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석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칠석날인 음력 칠월 초이렛날에 가정에서 행하는 의례. 칠석고사(七夕告祀), 칠석맞이, [칠석제](/topic/칠석제)(七夕祭), [칠성제](/topic/칠성제), [칠성고사](/topic/칠성고사)라고도 한다.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칠성신](/topic/칠성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주로 부녀자들이 장광, [장독대](/topic/장독대)나 뒤뜰에서 자식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비손](/topic/비손)으로 의례를 행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농사가 짐승들의 피해 없이 잘되게 해 달라고 전을 부쳐서 논밭에 나가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definition
칠석날인 음력 칠월 초이렛날에 가정에서 행하는 의례. 칠석고사(七夕告祀), 칠석맞이, [칠석제](/topic/칠석제)(七夕祭), [칠성제](/topic/칠성제), [칠성고사](/topic/칠성고사)라고도 한다.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칠성신](/topic/칠성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주로 부녀자들이 장광, [장독대](/topic/장독대)나 뒤뜰에서 자식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비손](/topic/비손)으로 의례를 행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농사가 짐승들의 피해 없이 잘되게 해 달라고 전을 부쳐서 논밭에 나가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김진순
정의칠석날인 음력 칠월 초이렛날에 가정에서 행하는 의례. 칠석고사(七夕告祀), 칠석맞이, [칠석제](/topic/칠석제)(七夕祭), [칠성제](/topic/칠성제), [칠성고사](/topic/칠성고사)라고도 한다.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칠성신](/topic/칠성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주로 부녀자들이 장광, [장독대](/topic/장독대)나 뒤뜰에서 자식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비손](/topic/비손)으로 의례를 행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농사가 짐승들의 피해 없이 잘되게 해 달라고 전을 부쳐서 논밭에 나가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정의칠석날인 음력 칠월 초이렛날에 가정에서 행하는 의례. 칠석고사(七夕告祀), 칠석맞이, [칠석제](/topic/칠석제)(七夕祭), [칠성제](/topic/칠성제), [칠성고사](/topic/칠성고사)라고도 한다.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칠성신](/topic/칠성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주로 부녀자들이 장광, [장독대](/topic/장독대)나 뒤뜰에서 자식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비손](/topic/비손)으로 의례를 행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농사가 짐승들의 피해 없이 잘되게 해 달라고 전을 부쳐서 논밭에 나가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내용칠석고사는 가정에서 행하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의 하나로서 자손들의 건강과 수명을 기원하는 정기적인 의례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칠성줄을 타고난 자손이 있다거나 특별히 칠성을 모시는 집에서만 지내는 경우도 있다.

칠석고사는 [칠성신](/topic/칠성신) 또는 북두칠성, [옥황상제](/topic/옥황상제) 등을 대상으로 칠석날 아침이나 저녁 또는 전날 밤에 뒤꼍의 장광이나 [장독대](/topic/장독대)에서 [비손](/topic/비손)으로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안의 장광은 가장 깨끗한 장소로서 칠성이 좌정하기에 적합한 곳이라는 믿음이 있다. 가정에 따라 집안에 돌을 가져다 모신 칠성돌, [황토](/topic/황토)로 단을 쌓아 만든 칠성단 등이 있어 이곳이 칠석고사의 제단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칠석 및 칠성과 연관하여 메에다 일곱 개의 숟가락을 꼽는다거나 절을 일곱 번 하기, 술 일곱 잔, 소지 일곱 장 올리기, 구멍이 일곱 개인 시루에 백설기를 찐다는 등 숫자 7과 연관되는 사례가 흔하게 보인다.

칠석고사의 제물로는 주로 쌀밥과 미역국이 많다. 이는 아이의 수명장수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삼신과 연관되어 제물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 준다. 특히 충청남도지역에서는 삼신주머니에 [봉안](/topic/봉안)한 쌀로 칠석날 쌀밥을 짓는 사례가 있다. 이처럼 칠석날을 ‘쌀밥에 미역국 먹는 명절’이라 할 만큼 제물에서 쌀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쌀은 [가을걷이](/topic/가을걷이)를 하면 칠석날을 위해 미리 따로 장만해 둔다. 이 밖에도 깨끗한 물로 올리는 청수와 보통 한 되 서 홉으로 찐다는 백설기, 나물 등이 주요 제물이 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밀가루로 부침개를 부쳐서 고사를 지낸다. 칠성을 위한 음식에서 비린 음식을 금기하는 경우도 있다. [칠석제](/topic/칠석제)의 제물은 반드시 제단에 [볏짚](/topic/볏짚)을 깔고 그 위에 차려서 청결함을 강조하기도 한다. [마을](/topic/마을)에 초상이 나거나 부정한 일이 발생하면 고사를 지내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금기가 다른 가정의례보다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칠석날 [명다리](/topic/명다리)를 걸어 놓은 가정에서는 만신을 찾아가서 자식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사찰의 칠성당에서 자식들의 명과 복을 기원하며 불공을 드리기도 한다.

