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오구굿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오구굿
죽은 이를 좋은 곳으로 천도하는 동해안 세습무의 굿. 이를 ‘오구굿’ 또는 ‘오귀굿’, ‘오구[자리](/topic/자리)’ 등으로 부르고, 세습무들은 은어로 ‘밤쩌[夜祭]’라고 부르기도 한다.
definition
죽은 이를 좋은 곳으로 천도하는 동해안 세습무의 굿. 이를 ‘오구굿’ 또는 ‘오귀굿’, ‘오구[자리](/topic/자리)’ 등으로 부르고, 세습무들은 은어로 ‘밤쩌[夜祭]’라고 부르기도 한다.
mp3Cnt
247
wkorname
김형근
정의죽은 이를 좋은 곳으로 천도하는 동해안 세습무의 굿. 이를 ‘오구굿’ 또는 ‘오귀굿’, ‘오구[자리](/topic/자리)’ 등으로 부르고, 세습무들은 은어로 ‘밤쩌[夜祭]’라고 부르기도 한다.
Ogugut is a shamanic ritual to pray for the rebirth of the dead in the heavens by appeasing the deceased and guiding its spirit to the underworld.

Variations of the term include ogu, ogwi, ogwisaenamgut and keungut. The ritual is observed mostly in the south coast regions of Gyeongsang Province and along the east coast.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of rituals for appeasing the spirit of the dead and praying for the well-being of the living, are jinogigut, the underworld entry ritual from the Seoul area and the grievance cleansing ritual ssitgimgut from South Jeolla Province.

Southern Coast Ogugut is practiced today in Geoje and Tongyeo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ritual procedure comprises the retrieval of the spirit of the dead and its return to the village; enshrining the dead in the home and inviting various deities to entertain them; cleansing the spirit of the dead and related impurities to guide the dead to the underworld; and finally, hosting the miscellaneous gods and spirits.

Eastern Coast Ogugut is practiced in regions along the east coast, from the northern tip of Goseong, Gangwon Province, all the way down to Bu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Prior to the main ritual, a cleansing ritual is held, arranging a “place for the dead, ” which symbolizes the coffin. Then the spirit of the deceased person is invited to meet with that of a deceased ancestor. This is followed by a prayer wishing for the dead to go to a good place, then the ascension of the spirit, which is carried out by lifting the paper symbol of the deceased soul using the paper flower jihwa, signifying the rebirth of the deceased. The ritual ends with a farewell to the departing spirit, praying for its safe journey to the heavens.

Sanogugut, or underworld entry ritual for the living, is held to pray for the good fortunes in life and entry to the heavens in death for one who is still alive, a practice observed by hereditary shamans (seseummu) of the eastern coast regions.
告慰死者魂灵,祈祷其被荐度去极乐世界的巫俗祭仪。

“恶鬼巫祭”亦称“ogu”,“ogwi”,“ogwisaenamgut”,“keungut”等,主要流传于庆尚道南海岸地区及东海岸一带。其和首尔的镇恶鬼巫祭及全罗道的洗灵巫祭一样,都属于死灵祭,目的是为亡者洗刷冤屈,驱走不净,祈祷生者平安。

“南海岸恶鬼巫祭”流传于庆尚南道巨济,统营等地。其步骤大体如下:捞魂,带其回村;将亡灵供奉在家,并招来众神进行娱神;洗净亡者的灵魂,为其驱走不净,然后荐度;最后招待杂神。南海岸恶鬼巫祭的目的为将亡者荐度到阴曹,驱走不净。

“东海岸恶鬼巫祭”在从江原道高城到釜山的东海岸地区流传。巫祭之前,先安置象征亡者棺材的“亡者灵位”,进行不净巫祭。然后请回亡者和先祖的灵魂,使二者相见。之后祈愿亡者去一个好的地方,进行“献魂”,即上提象征亡魂的纸花,这含有亡者重生的寓意。最后和亡者告别,祈愿其去极乐世界。

和东海岸恶鬼巫祭一样,“生灵祭”也主要由东海岸世袭巫传承,后者的目的是祈祷生者富贵长寿及死后进入极乐世界。
Ogugut se refiere a un ritual para apaciguar al espíritu del muerto y guiarlo al inframundo para que renazca en el otro mundo.

