루로 만든 용 및 쇠머리가 위치한다. 중앙 아래쪽에는 생선, 밤, [대추](/topic/대추), 엿, 과일, 전이 진설된다. 제물대 정면 앞에는 돗자리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촛대](/topic/촛대) 2개, 술잔 2개, [향합](/topic/향합)을 놓은 상을 차려 놓는다. 제물대의 사방 나무[기둥](/topic/기둥) 가운데 정면 쪽으로 두 개의 기둥에는 [신대](/topic/신대)와 장식용 깃발을 각각 묶어 놓는다. 장식용 깃발은 큰 대나무의 꼭대기에 태극기를 달고 그 아래 흑애등을 단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마을의 수호신을 골맥이, 골매기신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그 신이 남자인 때에는 골맥이 할배, 여자인 때에는 골맥이 할매가 된다. 일산동의 신은 골맥이 할배와 골맥이 할매가 모두 좌정해 있다. 이들은 부부신이며 [입향시조](/topic/입향시조)이다. 그런데 부부신은 한 쌍의 부부가 아니라 할아버지 한 명에 할머니가 둘인 것이 특징이다.

현재 신당에 모셔진 골맥이신은 입향시조 부부신이고, 그 후 혼자 사는 할머니가 이 마을에 들어와 현재의 아랫당 자리에 집을 짓고 살게 되었다. 할머니가 나중에 입향시조 할아버지의 작은 부인이 되었기 때문에 세 신을 다 모신다고 한다. 이 세 신의 격이 다르기 때문에 아랫당은 신당이 따로 없고 제물도 웃당과 다르게 준비한다.

유교식 제를 지내기 위해 제주는 며칠 전부터 제물을 준비한다. 제물은 떡, 생선, 과일, 삶은 쇠머리, 엿 등이다. 밀가루로 만든 [용이](/topic/용이) 제물로서 특징이다. 엿을 제물로 쓰는 이유는 미역이 줄이나 바위에서 잘 떨어지지 않고 잘 자라게 하도록 해 달라는 뜻이다. 밀가루로 만든 용을 [제상](/topic/제상)에 올리는 것은 이 마을이 해변에 있으며, 바다와 관련된 [생업](/topic/생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물과 관련 있는 용을 제물로 올린다. 용은 40cm 정도 길이로 밀가루로 빚어서 쟁반에 올리고, 쟁반째 솥에 넣고 찐 것을 사용한다. 입은 대추로 만들고, 눈은 붉은 콩을 박아서 만든다.

자정이 가까워지면 제물과 제문을 준비하여 제당으로 향한다. 제주는 흰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입고 제물을 리어카에 실어 신당에 오른다. 신당 입구에는 대나무 [가지](/topic/가지) 세 자루가 왼새끼와 함께 드리워져 있다. 신당은 5㎡ 정도 되는 1칸 [기와집](/topic/기와집)이다. 제주가 신당 주위를 청소한 후 깨끗한 물에 손을 씻고 신당 문을 열면 제주 부인이 물 한 바가지를 들고 신당 주위에 뿌리며 부정치기를 한다.

신당에서는 제주와 어촌계장이 제를 지낸다. 제주가 제물의 진설을 마친 다음 재배 후 어촌계장이 [축문](/topic/축문)을 읽고 다시 재배한다. [정화수](/topic/정화수)를 신단에 올린 후 재배하고, 소지를 올리면 제가 끝난다. [음복](/topic/음복)을 한 후 제물을 물리고, 일부를 따로 상에 담아 신당 바깥쪽을 향해 차려 놓고 간단한 거리물림을 한다.

신당에서 제주와 어촌계장이 제를 올리기 시작하면 마을 임원 두 사람이 또 다른 제물을 [소쿠리](/topic/소쿠리)에 담아 신단 뒤쪽에 위치한 아랫당에서 같은 형식으로 제를 지낸다.

별신굿을 진행할 무당은 굿 하루 전인 음력 9월 그믐 오후에 마을에 도착한다. 굿당은 해변가에 마련되며, 무당들은 숙소에서 굿당을 장식할 흑애등·지화·용선(龍船) 등을 만든다. 마을 책임자와 굿의 책임자인 당주무당은 굿거리에 대한 절차와 기타 내용들을 협의한다.