충남지역에서는 칠석고사를 지내기 전에 논두렁과 밭두렁의 풀을 깎아서 깨끗이 정돈한다. 이는 하늘에서 칠성 또는 옥황상제가 내려다보고 더러운 곳은 나락을 조금 맺히게 하고 깨끗한 곳은 많이 맺히게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형편이 괜찮은 집은 떡을 해서 논밭에 갖다 놓기도 한다.
내용칠석고사는 가정에서 행하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의 하나로서 자손들의 건강과 수명을 기원하는 정기적인 의례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칠성줄을 타고난 자손이 있다거나 특별히 칠성을 모시는 집에서만 지내는 경우도 있다.

칠석고사는 [칠성신](/topic/칠성신) 또는 북두칠성, [옥황상제](/topic/옥황상제) 등을 대상으로 칠석날 아침이나 저녁 또는 전날 밤에 뒤꼍의 장광이나 [장독대](/topic/장독대)에서 [비손](/topic/비손)으로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안의 장광은 가장 깨끗한 장소로서 칠성이 좌정하기에 적합한 곳이라는 믿음이 있다. 가정에 따라 집안에 돌을 가져다 모신 칠성돌, [황토](/topic/황토)로 단을 쌓아 만든 칠성단 등이 있어 이곳이 칠석고사의 제단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칠석 및 칠성과 연관하여 메에다 일곱 개의 숟가락을 꼽는다거나 절을 일곱 번 하기, 술 일곱 잔, 소지 일곱 장 올리기, 구멍이 일곱 개인 시루에 백설기를 찐다는 등 숫자 7과 연관되는 사례가 흔하게 보인다.

칠석고사의 제물로는 주로 쌀밥과 미역국이 많다. 이는 아이의 수명장수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삼신과 연관되어 제물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 준다. 특히 충청남도지역에서는 삼신주머니에 [봉안](/topic/봉안)한 쌀로 칠석날 쌀밥을 짓는 사례가 있다. 이처럼 칠석날을 ‘쌀밥에 미역국 먹는 명절’이라 할 만큼 제물에서 쌀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쌀은 [가을걷이](/topic/가을걷이)를 하면 칠석날을 위해 미리 따로 장만해 둔다. 이 밖에도 깨끗한 물로 올리는 청수와 보통 한 되 서 홉으로 찐다는 백설기, 나물 등이 주요 제물이 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밀가루로 부침개를 부쳐서 고사를 지낸다. 칠성을 위한 음식에서 비린 음식을 금기하는 경우도 있다. [칠석제](/topic/칠석제)의 제물은 반드시 제단에 [볏짚](/topic/볏짚)을 깔고 그 위에 차려서 청결함을 강조하기도 한다. [마을](/topic/마을)에 초상이 나거나 부정한 일이 발생하면 고사를 지내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금기가 다른 가정의례보다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칠석날 [명다리](/topic/명다리)를 걸어 놓은 가정에서는 만신을 찾아가서 자식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사찰의 칠성당에서 자식들의 명과 복을 기원하며 불공을 드리기도 한다.

