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맥이

한국무속신앙사전
수구맥이
[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마을](/topic/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는 특정한 신격을 지칭. 특히 경상도지방에서 전하는 마을 어귀의 거리신을 일컫는다. 수구(水口)를 막고 허(虛)한 방위를 보안하는 신으로 널리 인지되어 있지만 실제로 다양한 기록을 찾아서 보면 수구맥이는 일반적인 용례로 쓰이고 있으며, 널리 거명되고 있는 신격 가운데 하나이다.
definition
[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마을](/topic/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는 특정한 신격을 지칭. 특히 경상도지방에서 전하는 마을 어귀의 거리신을 일컫는다. 수구(水口)를 막고 허(虛)한 방위를 보안하는 신으로 널리 인지되어 있지만 실제로 다양한 기록을 찾아서 보면 수구맥이는 일반적인 용례로 쓰이고 있으며, 널리 거명되고 있는 신격 가운데 하나이다.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마을](/topic/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는 특정한 신격을 지칭. 특히 경상도지방에서 전하는 마을 어귀의 거리신을 일컫는다. 수구(水口)를 막고 허(虛)한 방위를 보안하는 신으로 널리 인지되어 있지만 실제로 다양한 기록을 찾아서 보면 수구맥이는 일반적인 용례로 쓰이고 있으며, 널리 거명되고 있는 신격 가운데 하나이다.
정의[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마을](/topic/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는 특정한 신격을 지칭. 특히 경상도지방에서 전하는 마을 어귀의 거리신을 일컫는다. 수구(水口)를 막고 허(虛)한 방위를 보안하는 신으로 널리 인지되어 있지만 실제로 다양한 기록을 찾아서 보면 수구맥이는 일반적인 용례로 쓰이고 있으며, 널리 거명되고 있는 신격 가운데 하나이다.
이칭수구맥이는 수구멕이, 수구매기, 수구메기, 수구신, 수살맞이, 좌우수살멕이 등으로 달리 지칭하기도 한다.

[농악](/topic/농악)패가 하는 [고사반](/topic/고사반)에서도 수구막이라고 하는 특정한 의례 절차를 구현하기도 한다. 무당들이 하는 [마을](/topic/마을)굿과 농악대가 하는 마을굿에서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며, 이 또한 수구맥이라고 할 수 있다.

수구막이와 수살막이는 전혀 다른 뜻 같지만 거의 동일한 발상으로 행해지고 있어 서로 견줄 필요가 있으며, 함께 비교할 가치가 있다.

수구와 수살은 명칭에서 서로 차이가 난다. 물이 있는 곳에서 이 물의 기운이 강한 것을 막고, 또한 물이 마을의 허한 기운을 보완하기도 하기 때문에 수구와 수살은 거의 같은 의미로 파악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런데 막이와 맞이가 병존하며 용어의 불일치를 보인다. 막이는 방액의 뜻이며, 맞이는 기운을 받아들이는 것이므로 서로 일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이를 따져서 논한다면 막이와 맞이가 서로 상이한 뜻이 아니라 이것이 변형되어 이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수살막이와 수살맞이는 거의 동일한 뜻으로이해된다. 또 수살맞이, 수살맥이, 수구맥이 등이 서로 병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칭수구맥이는 수구멕이, 수구매기, 수구메기, 수구신, 수살맞이, 좌우수살멕이 등으로 달리 지칭하기도 한다.

[농악](/topic/농악)패가 하는 [고사반](/topic/고사반)에서도 수구막이라고 하는 특정한 의례 절차를 구현하기도 한다. 무당들이 하는 [마을](/topic/마을)굿과 농악대가 하는 마을굿에서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며, 이 또한 수구맥이라고 할 수 있다.

수구막이와 수살막이는 전혀 다른 뜻 같지만 거의 동일한 발상으로 행해지고 있어 서로 견줄 필요가 있으며, 함께 비교할 가치가 있다.