El ritual tiene varios nombres como “ogu”, “ogwi”, “ogwisaenambut” y “keungut”. El ritual se observa mayormente en las regiones de la costa sureña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 y a lo largo de la costa este. El ogugut pertenece a la misma categoría de rituales para apacigu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y rezar por el bienestar de los vivos como el jinogigut en Seúl y el ssitgimgut en la provincia de Jeolla-do.

El “ogugut de la costa del sur” se practica en la ciudad de Geoje y en la de Tongyeong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do.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incluyen la recuperación del espíritu del fallecido y su retorno a la aldea; enclaustramiento del alma del muerto en su casa e invitación de varias deidades para entretenerlos; limpieza del espíritu del difunto e impurezas para guiarlo al submundo; y finalmente recepción de los dioses y espíritus menores.

El “ogugut de la costa del este” se lleva a cabo en las regiones que se encuentran a lo largo de la costa oriental desde el extremo septentrional de la ciudad de Goseong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hasta la ciudad de Busan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nam-do. Antes del ritual principal, un ritual de limpieza se realiza para preparar un “lugar del muerto” que simboliza el ataúd. Y luego, el espíritu del fallecido es invitado a reunirse con sus ancestros, seguido por una oración para que el muerto vaya a un buen lugar. El próximo paso es “ascenso del espíritu” que se realiza levantando la flor de papal llamada jihwa que simboliza el alma del fallecido, lo cual significa el renacimiento del difunto. El ritual se cierre con un evento de despedidas al espíritu ofreciendo oraciones por su viaje seguro al cielo.

El sonogugut significa “ritual para guiar a los espíritus al submundo para los vivos” y tiene lugar para rezar tanto por la buena suerte en la vida cotidiana de un ser vivo como por la entrada segura al inframundo cuando él muere en el futuro.El sonogugut aún se practica por chamanes hereditarios en las regiones de la costa del este.
내용동해안은 강원도 고성부터 부산까지 이르는 한반도의 동쪽 해안이다. 전통적으로는 이 굿의 형식과 내용이 강원도(북부형), 경상북도(중부형), 경상남도(남부형)로 독자적이었다. 그래서 오구굿 또한 강원도 북부•중부•남부의 독자성들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 연행 집단의 소멸로 중부형이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동해안오구굿은 보통 2일간 벌어진다. 굿의 시작이 저녁 무렵부터 시작하여 밤을 새워서, 이튿날 오전 중에 마친다. 굿의 시작 전에는 굿 준비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진다. 중요한 준비는 종이를 이용한 굿당의 장식과 무구 제작이다. 동해안오구굿에서는 여러 지화(紙花)가 만들어진다. 이를 세습무 용어로 ‘꽃일’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이 지화는 오구굿에만 사용하던 것으로, 오늘날에는 [별신굿](/topic/별신굿)에서도 사용한다. 이 꽃 중에서 가장 만들기 힘들고 오구굿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꽃은 다부살이꽃이다. 지화 외에도 [초롱등](/topic/초롱등), 등, [허개등](/topic/허개등), 손대, 용선, 넋전, [위패](/topic/위패), 지전, 번(시왕•불보살), 지옥단 등을 만든다. 오구굿에서 또한 무구 중 중요한 것은 망자의 혼이 잠시 동안 의지하는 공간으로 관념되는 [신태집](/topic/신태집)과 망자의 신체를 상징하는 망자[자리](/topic/자리)(오구자리)이다.

오늘날 보편적으로 동해안에서 행해지는 오구굿은 집안굿(조상비나리와 대내림), 부정굿, 골매기굿, 청혼, 문굿(문답설법), (오는)[뱃노래](/topic/뱃노래)굿, 조상굿, 초망자굿, 놋동우굿, 발원굿, 시무염불, 넋올림, 넋대잡기, 판염불(지옥가염불), 꽃노래, (가는)뱃노래•(초롱)등노래•등노래굿, 길갈림, 소진•[거리굿](/topic/거리굿)의 순서로 진행된다. 저녁 무렵부터 시작된 굿은 발원굿과 시무염불로 밤을 새우게 된다. 아침 무렵에 넋올림 또는 넋대잡기를 하기 전에는 세존굿을 짧게 하기도 하고 하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극락다리놓기라고 하는 축원굿 성격의 굿거리가 삽입되기도 한다.