충남지역에서는 칠석고사를 지내기 전에 논두렁과 밭두렁의 풀을 깎아서 깨끗이 정돈한다. 이는 하늘에서 칠성 또는 옥황상제가 내려다보고 더러운 곳은 나락을 조금 맺히게 하고 깨끗한 곳은 많이 맺히게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형편이 괜찮은 집은 떡을 해서 논밭에 갖다 놓기도 한다.
지역사례충남 청양군 정산면 내초리에서는 칠월칠석이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길일이라 하여 치성을 드린다. 이날 삼신주머니를 매단 가정에서는 그 쌀을 꺼내어 쌀밥을 지어 먹는다. 그렇지 않은 가정에서도 쌀을 따로 보관해 두었다가 쌀밥을 짓는다. 여름 내내 [보리](/topic/보리)밥만 먹다가 칠석날에는 쌀밥을 먹을 수 있어서 아이들이 칠석날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한다. 칠석에는 당산에 칠성이 있다고 여겨 초엿샛날 저녁에 백설기를 쪄서 당산에 올린다. 백설기는 식구끼리 먹을 만큼 한 되 서 홉 정도로 찐다. 벼가 달린 부분이 북쪽을 향하도록 하여 짚을 한 일(一)자로 깔고 그 위에 시루와 청수를 올린다. 칠성이 일곱 명이므로 절을 일곱 번 해야 한다. 초도 일곱 개를 밝힌다. 그러나 이러한 사정은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집안의 풍습대로 한다. 북쪽을 향해 절을 일곱 번 하고 동, 남, 서의 순으로 돌면서 역시 절을 한다. 이때는 정해진 수가 없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만큼씩 절을 한다. 소지는 당산소지를 먼저 올리고 칠성소지를 나중에 올린다. [대주](/topic/대주)소지와 [분가](/topic/분가)한 아들소지도 올린다. 미리 소지 종이에 각자의 이름을 적어 두었다가 올린다. 소지가 잘 올라가면 그 사람은 그해에 운이 매우 좋다고 여긴다. 반면에 소지가 잘 오르지 않고 까맣게 타서 떨어지면 그 사람은 그 해에 운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여긴다. 소지가 잘 오르지 않았어도 다시 올리지는 않는다. 당산에서 칠성을 위하고 나서 시루와 청수를 [가지](/topic/가지)고 방 안의 성주께로 간다. 성주께 제물을 올린 뒤에는 특별히 절을 하거나 소지를 올리지 않는다. 잠깐 그대로 두었다가 성주 앞에서 주걱으로 떡을 떼어 놓는다. 이때 백설기 가운데 부분은 따로 떼어 대주 몫으로 둔다. 이것을 먹으면 재수가 좋다고 하여 대주에게 미리 ‘재수 좋은 떡’이라고 말하고 건넨다. 모두 먹지 못하면 조금이라도 먹는 시늉을 한다. 청수는 대주가 먼저 떡과 함께 마시고 식구들이 나누어 마신다. 요즘은 칠석날 당산에 나가 치성을 드리지는 않지만 백설기를 쪄서 자식들을 위해 [냉장고](/topic/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먹인다고 한다.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오동동에서는 칠석날 칠석고사를 지내는 가정이 많았다. 음력 칠월 초엿샛날 밤에 [장독대](/topic/장독대)에다 백설기를 차려 놓고 자손이 건강하고 집안이 무고하기를 기원한다. 떡은 보통 쌀 석 되 서 홉으로 한다. 이보다 더 할 수도 있고 덜 할 수도 있지만 몇 되를 찌더라도 반드시 서 홉은 넣어야 한다. 백설기는 시루째 놓고 청수 한 그릇을 떠 놓으며, 촛불을 밝힌 다음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동서남북 세 번씩 절을 한다.

충청도를 비롯한 기타 지역의 칠석고사에서 칠석날 [마당](/topic/마당) 한가운데 짚을 열 십자로 깔고 그 위에 청수나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북두칠성에 절을 한다는 사례도 있다.

강원도지역에서는 칠석고사라 하여 짐승들이 논, 밭의 곡식을 해치지 말라는 뜻으로 밭둑이나 논둑에서 적(전)을 부쳐 고사를 지낸다. 기름 냄새를 풍기면 짐승들이 곡식에 대들지 않고 농사가 잘된다고 믿는다.

영월지역에서는 칠석날 칠성을 위한다고 하여 장독대에서 [비손](/topic/비손)을 하거나 과일과 술 등 간단한 제물을 준비하여 산속의 바위를 찾아가서 치성을 드리기도 한다. 그리고 무당에게 수명을 걸어둔 사람들은 무당을 찾아가 [칠성제](/topic/칠성제)를 지낸다. 이때 자손들의 명을 빌어 달라고 쌀도 올리고 국수도 삶아서 올린다. 특히 국수는 자손들의 명이 짧다고 하는 사람들이 삶아서 올린다.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에서는 칠석날이면 정월에 하는 [안택](/topic/안택)처럼 마당 한복판에 깨끗한 물을 떠 놓고 “가정이 편안하고 식구들이 잘되게 해 주십소사.”하고 칠성을 위한다. 안택에서는 성주, 조왕, 오방터주지신에게 빌지만 칠석날에는 ‘칠성님’을 부르며 축원한다. 칠성을 위하는 사람들은 칠성에게 빌어서 자손을 본 사람들이다.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에서는 칠석날 밀 부침개를 해서 [마루](/topic/마루)에 차려서 촛불을 밝혀 놓기도 한다. 칠석날 새벽에 [밀떡](/topic/밀떡)과 청수를 떠 놓고 빌었더니 아들을 얻었다는 사람도 있다. 아이를 원하는 부인은 [무명](/topic/무명)을 몇 자씩 잘라 놓고는 하루에 몇 번 단수를 먹이는데(표백작업) 이것이 칠성을 위한 행위라고 한다. 또 [마을](/topic/마을)에서는 칠석고사라 하여 칠석날이면 일부 가정에서 밀가루로 부침개를 부쳐서 가루개 서낭에 가서 빈다. 가루개 서낭은 토성리에서 철원 쪽으로 나가는 고갯마루에 있다. 서낭에 올릴 제물로는 깨끗한 흰 [시루떡](/topic/시루떡), 과일, 청수를 쓴다. 각 가정에서는 서낭에 가서 짚을 깔고 제물을 차려 놓은 뒤에 재배하고 소지를 올려서 집안의 평안을 빈다.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에서는 칠성을 따로 모시지 않는 집에서도 칠월칠석이면 고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밀을 [맷돌](/topic/맷돌)에 갈아서 [호박](/topic/호박)을 넣고 지져낸 부침개를 세 접시에 담아 성주 앞에 놓고 칠석날이라고 고한다. 칠성을 위하는 집에서는 성주보다 칠성에게 먼저 음식을 차려 놓는다. 이어서 방, [우물](/topic/우물), [외양간](/topic/외양간), 개집, 닭장 등 집안 곳곳에 모두 차려 놓는다. 그 뒤에는 경작하는 논밭에도 차려 놓고 풍년을 기원한다. 철원의 일부지역에서는 칠석날 굳이 칠성을 믿지 않아도 이날은 집안에 기름 냄새를 풍기면 굿 한 번 하는 것 보다 낫다고 하여 부침개 등을 해 먹기도 한다.

