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산동리남근석

한국무속신앙사전
순창산동리남근석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에 있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4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에 있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4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이영배
정의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에 있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4호’로 지정되었다.
정의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에 있는 남근석. 1979년 12월 27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4호’로 지정되었다.
Seongseok is a rock shaped like a sex organ, which, as a symbol of human productity, serves as an object of worship in praying for fertility or prosperity.

Such rocks are categorized into male organ rocks (namgeunseok) and female organ rocks (yeogeunseok). The male rocks are carved and erected in the belief that women who have been unable to conceive can bear a son by holding a ritual at the rock. They were also objects of folk worship to pray for a good harvest through the symbolic congress between the male organ-shaped rock and the land, viewed as female.

In villages with a male organ rock, women set up tents around the rock to pray, or offered sacrificial foods and prayed for a son on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Some familes were able to conceive a son simply by moving to the village. In villages with strong yin energy according to traditional geomancy, male organ rocks were erected to supplement the yang energy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birth rate of sons.

When a pair of male and female organ rocks was erected side by side, the male rock was called sutmireuk and the female ammireuk, referring to the pair as Mireuk, or the future Buddha Maitreya, which in Korean folk religion is worshipped as a deity related to childbearing and prosperity. It was believed that calamities would result if one made fun of the rocks, or planted crops too close to the rocks out of greed, or if a funeral bier went directly past them. Fishermen hung their first catch on the rocks to pray for safety at sea.

Female organ rocks are worshipped by throwing rocks into the hole or inserting a phallic wood-carving, to pray for a child or prosperity. Beliefs related to sexual organ-shaped rocks are based on the worship of human sexual activity or organs to pray for fertility and prosperity.
象征人类生育能力的原始象征物,祈求多产和丰饶的民间信仰对象。

“性石”通常将形态上与男性生殖器相似的叫做“男根石”,将与女性生殖器相似的叫做“女根石”。男根石大部分是因相信子孙珍贵,或不孕的女性进行祭祀祈玉童子便能得到儿子这一说法而建成。巨大的男性生殖器模样的男根石,与被认为是女性的土地通过象征性的“交合”,成为祈求丰收的民间信仰对象。

在有男根石的村庄里,祈求生子的女人们还在周边搭建窝棚虔诚祈祷,或在阴历[正月十五](/topic/正月十五)的晚上准备食物,放在男根石前祈子。据说没有儿子的人即便只是搬到该村庄里生活就可得子。此外,风水学上还在阴气重的村庄前竖起男根石增强阳气,以提高男孩的出生率。

男根石和女根石并排存在时,村民们将男根石称为“雄弥勒”,将女根石称为“雌弥勒”,将这些石头称之为“弥勒”。若对雌雄石指手画脚,或因贪心而在石头附近播种作物,将遭受灾殃,灵车若不从其下方经过,也定会发生变故。在村庄前海捉鱼的渔夫们为了防止海难事故,还将初次捉到的鱼挂在这块石头上。

在有女根石的情形里,会在女根石的洞中扔进石头,或用树木削成男根模样插进去,由此来祈子或祈求丰收。这种对性石的信仰,源自人类通过对性行为或生殖器的崇拜来祈求丰饶和多产的心愿。
내용인류의 생산 능력을 표상하는 원초적인 상징물로서 다산과 풍요를 비는 민간신앙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제작 연대를 1500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는 산동리 남근석은 석조각 1기로 되어 있다.

팔덕면 소재지 남쪽의 ‘팔왕터’라는 [마을](/topic/마을) 앞에 남근석이 세워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를 ‘미륵’이라고도 한다. 제작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크기는 높이 200㎝, 지름 150㎝이다.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조각된 이 남근석은 남성의 성기가 충분히 발기되어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아랫부분에 [연꽃무늬](/topic/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옛날에 이곳에서 아들을 원하는 부녀자들이 주변에 움막을 치고 치성을 드리기도 하고,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밤에 음식을 장만하여 그 앞에 차려 놓고 아들 낳기를 빌었다고 한다. 아들을 두지 못한 사람은 이 마을에 [이사](/topic/이사)하여 사는 것만으로도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1500년대에 한 청상과부가 두 미륵(남근석)을 [치마](/topic/치마)폭에 싸 [가지](/topic/가지)고 오다가 하도 무거워서 하나는 ‘미륵쟁이(창덕리)’ 남근석이 있는 곳에 내려놓고 하나만 이곳 팔왕터로 가지고 왔다고 한다.