수구와 수살은 명칭에서 서로 차이가 난다. 물이 있는 곳에서 이 물의 기운이 강한 것을 막고, 또한 물이 마을의 허한 기운을 보완하기도 하기 때문에 수구와 수살은 거의 같은 의미로 파악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런데 막이와 맞이가 병존하며 용어의 불일치를 보인다. 막이는 방액의 뜻이며, 맞이는 기운을 받아들이는 것이므로 서로 일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이를 따져서 논한다면 막이와 맞이가 서로 상이한 뜻이 아니라 이것이 변형되어 이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수살막이와 수살맞이는 거의 동일한 뜻으로이해된다. 또 수살맞이, 수살맥이, 수구맥이 등이 서로 병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내용수구맥이는 대체로 네 [가지](/topic/가지) 유형을 이루고 있다. 가장 소박한 형태는 [농악](/topic/농악)대가 하는 굿이다. 이는 [고사반](/topic/고사반)의 일환으로 [고사소리](/topic/고사소리)를 하면서 등장한다. 고사소리 가운데 [선소리](/topic/선소리)에서 이러한 용례가 나온다. 고사반의 [앞소리](/topic/앞소리)는 여러 가지 천지조판내력과 액막이, 살풀이, [삼재풀이](/topic/삼재풀이) 등이 엮음소리로 이어[지게](/topic/지게) 된다. 이 소리를 통해 자연적인 재해를 막는 과정에서 [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입각한 소리를 [구연](/topic/구연)하게 된다.

다음은 대표적으로 널리 알려진 고사반 내용이다.


고설 고설 고사로다 천개 우주 하늘이여 지개조축 땅생길제 국태민안 법륜자 시화연풍 돌아들고 이씨한양등극시에 [삼각산](/topic/삼각산) 기봉하고 봉학이 주춤 생겼구나 봉학 눌러 대궐 짓고 대궐 앞에는 육조로다 오영문 하각산을 각도 각읍을 마련할제 왕십리 청룡이요 동구만리가 백호로다 종남산 안산 되고 과천 관악산 화산이 비춰 동작강 수구 막고 한강수 둘러싸니 여천지 무궁이라 원아는 금여차 차일은 사바세계 남선은 다 부주로다 해동은 대한민국 경기는 경성내 삼십칠관 마련하고경상도 접어들어서 칠십이관을 마련하고 전라도 접어들어 오십육관 마련하고 충청도 접어들어 사십삼관을마련하고 강원도로 접어들어 이십칠관 마련하니 이대군례 대군례 이대면례 대면례 이대동중 대동중 건구건명 이댁가족 부모님 거나리고 슬하자손 거나리시고 태평성대로 잘 사실제 몸주대살 없을소냐

고사반의 서두에 천지조판의 내력이 서술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요한 수구막이의 근거가 예시된다.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의 화살이 세기 때문에 이를 막는 구실로 동작강으로수구를 막았다고 되어 있다. 불 기운을 물 기운으로 막은 데서 수구막이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는 전형적인 풍수지리설에 입각한 내용임을 인식하게 한다. 다양한 문면에서 이러한 수구막이가 여러 고사반에 등장한다. 이 역시 풍수지리설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수구맥이의 두 번째 유형은 [마을](/topic/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고 허한 기운을 보하는 것과 일정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유형은 흔히 비보장승을 비롯한 마을의 [비보풍수](/topic/비보풍수)와 같은 것과깊은 연관성을 보인다. 마을의 수구막이가 비보풍수의 하나로 발전하게 되는 것은 도참사상과 풍수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무관하지 않다.

비보풍수설에 입각해 자연적인 기운을 일정하게 방비하고, 서로 융합하고 조화하도록 하는 것이 수구맥이의 기본적인 양상이다. 이러한 형태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장승, 벅수, 사찰, 탑, 절, 연못 등으로 다양하게 널리 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호남지방의 사례로 널리 알려진 비보장승의 사례는 주목을 요구하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사례로 추정되는 전남 장흥군 가지산 보림사(寶林寺) 장생탑비, 전북 익산시 동고도리(東古都里)의 수구막이, 전남 영암군 월출산 기슭의 국장생과 황장생, 전북 남원시 만복사지의 석장승 등은 비보풍수의 산물이다.

조선시대의 사례로 남원시 실상사(實相寺)의 돌벅수, 나주시 운흥사(雲興寺)와 불회사(佛會寺)의 돌벅수, 무안군 법천사(法泉寺)의 돌벅수, 해남군 대흥사(大興寺), 순천시 선암사(仙巖寺)의 목제 호법신장(護法神將)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무속과 불교의 조화에 의해 이루어진 특징을 보여 준다. 마을신앙에서 이를 중시하고 수구맥이를 내세우는 것은 이러한 각도에서 의의가 있다.