전라남도지역에서는 칠석날 장독대에 물을 떠 놓고 공을 드리는 것을 ‘칠성공 드린다.’고 한다. 칠성공을 드릴 때에는 남들보다 먼저 일어나서 우물물을 길어 와 그 물을 올렸다. 지역에 따라서는 밤에 마당 한가운데 제석을 깔고 그 위에 물 한 동이를 놓은 다음 간단한 [제상](/topic/제상)을 마련하여 주부가 그 앞에서 동서남북을 향해 일곱 번씩 절을 하고 가족의 안녕을 빈다.

제주도지역에서도 칠석날 칠성제를 지낸다. 대상은 칠원성군(북두칠성)이다. 예전에는 칠성기도를 7일 동안 드렸으나 요즘은 3일로 바뀌었다.
참고문헌남도의 민속문화 (최덕원, 밀알, 1994)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충남․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가을 (국립민속박물관, 2010)
阴历七月七日“[七夕](/topic/七夕)日”家庭举行的祭仪。

“七夕[告祀](/topic/告祀)”亦称“七夕祭”,“七星祭”,是家庭岁时风俗之一,大多定期举行,旨在祈祷子孙健康长寿。一般于七夕日清晨,晚上或前日夜间,在酱缸台旁向七星神,[北斗七星](/topic/北斗七星),玉皇大帝等[摩祷](/topic/摩祷)。因为人们相信家里酱缸台是最干净的地方,适合七星坐定。另外,人们也将放在家中供奉的七星石作为祭坛,或用[黄土](/topic/黄土)搭七星坛。祭仪中与七夕,七星中的数字七相关的现象很常见:[祭饭](/topic/祭饭)上插七把勺子,行七次礼,敬七杯酒,烧七张纸,用七孔[甑子](/topic/甑子)做甑糕等。

七夕告祀的祭品一般有米饭和[海带](/topic/海带)汤,这和孩子的长命百岁有关。尤其是在忠清南道地区,有人用供奉在[三神](/topic/三神)坛中的米做七夕日的米饭。可见米饭在祭品中的地位之高。因此秋收时人们提前把七夕日用的米单独备置好。此外祭品还有用清水和升 3 合米粉做的甑糕及素菜等。也有的地区用面粉做煎饼来举行告祀。有时候给七星准备的供品忌荤腥。祭品讲究干净,一定要放在祭坛上铺的稻草上。与其他家庭祭仪相比,七夕告祀忌讳的更多,如不在村里有丧事或[不净](/topic/不净)的事发生时举行。在巫师家中挂“[命桥](/topic/命桥)”(祈祷长寿的布)的家庭七夕日到巫师家中祈祷子孙长命百岁,在寺刹的七星堂供佛,祈盼子孙长寿好运。
[[Chilseok](/topic/TheSeventhoftheSeventhMonth)](/topic/Chilseok)gosa is a ritual held in homes to mark Chilseok Day,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Also called chilseokje (Seventh Evening ritual) or chilseongje (ritual for Seven Stars), this ritual is an annual seasonal ceremony held to pray for the health and longevity of the family’s offspring. It is observed either on the morning or evening of Chilseok Day, or the evening before, with a simple hand-rubbing (bison) rite to worship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or Okwangsangje (Pure August Jade Emperor). The ritual takes place in the backyard by the sauce jar terrace, a location considered the cleanest place in the home and thereby the most suitable place to offer devotion to Chilseong. Altars are sometimes set up in the form of a rock (chilseongdol), or a pile of red clay (chilseongdan). Many of the ritual’s procedures are performed in sets of seven, in association with Chilseok or Chilseong: seven spoons inserted in the bowl of steamed rice (me) on the ritual table; offering seven bows and seven cups of ritual wine; burning seven sheets of prayer text (soji); and steaming white rice cake in a steamer (siru) with seven holes.

