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발심지

한국무속신앙사전
새발심지
서울굿에 쓰는 무구로 종이를 새의 발처럼 밑끝이 세 갈래[지게](/topic/지게) 꼬아 세워놓게 만든 심지. ‘새발’과 ‘심지’의 합성어이다. 세 개의 발(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세발’, 새가 다리를 딛고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서 ‘새발’이라고도 한다. 이 때문에 새발심지 또는 세발심지로 혼용된다. 굿에서 새발심지는 서울 진오귀굿의  무가를 부르는 말미의 [말미상](/topic/말미상)과 [진적](/topic/진적)굿에서 불사거리의 [불사상](/topic/불사상), 본향바라기의 [본향상](/topic/본향상) 등에서 쓰인다.
definition
서울굿에 쓰는 무구로 종이를 새의 발처럼 밑끝이 세 갈래[지게](/topic/지게) 꼬아 세워놓게 만든 심지. ‘새발’과 ‘심지’의 합성어이다. 세 개의 발(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세발’, 새가 다리를 딛고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서 ‘새발’이라고도 한다. 이 때문에 새발심지 또는 세발심지로 혼용된다. 굿에서 새발심지는 서울 진오귀굿의 무가를 부르는 말미의 [말미상](/topic/말미상)과 [진적](/topic/진적)굿에서 불사거리의 [불사상](/topic/불사상), 본향바라기의 [본향상](/topic/본향상) 등에서 쓰인다.
mp3Cnt
0
wkorname
김형근
정의서울굿에 쓰는 무구로 종이를 새의 발처럼 밑끝이 세 갈래[지게](/topic/지게) 꼬아 세워놓게 만든 심지. ‘새발’과 ‘심지’의 합성어이다. 세 개의 발(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세발’, 새가 다리를 딛고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서 ‘새발’이라고도 한다. 이 때문에 새발심지 또는 세발심지로 혼용된다. 굿에서 새발심지는 서울 진오귀굿의 무가를 부르는 말미의 [말미상](/topic/말미상)과 [진적](/topic/진적)굿에서 불사거리의 [불사상](/topic/불사상), 본향바라기의 [본향상](/topic/본향상) 등에서 쓰인다.
내용직사각형의 [한지](/topic/한지)를 긴 끈처럼 둘둘 말고 손가락을 각각 끼워서 세 개의 원형, 이른바 새발[鳥足]로 받침을 삼고 심지를 만든다. 새발심지는 무구인 한편 과거 전기가 없던 시절에 사용한 등잔의 심지이다.

서울굿에서 새발심지는 일단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하는 굿인 [진적](/topic/진적)굿 중 불사거리나 본향바라기에서 볼 수 있다. 심지에 기름을 먹여 해당 굿거리가 시작되면 불을 붙이고 청배를 시작한다. 즉, 이때 새발심지는 신의 강림을 기원하거나 신이 오는 길을 밝힌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망자를 천도하는 서울굿 중 진오귀굿에서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 무가를 부르는 거리를 말미라고 하며 이때 [말미상](/topic/말미상)을 차린다. 1인용 좌탁 정도 크기의 상에 쌀을 소복이 놓고 그 위를 한지로 덮는다. 한지 위에는 사탕류인 옥춘당 등으로 받침을 놓고 그 위에 새발심지를 기름에 적셔 올려둔다. 이때 새발심지는 진적굿의 새발심지와 달리 굿거리 초반부에 밝히지 않는다. 무가가 끝나고 이어 불교의 사방찬, 도량찬 또는 장엄염불의 일부 등을 붙여 망자의 왕생극락을 기원할 때 조무가 이 새발심지에 불을 붙인다. 무가가 끝날 무렵이면 새발심지도 다 타게 되는데 이때 심지와 한지를 치워 소복이 쌓여 있는 쌀을 유심히 들여다본다. 이것은 망자가 무엇으로 환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행위이다. 꽃, 새[鳥]의 발자국, 나비 형상의 흔적들이 남는데 무당들은 이런 흔적들을 가족들에게 설명하며 “망자가 말미 잘 받고 좋은 곳으로 가셨다”는 등의 말을 전한다. 이때의 새발심지는 망자의 극락행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서울 외에 황해도굿이나 충청도의 앉은굿에서도 이 새발심지가 쓰인다.
참고문헌무·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서울굿의 이해 (최진아, 민속원, 2007)
서울진오기굿 연구 (변지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大阪屋號書店朝鮮巫俗の硏究 (下)赤松智城·秋葉隆1938
養德社朝鮮巫俗の現地硏究秋葉隆1950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무속·불교·유교를 통하여 본 식생활문화 및 의식절차에 대한 연구김상보1974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한국무속학회무화연구 (1)김태연2001
한국종교교육학회수기작불의 교육적 이해-「법화경」을 중심으로이지중2001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신화 연구양종승·최진아2002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홍태한2003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2005
한국무속학회무속의례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이수자2007
새발심지
64652
새발심지
새발심지
64651
새발심지
새발심지
64650
새발심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