팔왕(八旺)마을은 [풍수](/topic/풍수)학으로 볼 때 여자가 누워 있는 형상이라고 한다. 마을의 공동[우물](/topic/우물)인 인정샘(人情井)은 여체의 여근 부근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에 따라 마을에 음기가강하여 여아 출생률이 높아 후대가 끊기는 집이 많았으나 마을 앞에 남근석을 세워 양기를 북돋우자 사내아이 출생률이 높아져 후대가 끊긴 집이 없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타 마을 사람들이 ‘좆바위동네’라고 하는 것이 좋지 않고 보기에도 흉하다고 하여 남근석을 넘어뜨렸다가 우물물이 [황토](/topic/황토)색으로 변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남근석은 자손이 귀하거나 불임증이 있는 여자들이 옥동자 낳기를 기도하는 제를 지내면 사내아이를 보게 된다는 속설을 믿고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남성의 커다란 성기모양의 남근석은 여성으로 생각되는 땅과의 상징적 ‘교합’을 이룸으로써 풍작을 비는 민간신앙의 대상이다. 다시 말해 [식물](/topic/식물)을 자라게 하는 토지와 태양의 힘, [동물](/topic/동물)을 번식케 하는 힘, 나아가 인간 집단의 지속을 보장하는 인간 번식의 힘을 표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성에너지로 쉽게 인식됨으로써 매우 자연스럽게 남근석, 즉 성기 숭배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산동리남근석의 경우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조각되고 하단부에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는 점은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 현재는 이 남근석 주변에 철제 울타리를 세워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순창문화유산탐구 2 (전북전통문화연구소, 순창문화원, 2000)
아름다운 순창의 문화재 (순창문화원, 2005)
Seongseok se refiere a una roca en forma de órganos genitales, símbolo de la reproducción humana, que sirve como un objeto deveneración para aquellos que quieran tener hijos o pedir por la prosperidad.

Tales rocas son categorizadas en las siguientes formas: rocas con forma fálica llamadas namgeunseok y rocas con forma de órgano sexual femenino llamadas yeogeunseok. Las rocas fálicas son talladas y erigidas con la creencia de que las mujeres infértiles pueden concebir a un hijo mediant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frente la seongseok. Las personas adoran también a las seongseok para rezar por una buena cosecha a través del encuentro simbólico entre la roca con forma de órgano sexual masculino con la tierra que se considera femenina.

En las aldeas donde se encuentran las namgeunsok, las aldeanas levantan tiendas al lado de esa roca fálica y ofrecen la comida sacrificial con el fin de rezar por tener un hijo varón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Se cree que algunas familias pudieron tener un hijo simplemente mudándose a una aldea donde estaba una seongseok. Asimismo, en algunas villas con el fuerte yin, las namgeunseok fueron erigidas para suplementar el yang en un intento de aumentar la tasa de natalidad de hombres según la geomancia tradicional.

Si una namgeunseok y una yeogeunseok son erigidos en paralelo, la roca masculina se llama sutmireuk y la femenina, ammireuk, considerándolos como Mireuk que es Maitreya, buda del futuro. Se cree que las calamidades podrian ser causadas si uno se burla de dichas rocas o planta cultivos demasiado cerca de ellas, o si llevan un ataúd pasando por estas rocas divinas directamente. Por otro lado, los barqueros cuelgan los pescados de primera captura sobre las seongseok para rezar por la seguridad en el mar.

La gente adora a las rocas femeninas tirando las rocas o insertando un objeto fálico de madera en el agujero de ellas para rezar por la prosperidad y fertilidad. Las creencias relacionadas con las rocas en forma de órganos sexuales se basan en la adoración a los órganos genitales y las actividades sexuales de los humanos con el deseo de conseguir la prosperidad y fertilidad.
Seongseok is a rock shaped like a sex organ, which, as a symbol of human productity, serves as an object of worship in praying for fertility or prosperity.