Sacrificial foods generally comprise steamed rice and sea mustard soup, which is related to the longevity of children.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rice enshrined inside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 pouch, the sacred entity for the Goddess of Childbearing, is used to make steamed rice on Chilseok Day. Since rice is an important sacrificial food for this occasion, during the fall harvest each year, some rice is set aside for Chilseok. Other offerings include plain white rice cake (baekseolgi), made with clear water and rice powder, and cooked vegetables. Flour pancakes are also offered in some regions. In some cases fish and seafood are considered taboo. Taboos are more strictly observed compared to other household rituals: The ritual is not held in the case of impurities, including a death in the village. If the family keeps a “life bridge (myeongdari), ” or longevity prayer cloth, hung at their shaman’s shrine, they visit the shaman on Chilseok Day to pray for the longevity of the children, and offer prayers at the Chilseong shrine at Buddhist temples as well.
지역사례충남 청양군 정산면 내초리에서는 칠월칠석이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길일이라 하여 치성을 드린다. 이날 삼신주머니를 매단 가정에서는 그 쌀을 꺼내어 쌀밥을 지어 먹는다. 그렇지 않은 가정에서도 쌀을 따로 보관해 두었다가 쌀밥을 짓는다. 여름 내내 [보리](/topic/보리)밥만 먹다가 칠석날에는 쌀밥을 먹을 수 있어서 아이들이 칠석날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한다. 칠석에는 당산에 칠성이 있다고 여겨 초엿샛날 저녁에 백설기를 쪄서 당산에 올린다. 백설기는 식구끼리 먹을 만큼 한 되 서 홉 정도로 찐다. 벼가 달린 부분이 북쪽을 향하도록 하여 짚을 한 일(一)자로 깔고 그 위에 시루와 청수를 올린다. 칠성이 일곱 명이므로 절을 일곱 번 해야 한다. 초도 일곱 개를 밝힌다. 그러나 이러한 사정은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집안의 풍습대로 한다. 북쪽을 향해 절을 일곱 번 하고 동, 남, 서의 순으로 돌면서 역시 절을 한다. 이때는 정해진 수가 없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만큼씩 절을 한다. 소지는 당산소지를 먼저 올리고 칠성소지를 나중에 올린다. [대주](/topic/대주)소지와 [분가](/topic/분가)한 아들소지도 올린다. 미리 소지 종이에 각자의 이름을 적어 두었다가 올린다. 소지가 잘 올라가면 그 사람은 그해에 운이 매우 좋다고 여긴다. 반면에 소지가 잘 오르지 않고 까맣게 타서 떨어지면 그 사람은 그 해에 운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여긴다. 소지가 잘 오르지 않았어도 다시 올리지는 않는다. 당산에서 칠성을 위하고 나서 시루와 청수를 [가지](/topic/가지)고 방 안의 성주께로 간다. 성주께 제물을 올린 뒤에는 특별히 절을 하거나 소지를 올리지 않는다. 잠깐 그대로 두었다가 성주 앞에서 주걱으로 떡을 떼어 놓는다. 이때 백설기 가운데 부분은 따로 떼어 대주 몫으로 둔다. 이것을 먹으면 재수가 좋다고 하여 대주에게 미리 ‘재수 좋은 떡’이라고 말하고 건넨다. 모두 먹지 못하면 조금이라도 먹는 시늉을 한다. 청수는 대주가 먼저 떡과 함께 마시고 식구들이 나누어 마신다. 요즘은 칠석날 당산에 나가 치성을 드리지는 않지만 백설기를 쪄서 자식들을 위해 [냉장고](/topic/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먹인다고 한다.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오동동에서는 칠석날 칠석고사를 지내는 가정이 많았다. 음력 칠월 초엿샛날 밤에 [장독대](/topic/장독대)에다 백설기를 차려 놓고 자손이 건강하고 집안이 무고하기를 기원한다. 떡은 보통 쌀 석 되 서 홉으로 한다. 이보다 더 할 수도 있고 덜 할 수도 있지만 몇 되를 찌더라도 반드시 서 홉은 넣어야 한다. 백설기는 시루째 놓고 청수 한 그릇을 떠 놓으며, 촛불을 밝힌 다음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동서남북 세 번씩 절을 한다.

