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동당산

한국무속신앙사전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서 동제를 지내는 제당. 1995년 5월 12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서 동제를 지내는 제당. 1995년 5월 12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이균옥
정의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서 동제를 지내는 제당. 1995년 5월 12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정의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서 동제를 지내는 제당. 1995년 5월 12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내용당굿은 1970년대 이전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새벽에 행하였으나 새[마을](/topic/마을) 운동이 시작되면서부터 없어졌으며, 당나무와 돌로 조산한 당만 남아 있다.

동제를 지낼 때 [제관](/topic/제관)(祭官)의 선출 방법은 섣달 그믐날 당(堂)에서 당굿(農樂)을 쳐서 당신(堂神)의 대내림을 받아 [신대](/topic/신대)가 가는 대로 따라가서 멈추는 집의 호주가 제관이 되며, 만약 제관의 책무를 거부하면 벌을 받는다고 믿었다. 과거에 신대가 멈춘 집에서 제관을 하지 않겠다고 하자 대가 쓰러지면서 소의 등을 쳐서 소가 죽은 적이 있다고 한다. 제관은 한 명이고 제수(祭需)는 마을 공동 부담으로 마련한다. 제관은 제사를 지내는 날 마을 앞 개울에서 목욕재계하고 혼자서 제사를 올렸다.
참고문헌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경상북도 (국립민속박물관, 2004)
내용당굿은 1970년대 이전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새벽에 행하였으나 새[마을](/topic/마을) 운동이 시작되면서부터 없어졌으며, 당나무와 돌로 조산한 당만 남아 있다.

동제를 지낼 때 [제관](/topic/제관)(祭官)의 선출 방법은 섣달 그믐날 당(堂)에서 당굿(農樂)을 쳐서 당신(堂神)의 대내림을 받아 [신대](/topic/신대)가 가는 대로 따라가서 멈추는 집의 호주가 제관이 되며, 만약 제관의 책무를 거부하면 벌을 받는다고 믿었다. 과거에 신대가 멈춘 집에서 제관을 하지 않겠다고 하자 대가 쓰러지면서 소의 등을 쳐서 소가 죽은 적이 있다고 한다. 제관은 한 명이고 제수(祭需)는 마을 공동 부담으로 마련한다. 제관은 제사를 지내는 날 마을 앞 개울에서 목욕재계하고 혼자서 제사를 올렸다.
참고문헌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경상북도 (국립민속박물관, 2004)
역사용수동은 과거에는 달성군 공산면이었으나 1981년에 대구광역시 동구로 편입된 지역으로 팔공산 동화사로 가는 왼쪽 골짜기에 자리 잡은 [마을](/topic/마을)이다. 이 마을에는 배씨와 구씨가 들어와서 살았다고 한다. 당산은 이때 들어온 배씨와 구씨가 마을 어귀에 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제사를 지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용수동이란 명칭은 마을 어귀 당나무 옆 개울에 용소(龍沼)가 있어 그곳에 용이 살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이 마을길이 팔공산의 부인사, 동화사, 파계사 등 사찰로 올라가는 중심 도로였기 때문에 용수동은 인근 마을보다 일찍 형성되었다.
역사용수동은 과거에는 달성군 공산면이었으나 1981년에 대구광역시 동구로 편입된 지역으로 팔공산 동화사로 가는 왼쪽 골짜기에 자리 잡은 [마을](/topic/마을)이다. 이 마을에는 배씨와 구씨가 들어와서 살았다고 한다. 당산은 이때 들어온 배씨와 구씨가 마을 어귀에 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제사를 지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용수동이란 명칭은 마을 어귀 당나무 옆 개울에 용소(龍沼)가 있어 그곳에 용이 살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이 마을길이 팔공산의 부인사, 동화사, 파계사 등 사찰로 올라가는 중심 도로였기 때문에 용수동은 인근 마을보다 일찍 형성되었다.
형태여러 그루의 당나무와 돌무더기 형태로 조산(造山)한 제당이다. 돌무더기 앞에는 큰 돌로 된 [제상](/topic/제상)이 있다.
형태여러 그루의 당나무와 돌무더기 형태로 조산(造山)한 제당이다. 돌무더기 앞에는 큰 돌로 된 [제상](/topic/제상)이 있다.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집문당제주도 무속 연구현용준1986
제주도 세시풍속2001
국립민속박물관한국세시풍속사전 정월편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