수구맥이의 세 번째 유형은 서해안을 중심으로 인천광역시 강화도에 전승되는 ‘수살맞이’라고 하는 독자적인 사례가 있다. ‘수살맞이’는 곶창굿에서 중요하게 간주하는 첫 번째 제차이다. 이 수살맞이의 실제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의 동쪽 어귀에 해당하는 동남쪽의 수살목과 마을의 서쪽 어귀에 해당하는 서남쪽의 수살목에서 진행된다. 수살목은 솟대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중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수살굿은 마을 전체의 수살을 막아내고 마을의 안녕과 개인의 소원을 성취하며 복을 달라고 축원하는 굿으로 용왕을 모시는 제차라고 관념한다.

곶창굿은 동남쪽 수살굿으로 시작한다. 수살목이 세워지는 장소는 외포리의 옛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 정곶(井串)의 ‘곶(串)’에 해당한다. 옛날부터 정포보(井浦堡)의 [제방](/topic/제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새롭게 제방을 쌓았다. 수살맞이는 마을굿에서 매우 긴요한 제차 가운데 하나이다. 이를 실제로 연행하는 지역은 서울굿이나 인근의 마을굿에서 유사한 사례로 발견된다.

나무로 만든 오리 다섯 마리가 올려진 수살목이 뿌리째 세워진다. 이 제차는 전통적으로 당주만신이 맡아서 진행하며 [무복](/topic/무복)으로 청[치마](/topic/치마)에 홍[철릭](/topic/철릭)을 입고 꽃갓을 썼다. 굿의 거리마다 무복을 입은 만신들이 함께 참여한다.

수살굿은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해의 일진에 맞추어 보통 7시에서 9시 사이에 굿을 하며, 굿 하루 전날 중소임들에 의해 수살목이 세워진다. 그리고 굿을 할 때마다 수살목이 세워지는 위치와 그 위에 놓인 오리의 방향이 다르다. 이것 또한 전통적인 방식이다.

동남쪽 수살굿을 마친 일행들은 해안가 도로를 따라 서남쪽 수살목으로 이동한다. 하소임들이 먼저 상차림을 위해 이동을 한다. 그 뒤를 대동기와 당주만신 [정정애](/topic/정정애)가 차례로 서고, 만신이 [장고](/topic/장고)를 치며 뒤따른다. 악기를 치는 만신, 무구를 든 만신 등 나머지 만신들이 뒤따르고 이어 농악대가 뒤를 잇는다.

나무로 만든 오리 다섯 마리가 오방위를 상징한다고 간주한다. 당주만신이 축원을 하며 상 위에 차려진 음식을 바다로 던지면서 시식을 한다. 오리가 놓여진 나뭇가지마다 소지종이를 맨 다음 가운데 가지에 북어를 얹고 [시루떡](/topic/시루떡) 한 조각과 과일 하나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마을 유지들에게 공수를 주고 축원과 [덕담](/topic/덕담)을 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수살맞이는 바다에 인접하고 있는 굿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 주는 거리이다. 굿을 하는 이유는 안과태평과 제액초복이다. 마을의 주된 신격을 모셔서 명복을 기원하는 의례는 기본적인 의의가 있는 굿거리이다. 바다에서 오는 처음의 신격을 위해 축원과 덕담을 하는 절차라고 볼 수 있다.

수구맥이의 네 번째 유형은 이른바 답십리 도당굿에서 행하는 좌우수살막이이다. 답십리와 진퍼리(현재의 행당동) 살군당이 있는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일대에는 예부터 물이많이 들어와서 수재를 많이 당한 고장이다. 마을굿에서 좌우수살맥이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닭을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으로 바치면서 닭의 머리가 나간 방향이 수살맥이를 한 것으로 간주하는 특별한 의례를 행한다. 수살맥이는 답십리도당굿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굿거리임을 알 수 있다.
基于地理风水论在村口锁住水口的某一神祇。