충청도를 비롯한 기타 지역의 칠석고사에서 칠석날 [마당](/topic/마당) 한가운데 짚을 열 십자로 깔고 그 위에 청수나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북두칠성에 절을 한다는 사례도 있다.

강원도지역에서는 칠석고사라 하여 짐승들이 논, 밭의 곡식을 해치지 말라는 뜻으로 밭둑이나 논둑에서 적(전)을 부쳐 고사를 지낸다. 기름 냄새를 풍기면 짐승들이 곡식에 대들지 않고 농사가 잘된다고 믿는다.

영월지역에서는 칠석날 칠성을 위한다고 하여 장독대에서 [비손](/topic/비손)을 하거나 과일과 술 등 간단한 제물을 준비하여 산속의 바위를 찾아가서 치성을 드리기도 한다. 그리고 무당에게 수명을 걸어둔 사람들은 무당을 찾아가 [칠성제](/topic/칠성제)를 지낸다. 이때 자손들의 명을 빌어 달라고 쌀도 올리고 국수도 삶아서 올린다. 특히 국수는 자손들의 명이 짧다고 하는 사람들이 삶아서 올린다.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에서는 칠석날이면 정월에 하는 [안택](/topic/안택)처럼 마당 한복판에 깨끗한 물을 떠 놓고 “가정이 편안하고 식구들이 잘되게 해 주십소사.”하고 칠성을 위한다. 안택에서는 성주, 조왕, 오방터주지신에게 빌지만 칠석날에는 ‘칠성님’을 부르며 축원한다. 칠성을 위하는 사람들은 칠성에게 빌어서 자손을 본 사람들이다.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에서는 칠석날 밀 부침개를 해서 [마루](/topic/마루)에 차려서 촛불을 밝혀 놓기도 한다. 칠석날 새벽에 [밀떡](/topic/밀떡)과 청수를 떠 놓고 빌었더니 아들을 얻었다는 사람도 있다. 아이를 원하는 부인은 [무명](/topic/무명)을 몇 자씩 잘라 놓고는 하루에 몇 번 단수를 먹이는데(표백작업) 이것이 칠성을 위한 행위라고 한다. 또 [마을](/topic/마을)에서는 칠석고사라 하여 칠석날이면 일부 가정에서 밀가루로 부침개를 부쳐서 가루개 서낭에 가서 빈다. 가루개 서낭은 토성리에서 철원 쪽으로 나가는 고갯마루에 있다. 서낭에 올릴 제물로는 깨끗한 흰 [시루떡](/topic/시루떡), 과일, 청수를 쓴다. 각 가정에서는 서낭에 가서 짚을 깔고 제물을 차려 놓은 뒤에 재배하고 소지를 올려서 집안의 평안을 빈다.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에서는 칠성을 따로 모시지 않는 집에서도 칠월칠석이면 고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밀을 [맷돌](/topic/맷돌)에 갈아서 [호박](/topic/호박)을 넣고 지져낸 부침개를 세 접시에 담아 성주 앞에 놓고 칠석날이라고 고한다. 칠성을 위하는 집에서는 성주보다 칠성에게 먼저 음식을 차려 놓는다. 이어서 방, [우물](/topic/우물), [외양간](/topic/외양간), 개집, 닭장 등 집안 곳곳에 모두 차려 놓는다. 그 뒤에는 경작하는 논밭에도 차려 놓고 풍년을 기원한다. 철원의 일부지역에서는 칠석날 굳이 칠성을 믿지 않아도 이날은 집안에 기름 냄새를 풍기면 굿 한 번 하는 것 보다 낫다고 하여 부침개 등을 해 먹기도 한다.

전라남도지역에서는 칠석날 장독대에 물을 떠 놓고 공을 드리는 것을 ‘칠성공 드린다.’고 한다. 칠성공을 드릴 때에는 남들보다 먼저 일어나서 우물물을 길어 와 그 물을 올렸다. 지역에 따라서는 밤에 마당 한가운데 제석을 깔고 그 위에 물 한 동이를 놓은 다음 간단한 [제상](/topic/제상)을 마련하여 주부가 그 앞에서 동서남북을 향해 일곱 번씩 절을 하고 가족의 안녕을 빈다.