음력 10월 초하루 아침 해가 뜰 시간에 일월거리를 시작으로 별신굿은 시작된다. 그후 무당과 마을 임원들은 제주의 집으로 가서 부정굿을 한 뒤 신당에 오른다. 신당에서는 골맥이신에게 굿의 거행을 고하고 신을 내림대에 내린다. 신당에서 신을 모신 후 아랫당으로 이동하여 간단한 선고를 한 후 신을 모시고 굿당으로 돌아온다.

본격적인 굿은 골맥이신을 신당으로 모셔와 그 신대를 제물대에 묶어둔 후 시작된다. 굿은 일월거리, [가망](/topic/가망)거리, 세존거리, 군웅거리, 제석거리, 내천왕거리, 산신거리, 조상거리, 손님거리(손님네 말치레놀이), 대왕거리, 부인거리, 소가망거리, 성조거리, 황제거리, 내삼황세존거리(중도둑잡이놀이), 맹인거리([맹인놀이](/topic/맹인놀이)), 용왕거리, 우천왕거리([도리](/topic/도리)강관놀이), 장수거리, 걸립거리, 월래거리(뱃[고사](/topic/고사)), 대거리 등 순서로 진행된다. 상황에 따라 굿거리 수는 조정되거나 순서가 바뀌기도 한다. 이 중에서 손님네 말치레놀이, 중도둑잡이놀이, 맹인놀이, 도리강관놀이, 대거리는 양중들이 주로 참여하는 무극이다. 이들 무극은 독립된 굿거리로 인정하면 굿거리 수가 더 늘어나며, 이러한 굿거리 이외에 마을 주민과 무당들이 어울려 노는 놀음굿이라는 즉흥적인 굿거리가 수시로 첨가되기도 한다.

일산동별신굿을 주재하는 무집단은 동해안 일원의 세습무 중 대표적인 무가계인 [김석출](/topic/김석출)(金石出) 무가계이다. 김석출 무가계는 김천득(金千得, 조부)·이옥분(李玉芬, 조모)·김성수(부친)·이선옥(모친)·김호출(金好出, 형)이 모두 무업에 종사했으며, 150년 가까이 되었다. 무집단의 규모는 현재 80여 명에 이른다. 이들은 강원도 강릉에서부터 부산 동래에 이르기까지 동해안 해안선 일대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 지역적 근거를 두고 지역의 [단골](/topic/단골)이 되어 굿을 담당한다. 김석출의 사망 이후 사위인 김동렬, 딸인 [김영희](/topic/김영희)·김동연·김동언 등이 일산동별신굿을 하고 있다. 이들의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이 1985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가호’로 지정되었다.

풍어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별신굿은 마을의 축제이기도 하다. 별신굿은 동해안 지역에서 가장 많이 전승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별신굿이 전승되는 마을은 축소되고 있다. 별신굿은 주술적 기능 이외에 예술적 기능도 있으며, 마을의 대동화합을 위한 중요한 행사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무당들은 별신굿이 전승되는 마을들이 주민들 간의 화합도 잘 되어 평화로운 마을이라고 한다. 별신굿이라는 마을 행사를 통해 신과 인간뿐 아니라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민주적이고 따뜻한 관계로 만든다. 별신굿을 보존하고 전승시켜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참고문헌울산지방무가자료집 (박경신, 울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3)
한국의 별신무가 (박경신, 국학자료원, 1999)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겨울편 (국립민속박물관, 2006)
역사일산동당제는 울산 지역의 대표적인 [별신굿](/topic/별신굿)으로,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200년 이상 전승되고 있다고 한다.
집문당한국무속연구김태곤1981
정음사한국의 무조흥윤1983
대원사한국의 무속김태곤1991
민족문화사한국민속대사전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1991
한국몽골학회한국무속신 고찰양종승1996
민속원동신당김태곤1999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한국무신의 구조연구양종승1999
국립민속박물관서울의 관왕묘 건치와 관우신앙의 양상장장식2004
한국민속학회안동의 관왕묘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동향김명자2005
한국동학학회조선후기 관우신앙 연구이유나200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