Such rocks are categorized into male organ rocks (namgeunseok) and female organ rocks (yeogeunseok). The male rocks are carved and erected in the belief that women who have been unable to conceive can bear a son by holding a ritual at the rock. They were also objects of folk worship to pray for a good harvest through the symbolic congress between the male organ-shaped rock and the land, viewed as female.

In villages with a male organ rock, women set up tents around the rock to pray, or offered sacrificial foods and prayed for a son on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Some familes were able to conceive a son simply by moving to the village. In villages with strong yin energy according to traditional geomancy, male organ rocks were erected to supplement the yang energy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birth rate of sons.

When a pair of male and female organ rocks was erected side by side, the male rock was called sutmireuk and the female ammireuk, referring to the pair as Mireuk, or the future Buddha Maitreya, which in Korean folk religion is worshipped as a deity related to childbearing and prosperity. It was believed that calamities would result if one made fun of the rocks, or planted crops too close to the rocks out of greed, or if a funeral bier went directly past them. Fishermen hung their first catch on the rocks to pray for safety at sea.

Female organ rocks are worshipped by throwing rocks into the hole or inserting a phallic wood-carving, to pray for a child or prosperity. Beliefs related to sexual organ-shaped rocks are based on the worship of human sexual activity or organs to pray for fertility and prosperity.
象征人类生育能力的原始象征物,祈求多产和丰饶的民间信仰对象。

“性石”通常将形态上与男性生殖器相似的叫做“男根石”,将与女性生殖器相似的叫做“女根石”。男根石大部分是因相信子孙珍贵,或不孕的女性进行祭祀祈玉童子便能得到儿子这一说法而建成。巨大的男性生殖器模样的男根石,与被认为是女性的土地通过象征性的“交合”,成为祈求丰收的民间信仰对象。

在有男根石的村庄里,祈求生子的女人们还在周边搭建窝棚虔诚祈祷,或在阴历[正月十五](/topic/正月十五)的晚上准备食物,放在男根石前祈子。据说没有儿子的人即便只是搬到该村庄里生活就可得子。此外,风水学上还在阴气重的村庄前竖起男根石增强阳气,以提高男孩的出生率。

男根石和女根石并排存在时,村民们将男根石称为“雄弥勒”,将女根石称为“雌弥勒”,将这些石头称之为“弥勒”。若对雌雄石指手画脚,或因贪心而在石头附近播种作物,将遭受灾殃,灵车若不从其下方经过,也定会发生变故。在村庄前海捉鱼的渔夫们为了防止海难事故,还将初次捉到的鱼挂在这块石头上。

在有女根石的情形里,会在女根石的洞中扔进石头,或用树木削成男根模样插进去,由此来祈子或祈求丰收。这种对性石的信仰,源自人类通过对性行为或生殖器的崇拜来祈求丰饶和多产的心愿。
내용인류의 생산 능력을 표상하는 원초적인 상징물로서 다산과 풍요를 비는 민간신앙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제작 연대를 1500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는 산동리 남근석은 석조각 1기로 되어 있다.

팔덕면 소재지 남쪽의 ‘팔왕터’라는 [마을](/topic/마을) 앞에 남근석이 세워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를 ‘미륵’이라고도 한다. 제작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크기는 높이 200㎝, 지름 150㎝이다.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조각된 이 남근석은 남성의 성기가 충분히 발기되어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아랫부분에 [연꽃무늬](/topic/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옛날에 이곳에서 아들을 원하는 부녀자들이 주변에 움막을 치고 치성을 드리기도 하고,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밤에 음식을 장만하여 그 앞에 차려 놓고 아들 낳기를 빌었다고 한다. 아들을 두지 못한 사람은 이 마을에 [이사](/topic/이사)하여 사는 것만으로도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1500년대에 한 청상과부가 두 미륵(남근석)을 [치마](/topic/치마)폭에 싸 [가지](/topic/가지)고 오다가 하도 무거워서 하나는 ‘미륵쟁이(창덕리)’ 남근석이 있는 곳에 내려놓고 하나만 이곳 팔왕터로 가지고 왔다고 한다.