제주도지역에서도 칠석날 칠성제를 지낸다. 대상은 칠원성군(북두칠성)이다. 예전에는 칠성기도를 7일 동안 드렸으나 요즘은 3일로 바뀌었다.
참고문헌남도의 민속문화 (최덕원, 밀알, 1994)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충남․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가을 (국립민속박물관, 2010)
阴历七月七日“[七夕](/topic/七夕)日”家庭举行的祭仪。

“七夕[告祀](/topic/告祀)”亦称“七夕祭”,“七星祭”,是家庭岁时风俗之一,大多定期举行,旨在祈祷子孙健康长寿。一般于七夕日清晨,晚上或前日夜间,在酱缸台旁向七星神,[北斗七星](/topic/北斗七星),玉皇大帝等[摩祷](/topic/摩祷)。因为人们相信家里酱缸台是最干净的地方,适合七星坐定。另外,人们也将放在家中供奉的七星石作为祭坛,或用[黄土](/topic/黄土)搭七星坛。祭仪中与七夕,七星中的数字七相关的现象很常见:[祭饭](/topic/祭饭)上插七把勺子,行七次礼,敬七杯酒,烧七张纸,用七孔[甑子](/topic/甑子)做甑糕等。

七夕告祀的祭品一般有米饭和[海带](/topic/海带)汤,这和孩子的长命百岁有关。尤其是在忠清南道地区,有人用供奉在[三神](/topic/三神)坛中的米做七夕日的米饭。可见米饭在祭品中的地位之高。因此秋收时人们提前把七夕日用的米单独备置好。此外祭品还有用清水和升 3 合米粉做的甑糕及素菜等。也有的地区用面粉做煎饼来举行告祀。有时候给七星准备的供品忌荤腥。祭品讲究干净,一定要放在祭坛上铺的稻草上。与其他家庭祭仪相比,七夕告祀忌讳的更多,如不在村里有丧事或[不净](/topic/不净)的事发生时举行。在巫师家中挂“[命桥](/topic/命桥)”(祈祷长寿的布)的家庭七夕日到巫师家中祈祷子孙长命百岁,在寺刹的七星堂供佛,祈盼子孙长寿好运。
[[Chilseok](/topic/TheSeventhoftheSeventhMonth)](/topic/Chilseok)gosa is a ritual held in homes to mark Chilseok Day, the sev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Also called chilseokje (Seventh Evening ritual) or chilseongje (ritual for Seven Stars), this ritual is an annual seasonal ceremony held to pray for the health and longevity of the family’s offspring. It is observed either on the morning or evening of Chilseok Day, or the evening before, with a simple hand-rubbing (bison) rite to worship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or Okwangsangje (Pure August Jade Emperor). The ritual takes place in the backyard by the sauce jar terrace, a location considered the cleanest place in the home and thereby the most suitable place to offer devotion to Chilseong. Altars are sometimes set up in the form of a rock (chilseongdol), or a pile of red clay (chilseongdan). Many of the ritual’s procedures are performed in sets of seven, in association with Chilseok or Chilseong: seven spoons inserted in the bowl of steamed rice (me) on the ritual table; offering seven bows and seven cups of ritual wine; burning seven sheets of prayer text (soji); and steaming white rice cake in a steamer (siru) with seven holes.

Sacrificial foods generally comprise steamed rice and sea mustard soup, which is related to the longevity of children.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rice enshrined inside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 pouch, the sacred entity for the Goddess of Childbearing, is used to make steamed rice on Chilseok Day. Since rice is an important sacrificial food for this occasion, during the fall harvest each year, some rice is set aside for Chilseok. Other offerings include plain white rice cake (baekseolgi), made with clear water and rice powder, and cooked vegetables. Flour pancakes are also offered in some regions. In some cases fish and seafood are considered taboo. Taboos are more strictly observed compared to other household rituals: The ritual is not held in the case of impurities, including a death in the village. If the family keeps a “life bridge (myeongdari), ” or longevity prayer cloth, hung at their shaman’s shrine, they visit the shaman on Chilseok Day to pray for the longevity of the children, and offer prayers at the Chilseong shrine at Buddhist temples as well.
[[Chilseok](/topic/laséptimanochedelséptimomes)](/topic/Chilseok)gosa es un ritual que se realiza en cada hogar para marcar el día de Chilseok, el 7 de julio del calendario lunar.