보통의 굿은 가설 굿당을 차려 놓고 한다. 경북을 중심으로 하는 동해안 중부에서는 바닷가에 차리기도 한다. 강원도의 동해안 북부에서는 집 안에 차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가설 굿당에서 본격적인 굿을 하기 전에 집 안에서는 집안굿을 한다. 그러나 음악을 연주하여 서서 하는 선굿이 아니라 무녀 혼자서 징 정도만 [가지](/topic/가지)고 앉은굿으로 한다. 집에는 망자가 생전에 누웠던 방에 [망자상](/topic/망자상)을 차려 놓고 무녀가 부정을 가시는 가운데 [가신](/topic/가신)들에게 오늘의 행사를 알리는 목적으로 연행된다. 그리고 넋대를 잡아 대내림을 한다. 넋대를 잡는 이는 가족 중의 한 사람이다. 무당이 잡으면 연기를 한다고 오해하기 때문에 가족들에게 잡게 한다. 넋대를 잡아 망자의 넋이 실리면 죽었을 때의 상황, 가족들에게 못다한 말 등의 넋두리를 하게 된다.

본격적인 굿당에서의 굿은 부정굿으로부터 시작해 길갈림까지 진행되고, 굿당 밖에서 소진을 하는 것으로 굿이 끝난다. 부정굿에 들어가기 전에는 중요한 무구인 망자자리를 만든다. 망자자리는 오구자리•베석자리•영둑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전라도와 남해안에서 동일하게 존재하는 무구이다. 망자자리는 망자의 관을 상징한다. 그래서 “오귀자리에 [입관](/topic/입관)한다( 눕힌다)”라는 말을 쓰기도 하고, 이 망자자리 만드는 과정을 망자눕히기 또는 자리눕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망자자리는 때때로 굿 중에 무녀의 손에 들려 [무악](/topic/무악)에 맞춰 춤추어진다. 그리고 굿 후반부 넋일굼이라는 제차에서 풀어지고, 넋전을 일으킬 때를 기다린다.

부정굿은 굿의 처음에 등장하여 부정한 것들을 제하는 굿거리이다. 골매기굿은 오구굿, 별신굿에서는 굿의 초반부에 각각 반드시 존재하는 굿거리이다. 골매기는 [마을](/topic/마을) 신격이고, 마을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해 알아야 하고, 허락해야 하는 입장으로 관념하여 골매기굿을 한다. 청혼은 망자의 혼을 청하는 절차이다. 집이 아닌 곳에서 죽음을 맞이한 경우에는 사망 장소에 가서 혼을 모셔온다. 이때 바다에서 돌아가신 분의 경우는 넋건지기가 진행되고, 사망 장소가 먼 경우에는 그 방향을 향하여 청해 오기도 한다. 청해진 넋을 모셔 먼저 집으로 가 이별을 하고 굿당으로 모시고 온다.

문굿(문답설법)에서 중요한 연행은 남자 [악사](/topic/악사)인 화랭이가 묻고 무녀가 답하는 문답설법이다. 질문의 내용은 하늘의 유래, 사재법, 땅의 유래와 함께 굿당을 장식한 지물(紙物)들의 의미이다. 망자에게 왜 지금 이 의례를 진행하는지 그 의미를 알라는 의미에서 연행한다고 설명한다. 오는뱃노래굿은 종이로 만든 [반야용선](/topic/반야용선)에 [길베](/topic/길베)를 느리워서 잡았다 놓았다 하며 무가를 부른다. 무가 내용은 굿의 말미에 연행하는 (가는)뱃노래굿과 같다. 다만 오는뱃노래굿에서 망자가 굿을 받으러 오시라는 축원 (가는)뱃노래굿에서 반대로 극락으로 가라는 축원이 각각 붙게 된다. 조상굿에서는 먼저 돌아가신 집안의 조상들을 청하여 망자와 만남의 시간을 맞이한다. 망자도 이제 이 굿을 받으면 또 한 분의 조상이라는 신격으로 자리 잡게 된다. 초망자굿은 망자를 위한 굿거리로, 동해안오구굿에서 가장 중요한 굿거리 중 하나이다. 연행의 시간과 방식이 까다로워 큰무녀여야 이 굿을 연행할 수 있다. 망자의 넋두리인 시설이 이 굿거리에서 유난히 중요하고, 가족들을 실컷 울려서 그 슬픔들을 풀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놋동우굿은 군웅장수굿으로, 이때 무거운 [놋동이](/topic/놋동이)를 입에 물게 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왜 오구굿에 군웅장수굿이 존재하는가는 의문이다. 다만 연행자들은 망자와 가족들의 제액을 소멸하는 기능, 전쟁과 군복무를 통해 죽은 영혼들과의 연관 등으로 그 존재 의미를 밝히고 있다. 발원굿은 망자가 좋은 곳으로 가시라는 발원을 담는 굿거리로, 전통적으로 초망자와 비슷하게 연행되었다. 이것이 광복 이후를 거치면서 경남 동해안으로부터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무가가 유입된다. 그래서 오늘날 동해안오구굿의 발원굿은 바리데기무가를 푸는 굿거리로 연행된다. 시무염불은 화랭이가 장구를 두드리며 부르는 무가로, 저승사자에 대한 무가가 불교 [염불](/topic/염불)과 함께 불려진다. 넋올림은 망자 자리를 풀어헤치고 망자의 넋을 상징하는 종이를 지[화로](/topic/화로) 일으키는 행위를 한다. 죽음에서 재탄생하였다는 시각적인 표현이다. 이를 가족들의 머리 위로 올려 주어 좋은 곳으로 가게 될 수 있음을 표현한다.