“水口神”既指村口的路神,又指阻挡水气较盛之物并补充虚气的神。与水口神相关的祭仪中,最朴素的当属由农乐队进行的[巫祭](/topic/巫祭)。农乐队通过有关锁水口的歌词,表达人们要抵御自然灾害的心愿。此外,水口神祭仪的形式还包括村庄的风水[补救](/topic/补救)祭仪,如在村口锁住水口并补充虚气的补救[长栍](/topic/长栍)祭等。另外还有沿海地区或水灾频发村庄举行的“恭迎水[煞](/topic/煞)”,“抵挡水煞”等。

水曾是威胁村落安全的危险因素。水口神的主要职能是在遭受水灾的地区抵御自然灾害,基于风水原理,守住村口。因此,村农乐队或村巫祭的巫师举行某种巫祭仪式来防止水灾,这就是水口神仪式。
Sugumaegi, literally meaning, “waterway blocker, ”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deity that provides protection as required by geomancy by blocking the waterway at the village entrance.

The term can refer to a street god that protects the village entrance, or to a deity that keeps forceful water energy under control or supplements energy that is lacking.

Rituals related with this deity include those performed by farmers’ music troupes, with songs that contain prayers for blocking the waterway and the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s; those for the supplementation (bibo) of weak geomantic energy, as in village guardian posts (jangseung); and flood prevention rites like susalmaji or susalmagi, held in coastal regions or villages prone to damage from flooding.

Water was clearly an element that could threaten the peace of a village. Flood victims therefore relied on Sugumaegi and geomantic principles to prevent natural disasters and to protect the village, and rituals were held for this purpose, by farmers’ music troupes or by the shaman who officiates village rituals.
Sugumaegi significa literalmente “bloqueo de la vía acuática”, que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la deidad que proporciona la protección según lo exigido por la geomancia, bloqueando la vía del agua en la entrada de los pueblos.

El nombre “sugumaegi” puede referirse al dios de la calle que protege la entrada de las aldeas, o puede considerarse como una deidad que mantiene la fuerza del agua bajo control y complementa la energía faltante. Uno de los rituales relacionados del sugumaegi es el ritual simple que se oficia por un grupo tradicional de la música de agricultores. En las canciones utilizadas en el ritual, se refleja el deseo de que bloqueen la vía del agua y protegan al pueblo de desastres naturales. Otra forma del sugumaegi se observa en los rituales asociados a los suplementos de la fuerza débil de geomancia como postes guardianes que se llaman jangseung. Asimismo, hay diferentes rituales que tienen por objetivo prevenir inundaciones tales como el susalmaji o el susalmaji, estos rituales se llevan a cabo en las regiones costeras o pueblos más propensos a sufrir daños debido a inundaciones.

En el pasado, el agua era uno de los elementos que podían amenazar la paz en algunas regiones. Por lo tanto, las víctimas de inundaciones contaban con el sugumaegi y otros principales geománticos para prevenir desastres naturales y proteger a la comunidad. Los rituales para tal fin, se realizaban por un grupo tradicional de la música de agricultores o el mismo chamán que oficiaba los rituales del pueblo.
내용수구맥이는 대체로 네 [가지](/topic/가지) 유형을 이루고 있다. 가장 소박한 형태는 [농악](/topic/농악)대가 하는 굿이다. 이는 [고사반](/topic/고사반)의 일환으로 [고사소리](/topic/고사소리)를 하면서 등장한다. 고사소리 가운데 [선소리](/topic/선소리)에서 이러한 용례가 나온다. 고사반의 [앞소리](/topic/앞소리)는 여러 가지 천지조판내력과 액막이, 살풀이, [삼재풀이](/topic/삼재풀이) 등이 엮음소리로 이어[지게](/topic/지게) 된다. 이 소리를 통해 자연적인 재해를 막는 과정에서 [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입각한 소리를 [구연](/topic/구연)하게 된다.

다음은 대표적으로 널리 알려진 고사반 내용이다.