팔왕(八旺)마을은 [풍수](/topic/풍수)학으로 볼 때 여자가 누워 있는 형상이라고 한다. 마을의 공동[우물](/topic/우물)인 인정샘(人情井)은 여체의 여근 부근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에 따라 마을에 음기가강하여 여아 출생률이 높아 후대가 끊기는 집이 많았으나 마을 앞에 남근석을 세워 양기를 북돋우자 사내아이 출생률이 높아져 후대가 끊긴 집이 없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타 마을 사람들이 ‘좆바위동네’라고 하는 것이 좋지 않고 보기에도 흉하다고 하여 남근석을 넘어뜨렸다가 우물물이 [황토](/topic/황토)색으로 변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남근석은 자손이 귀하거나 불임증이 있는 여자들이 옥동자 낳기를 기도하는 제를 지내면 사내아이를 보게 된다는 속설을 믿고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남성의 커다란 성기모양의 남근석은 여성으로 생각되는 땅과의 상징적 ‘교합’을 이룸으로써 풍작을 비는 민간신앙의 대상이다. 다시 말해 [식물](/topic/식물)을 자라게 하는 토지와 태양의 힘, [동물](/topic/동물)을 번식케 하는 힘, 나아가 인간 집단의 지속을 보장하는 인간 번식의 힘을 표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성에너지로 쉽게 인식됨으로써 매우 자연스럽게 남근석, 즉 성기 숭배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산동리남근석의 경우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조각되고 하단부에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는 점은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 현재는 이 남근석 주변에 철제 울타리를 세워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순창문화유산탐구 2 (전북전통문화연구소, 순창문화원, 2000)
아름다운 순창의 문화재 (순창문화원, 2005)
Seongseok se refiere a una roca en forma de órganos genitales, símbolo de la reproducción humana, que sirve como un objeto deveneración para aquellos que quieran tener hijos o pedir por la prosperidad.

Tales rocas son categorizadas en las siguientes formas: rocas con forma fálica llamadas namgeunseok y rocas con forma de órgano sexual femenino llamadas yeogeunseok. Las rocas fálicas son talladas y erigidas con la creencia de que las mujeres infértiles pueden concebir a un hijo mediant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frente la seongseok. Las personas adoran también a las seongseok para rezar por una buena cosecha a través del encuentro simbólico entre la roca con forma de órgano sexual masculino con la tierra que se considera femenina.

En las aldeas donde se encuentran las namgeunsok, las aldeanas levantan tiendas al lado de esa roca fálica y ofrecen la comida sacrificial con el fin de rezar por tener un hijo varón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Se cree que algunas familias pudieron tener un hijo simplemente mudándose a una aldea donde estaba una seongseok. Asimismo, en algunas villas con el fuerte yin, las namgeunseok fueron erigidas para suplementar el yang en un intento de aumentar la tasa de natalidad de hombres según la geomancia tradicional.

Si una namgeunseok y una yeogeunseok son erigidos en paralelo, la roca masculina se llama sutmireuk y la femenina, ammireuk, considerándolos como Mireuk que es Maitreya, buda del futuro. Se cree que las calamidades podrian ser causadas si uno se burla de dichas rocas o planta cultivos demasiado cerca de ellas, o si llevan un ataúd pasando por estas rocas divinas directamente. Por otro lado, los barqueros cuelgan los pescados de primera captura sobre las seongseok para rezar por la seguridad en el mar.

La gente adora a las rocas femeninas tirando las rocas o insertando un objeto fálico de madera en el agujero de ellas para rezar por la prosperidad y fertilidad. Las creencias relacionadas con las rocas en forma de órganos sexuales se basan en la adoración a los órganos genitales y las actividades sexuales de los humanos con el deseo de conseguir la prosperidad y fertilidad.
순창산동리남근석
23829
순창산동리남근석
순창산동리남근석
23829
순창산동리남근석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