넋대잡기는 마지막으로 이승과 이별하기 위하여 망자의 넋을 불러내는 굿거리이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와 가족과의 이별을 한다. 판염불(지옥가염불)은 화랭이가 불교의 불경을 앉아서 읊고 난 다음에 일어서서 무녀들과 지옥가염불을 불러 지옥을 면해 가라는 축원을 한다. 꽃노래•(가는)뱃노래•(초롱)등노래와 등노래굿 등을 통해 굿당에 쓰였던 여러 무구의 의미를 노래하고 망자의 극락을 축원한다. 길갈림에서는 길베라고 불리는 흰 [무명](/topic/무명)천을 길게 드리우고 신태집, 영전 등을 올려 닦는 시늉을 하면서 천도의 축원을 한다. 소진•거리굿에서는 굿에 쓰였던 지물들을 태우고, 음식들을 조금씩 떼어 잡귀와 잡신들을 풀어먹인다.

앞에서 설명한 제차는 오늘날에는 보편화되었지만 전통적으로는 동해안의 중부인 삼척, 울진, 영덕, 포항을 중심으로 연행되던 형식이었다. 중부와 달리 북부에서는 세존굿이 중요한 오구굿의 한 제차로 연행되고, 혼개미(혼갬이)라는 특징적인 제차가 있었다. 혼개미는 강신무들의 영실과 같이 망자의 영혼을 무녀의 몸에 실어 가족들과 넋두리하는 제차이다. 오늘날 혼개미라는 제차는 없어졌다. 신을 받지 않은 세습무가 영을 싣는다는 것이 의문이지만 북부에서의 신앙민은 이 제차를 굉장히 기다리던 제차였다고 한다. 이에 비해 앞에서 설명한 중부에서는 초망자굿이 가장 중요한 굿거리였다. 초망자굿은 이른바 망자굿으로, 대부분의 무가가 망자 입장이 된 1인칭으로 불려진다. 이를 ‘시설’이라고 부른다. 이 초망자굿을 통해 충분히 가족을 울려주어야 잘된 굿이라고 관념한다. 울산, 부산 남부 오구굿의 특징은 단연 불경의 차용이다. 따라서 동해안오구굿의 지역적 특징을 살려 말하면 동해안의 북부는 혼개미굿, 중부는 시설굿, 남부는 염불굿이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무속의 연구 (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동해안 오귀굿 구조의 현장론적 연구 (김형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동해안 화랭이 김석출 오구굿 무가 사설집 (김헌선, 월인, 2006)
동해안 굿의 전승과 변화 (윤동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동해안오구굿
64391
동해안오구굿
동해안오구굿
64390
동해안오구굿
동해안오구굿
64389
동해안오구굿
동해안오구굿
64388
동해안오구굿
동해안오구굿
64387
동해안오구굿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마흔여덟고개를 넘어감 01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또다시 딸을 낳음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딸 여섯을 낳는다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의 의심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와 만남 02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와 만남 01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와 내기를 함 02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와 내기를 함 01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와 꽃밭 꽃구경 감 02
한국민속신앙사전동해안오구굿 바리데기 동수자와 꽃밭 꽃구경 감 01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