고설 고설 고사로다 천개 우주 하늘이여 지개조축 땅생길제 국태민안 법륜자 시화연풍 돌아들고 이씨한양등극시에 [삼각산](/topic/삼각산) 기봉하고 봉학이 주춤 생겼구나 봉학 눌러 대궐 짓고 대궐 앞에는 육조로다 오영문 하각산을 각도 각읍을 마련할제 왕십리 청룡이요 동구만리가 백호로다 종남산 안산 되고 과천 관악산 화산이 비춰 동작강 수구 막고 한강수 둘러싸니 여천지 무궁이라 원아는 금여차 차일은 사바세계 남선은 다 부주로다 해동은 대한민국 경기는 경성내 삼십칠관 마련하고경상도 접어들어서 칠십이관을 마련하고 전라도 접어들어 오십육관 마련하고 충청도 접어들어 사십삼관을마련하고 강원도로 접어들어 이십칠관 마련하니 이대군례 대군례 이대면례 대면례 이대동중 대동중 건구건명 이댁가족 부모님 거나리고 슬하자손 거나리시고 태평성대로 잘 사실제 몸주대살 없을소냐

고사반의 서두에 천지조판의 내력이 서술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요한 수구막이의 근거가 예시된다.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의 화살이 세기 때문에 이를 막는 구실로 동작강으로수구를 막았다고 되어 있다. 불 기운을 물 기운으로 막은 데서 수구막이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는 전형적인 풍수지리설에 입각한 내용임을 인식하게 한다. 다양한 문면에서 이러한 수구막이가 여러 고사반에 등장한다. 이 역시 풍수지리설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수구맥이의 두 번째 유형은 [마을](/topic/마을) 어귀에서 수구를 막고 허한 기운을 보하는 것과 일정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유형은 흔히 비보장승을 비롯한 마을의 [비보풍수](/topic/비보풍수)와 같은 것과깊은 연관성을 보인다. 마을의 수구막이가 비보풍수의 하나로 발전하게 되는 것은 도참사상과 풍수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무관하지 않다.

비보풍수설에 입각해 자연적인 기운을 일정하게 방비하고, 서로 융합하고 조화하도록 하는 것이 수구맥이의 기본적인 양상이다. 이러한 형태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장승, 벅수, 사찰, 탑, 절, 연못 등으로 다양하게 널리 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호남지방의 사례로 널리 알려진 비보장승의 사례는 주목을 요구하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사례로 추정되는 전남 장흥군 가지산 보림사(寶林寺) 장생탑비, 전북 익산시 동고도리(東古都里)의 수구막이, 전남 영암군 월출산 기슭의 국장생과 황장생, 전북 남원시 만복사지의 석장승 등은 비보풍수의 산물이다.

조선시대의 사례로 남원시 실상사(實相寺)의 돌벅수, 나주시 운흥사(雲興寺)와 불회사(佛會寺)의 돌벅수, 무안군 법천사(法泉寺)의 돌벅수, 해남군 대흥사(大興寺), 순천시 선암사(仙巖寺)의 목제 호법신장(護法神將)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무속과 불교의 조화에 의해 이루어진 특징을 보여 준다. 마을신앙에서 이를 중시하고 수구맥이를 내세우는 것은 이러한 각도에서 의의가 있다.

수구맥이의 세 번째 유형은 서해안을 중심으로 인천광역시 강화도에 전승되는 ‘수살맞이’라고 하는 독자적인 사례가 있다. ‘수살맞이’는 곶창굿에서 중요하게 간주하는 첫 번째 제차이다. 이 수살맞이의 실제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의 동쪽 어귀에 해당하는 동남쪽의 수살목과 마을의 서쪽 어귀에 해당하는 서남쪽의 수살목에서 진행된다. 수살목은 솟대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중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수살굿은 마을 전체의 수살을 막아내고 마을의 안녕과 개인의 소원을 성취하며 복을 달라고 축원하는 굿으로 용왕을 모시는 제차라고 관념한다.

곶창굿은 동남쪽 수살굿으로 시작한다. 수살목이 세워지는 장소는 외포리의 옛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 정곶(井串)의 ‘곶(串)’에 해당한다. 옛날부터 정포보(井浦堡)의 [제방](/topic/제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새롭게 제방을 쌓았다. 수살맞이는 마을굿에서 매우 긴요한 제차 가운데 하나이다. 이를 실제로 연행하는 지역은 서울굿이나 인근의 마을굿에서 유사한 사례로 발견된다.