Su nombre alterna por los de chilseokje o chilseongje. En la mayoría de los casos, el ritual se celebra de manera regular para rezar por la salud y longevidad de los hijos y nietos. El chilseokgosa se lleva a cabo en la mañana o la noche del día de Chilseok, o en la noche anterior, con un rito sencillo llamado bison en el que la gente reza frotándose las manos para venerar al dios de las siete estrellas,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o el Emperador Augusto de Jade, conocido como Okwangsangje. El ritual tiene lugar en el patio, al lado de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de barro para salsas, un espacio que está considerado como el lugar más limpio en el hogar o el sitio más adecuado para elevar plegarias a Chilseon. Los altares se instalan a veces en frente de una roca llamada chilseongdol o un montículo de arcilla roja llamada chilseongdan. La mayor parte de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e ejecutan en asociación con Chilseok o Chilseong: siete cucharas insertadas en el bol de arroz cocido al vapor llamado me, que se pone sobre la mesa ritual; ofrecimiento de reverencia siete veces y siete copas del vino ritual; quema de siete hojas del texto de oraciones, que se denomina soji; y el pastel de arroz blanco en una vaporera llamada siru con siete agujeros.

La comida sacrificial comprende generalmente el arroz cocido al vapor y sopa de algas, que se relaciona con la longevidad de niños. En la provincia de Chungcheongnam-do, el arroz colocado en el interior de la bolsa de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la entidad sagrada de la diosa del parto, se utiliza para hacer un pastel de arroz en el día de Chilseok. Como el arroz es el alimento sacrificial más importante para esta ocasión, se aparta un poco de arroz para Chilseok cada año durante la cosecha. A los alimentos sacrificiales se les incluyen pastel blanco de arroz llamado baekseolgi, hecho con el agua fresca y harina de arroz y vegetales cocidos. Los panqueques hechos con harina de trigo son también ofrecidos en algunas regiones. En algunos casos, el pescado y mariscos son considerados como tabúes. Estos tabúes son más estrictos que los de rituales privados que se realizan en los hogares. El chilseokgosa no se efectúa en el caso de impurezas, incluyendo una muerte que ocurra en la aldea. Si una familia tiene el myeongdari que significa “puente de la vida del niño” colgado en el santuario del chamán y quiere llevar a cabo el chilseokgosa, ellos visitan al chamán en el día de Chilseok para rezar por la longevidad de sus niños, y elevan sus plegarias en el santuario de Chilseong que se encuentra en el templo budista.
[[Chilseok](/topic/laséptimanochedelséptimomes)](/topic/Chilseok)gosa es un ritual que se realiza en cada hogar para marcar el día de Chilseok, el 7 de julio del calendario lunar.

Su nombre alterna por los de chilseokje o chilseongje. En la mayoría de los casos, el ritual se celebra de manera regular para rezar por la salud y longevidad de los hijos y nietos. El chilseokgosa se lleva a cabo en la mañana o la noche del día de Chilseok, o en la noche anterior, con un rito sencillo llamado bison en el que la gente reza frotándose las manos para venerar al dios de las siete estrellas,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o el Emperador Augusto de Jade, conocido como Okwangsangje. El ritual tiene lugar en el patio, al lado de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de barro para salsas, un espacio que está considerado como el lugar más limpio en el hogar o el sitio más adecuado para elevar plegarias a Chilseon. Los altares se instalan a veces en frente de una roca llamada chilseongdol o un montículo de arcilla roja llamada chilseongdan. La mayor parte de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e ejecutan en asociación con Chilseok o Chilseong: siete cucharas insertadas en el bol de arroz cocido al vapor llamado me, que se pone sobre la mesa ritual; ofrecimiento de reverencia siete veces y siete copas del vino ritual; quema de siete hojas del texto de oraciones, que se denomina soji; y el pastel de arroz blanco en una vaporera llamada siru con siete agujeros.

La comida sacrificial comprende generalmente el arroz cocido al vapor y sopa de algas, que se relaciona con la longevidad de niños. En la provincia de Chungcheongnam-do, el arroz colocado en el interior de la bolsa de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la entidad sagrada de la diosa del parto, se utiliza para hacer un pastel de arroz en el día de Chilseok. Como el arroz es el alimento sacrificial más importante para esta ocasión, se aparta un poco de arroz para Chilseok cada año durante la cosecha. A los alimentos sacrificiales se les incluyen pastel blanco de arroz llamado baekseolgi, hecho con el agua fresca y harina de arroz y vegetales cocidos. Los panqueques hechos con harina de trigo son también ofrecidos en algunas regiones. En algunos casos, el pescado y mariscos son considerados como tabúes. Estos tabúes son más estrictos que los de rituales privados que se realizan en los hogares. El chilseokgosa no se efectúa en el caso de impurezas, incluyendo una muerte que ocurra en la aldea. Si una familia tiene el myeongdari que significa “puente de la vida del niño” colgado en el santuario del chamán y quiere llevar a cabo el chilseokgosa, ellos visitan al chamán en el día de Chilseok para rezar por la longevidad de sus niños, y elevan sus plegarias en el santuario de Chilseong que se encuentra en el templo budista.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