나무로 만든 오리 다섯 마리가 올려진 수살목이 뿌리째 세워진다. 이 제차는 전통적으로 당주만신이 맡아서 진행하며 [무복](/topic/무복)으로 청[치마](/topic/치마)에 홍[철릭](/topic/철릭)을 입고 꽃갓을 썼다. 굿의 거리마다 무복을 입은 만신들이 함께 참여한다.

수살굿은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해의 일진에 맞추어 보통 7시에서 9시 사이에 굿을 하며, 굿 하루 전날 중소임들에 의해 수살목이 세워진다. 그리고 굿을 할 때마다 수살목이 세워지는 위치와 그 위에 놓인 오리의 방향이 다르다. 이것 또한 전통적인 방식이다.

동남쪽 수살굿을 마친 일행들은 해안가 도로를 따라 서남쪽 수살목으로 이동한다. 하소임들이 먼저 상차림을 위해 이동을 한다. 그 뒤를 대동기와 당주만신 [정정애](/topic/정정애)가 차례로 서고, 만신이 [장고](/topic/장고)를 치며 뒤따른다. 악기를 치는 만신, 무구를 든 만신 등 나머지 만신들이 뒤따르고 이어 농악대가 뒤를 잇는다.

나무로 만든 오리 다섯 마리가 오방위를 상징한다고 간주한다. 당주만신이 축원을 하며 상 위에 차려진 음식을 바다로 던지면서 시식을 한다. 오리가 놓여진 나뭇가지마다 소지종이를 맨 다음 가운데 가지에 북어를 얹고 [시루떡](/topic/시루떡) 한 조각과 과일 하나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마을 유지들에게 공수를 주고 축원과 [덕담](/topic/덕담)을 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수살맞이는 바다에 인접하고 있는 굿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 주는 거리이다. 굿을 하는 이유는 안과태평과 제액초복이다. 마을의 주된 신격을 모셔서 명복을 기원하는 의례는 기본적인 의의가 있는 굿거리이다. 바다에서 오는 처음의 신격을 위해 축원과 덕담을 하는 절차라고 볼 수 있다.

수구맥이의 네 번째 유형은 이른바 답십리 도당굿에서 행하는 좌우수살막이이다. 답십리와 진퍼리(현재의 행당동) 살군당이 있는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일대에는 예부터 물이많이 들어와서 수재를 많이 당한 고장이다. 마을굿에서 좌우수살맥이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닭을 [대수대명](/topic/대수대명)으로 바치면서 닭의 머리가 나간 방향이 수살맥이를 한 것으로 간주하는 특별한 의례를 행한다. 수살맥이는 답십리도당굿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굿거리임을 알 수 있다.
基于地理风水论在村口锁住水口的某一神祇。

“水口神”既指村口的路神,又指阻挡水气较盛之物并补充虚气的神。与水口神相关的祭仪中,最朴素的当属由农乐队进行的[巫祭](/topic/巫祭)。农乐队通过有关锁水口的歌词,表达人们要抵御自然灾害的心愿。此外,水口神祭仪的形式还包括村庄的风水[补救](/topic/补救)祭仪,如在村口锁住水口并补充虚气的补救[长栍](/topic/长栍)祭等。另外还有沿海地区或水灾频发村庄举行的“恭迎水[煞](/topic/煞)”,“抵挡水煞”等。

水曾是威胁村落安全的危险因素。水口神的主要职能是在遭受水灾的地区抵御自然灾害,基于风水原理,守住村口。因此,村农乐队或村巫祭的巫师举行某种巫祭仪式来防止水灾,这就是水口神仪式。
Sugumaegi, literally meaning, “waterway blocker, ”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deity that provides protection as required by geomancy by blocking the waterway at the village entrance.

The term can refer to a street god that protects the village entrance, or to a deity that keeps forceful water energy under control or supplements energy that is lacking.

Rituals related with this deity include those performed by farmers’ music troupes, with songs that contain prayers for blocking the waterway and the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s; those for the supplementation (bibo) of weak geomantic energy, as in village guardian posts (jangseung); and flood prevention rites like susalmaji or susalmagi, held in coastal regions or villages prone to damage from flooding.

Water was clearly an element that could threaten the peace of a village. Flood victims therefore relied on Sugumaegi and geomantic principles to prevent natural disasters and to protect the village, and rituals were held for this purpose, by farmers’ music troupes or by the shaman who officiates village rituals.
Sugumaegi significa literalmente “bloqueo de la vía acuática”, que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la deidad que proporciona la protección según lo exigido por la geomancia, bloqueando la vía del agua en la entrada de los pueblos.

El nombre “sugumaegi” puede referirse al dios de la calle que protege la entrada de las aldeas, o puede considerarse como una deidad que mantiene la fuerza del agua bajo control y complementa la energía faltante. Uno de los rituales relacionados del sugumaegi es el ritual simple que se oficia por un grupo tradicional de la música de agricultores. En las canciones utilizadas en el ritual, se refleja el deseo de que bloqueen la vía del agua y protegan al pueblo de desastres naturales. Otra forma del sugumaegi se observa en los rituales asociados a los suplementos de la fuerza débil de geomancia como postes guardianes que se llaman jangseung. Asimismo, hay diferentes rituales que tienen por objetivo prevenir inundaciones tales como el susalmaji o el susalmaji, estos rituales se llevan a cabo en las regiones costeras o pueblos más propensos a sufrir daños debido a inundaciones.

En el pasado, el agua era uno de los elementos que podían amenazar la paz en algunas regiones. Por lo tanto, las víctimas de inundaciones contaban con el sugumaegi y otros principales geománticos para prevenir desastres naturales y proteger a la comunidad. Los rituales para tal fin, se realizaban por un grupo tradicional de la música de agricultores o el mismo chamán que oficiaba los rituales del pueblo.
의의[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해치는 요소 가운데 물은 위협의 요소였다. 수재를 당하는 쪽에서 이를 막고 자연재해를 일정한 [풍수](/topic/풍수)원리에 입각해 마을 어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수구맥이의 요체이다. 이것에 입각해 마을의 [농악](/topic/농악)대나 마을굿의 무당은 일정한 굿거리를 마련하여 이를 막는 일을 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수구맥이이고 지역에 따라 다른명칭으로 발전하였다. 수구막이와 수살맞이는 이러한 양대 유형으로 중요한 전통이 된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노력이 이러한 전통적 사유를 낳았으며, 신앙적으로 승화하였다.
참고문헌장승 (이종철, 열화당, 1988)
소박한 토박이들의 [잔치](/topic/잔치) (황루시, 서울당굿, 열화당, 1989)
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경상북도 상 (국립민속박물관, 2004)
강화도 외포리 곶창굿의 현지연구 (김용국,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강화도 외포리 곶창굿 (김헌선, 2010년 간행 예정)
의의[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해치는 요소 가운데 물은 위협의 요소였다. 수재를 당하는 쪽에서 이를 막고 자연재해를 일정한 [풍수](/topic/풍수)원리에 입각해 마을 어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수구맥이의 요체이다. 이것에 입각해 마을의 [농악](/topic/농악)대나 마을굿의 무당은 일정한 굿거리를 마련하여 이를 막는 일을 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수구맥이이고 지역에 따라 다른명칭으로 발전하였다. 수구막이와 수살맞이는 이러한 양대 유형으로 중요한 전통이 된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노력이 이러한 전통적 사유를 낳았으며, 신앙적으로 승화하였다.
참고문헌장승 (이종철, 열화당, 1988)
소박한 토박이들의 [잔치](/topic/잔치) (황루시, 서울당굿, 열화당, 1989)
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경상북도 상 (국립민속박물관, 2004)
강화도 외포리 곶창굿의 현지연구 (김용국,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강화도 외포리 곶창굿 (김헌선, 2010년 간행 예정)
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거제도 수산마을 남해안별신굿 현장조사2004
청주대교육 석사학위논문남해안별신굿과 동해안별신굿에 나타난 춤의 형태적 의미 비교이보영2006
종곡리 수구막이
20309
종곡리 수구막이
오리목 수구
22471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5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4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3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2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0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의 제단
22469
오리목 수구의 제단
오리목 수구의 제단
22468
오리목 수구의 제단
오리목 수구의 제단
22467
오리목 수구의 제단
종곡리 수구막이
20309
종곡리 수구막이
오리목 수구
22471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5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4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3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2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
22470
오리목 수구
오리목 수구의 제단
22469
오리목 수구의 제단
오리목 수구의 제단
22468
오리목 수구의 제단
오리목 수구의 제단
22467
오리목 수구의 제단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