솟대

한국무속신앙사전
솟대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topic/기둥) 위에 앉혀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믿는 상징물.
definition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topic/기둥) 위에 앉혀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믿는 상징물.
mp3Cnt
0
wkorname
이영식
정의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topic/기둥) 위에 앉혀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믿는 상징물.
정의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topic/기둥) 위에 앉혀 [마을](/topic/마을) 수호신으로 믿는 상징물.
참조[솟대제](/topic/솟대제)
참고문헌영서지방의 장승·솟대신앙 (박호원, 강원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88)
경북지역 골맥이·[수구맥이](/topic/수구맥이) 신앙의 민속학적 고찰 (이종철·천진기, 경북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0)
솟대 (이필영·송봉화, 대원사, 1990)
[마을](/topic/마을)지킴이의 유형과 실제 (장정룡, 조선땅 마을지킴이, 열화당, 1993)
삼척지방의 마을신앙 (장정룡, 삼척문화원, 1993)
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부산의 당제 (김승찬·황경숙, 부산광역시, 2005)
한국의 마을신앙 상·하 (국립민속박물관, 2007)
Sotdae, or sacred pole, is made of wood or stone with a bird carving on top and erected next to village guardian posts (jangseung) or at village entrances.

Alternate terms include susaldae (village guardian pole), oritdae (duck pole) jimdae (mast), hwaju (celebratory pole), and jinttobaegi (long pole). Sotdae served as a divine pole (sindae) that bridges the heavens and the earth, guarding the village against fire, drought, diseases, and other calamities. With the spread of geomancy and the increase of social mobility through state exams, these poles were divided into jimdae, which were erected as “masts” for villages geographically shaped like a launched boat, and as hwajutdae, for celebrating success at the state exam.

Sacred poles are erected generally at village entrances, either on their own or next to village guardian posts (jangseung) or pagodas. The bird on the pole is made out of tree branches shaped like the letter Y, or ones bent at a right angle for the bird’s head and neck, nailed to a Y-shaped branch or a flat wooden board. Sometimes the bird is carved in a realistic rendering. The bird is usually referred to as a duck but in some regions also as a wild goose, seagull, ibis, heron, magpie or crow. Waterfowl like ducks serve as a means of praying for abundant water for farming and guarding against fires. In some villages, sacred poles are erected anew each year around the time village rituals are held, while in some villages new ones are erected when existing ones are broken or on leap years.
顶端有使用木头或石头做成的鸟坐于其上,立于[长栍](/topic/长栍)旁边或村庄入口等处,用木头或石头做成的柱子。

指代“索苏竿”(音)的名称有华柱,水杀竿, 镇竿, 鸟竿,镇道百伊等,十分多样。索苏竿原本是在长杆端处雕刻鸭子模样置于顶端,起到连接天与地的[神竿](/topic/神竿)作用,防止火灾,干旱,疾病等灾害,作为村庄的守护神而受供奉。后来, 随着风水地理思想和科举及第带来的立身扬名风潮广泛扩散,逐渐分别发展为作为行舟形局(船只起航的样子)村庄中的桅杆而立的“镇竿”和为纪念及第的“华柱竿”。通常立于村庄入口处。有单独竖立的情况,也有与长栍一起,或者在有长栍和塔的地方一同竖立的情况。索苏竿上的鸟以Y 字形树枝做成,或将ㄱ字形的树枝作为头和脖子,在Y 字形树枝或宽阔的模板上连接而制成。此外,也完全按照鸟的真实模样雕刻制作。虽然大部分村庄将鸟叫做鸭子,但根据不同地区,也称之为大雁,海鸥,朱鹮,苍鹭,喜鹊,乌鸦等。放置鸭子等水鸟是为了祈求庄稼所需的[雨水](/topic/雨水),阻挡火灾。有些村庄的索苏竿于每年村庄祭祀之际制作,也有些村庄因索苏竿碎裂重新制作或有闰年时重新立起。
참조[솟대제](/topic/솟대제)
참고문헌영서지방의 장승·솟대신앙 (박호원, 강원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88)
경북지역 골맥이·[수구맥이](/topic/수구맥이) 신앙의 민속학적 고찰 (이종철·천진기, 경북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0)
솟대 (이필영·송봉화, 대원사, 1990)
[마을](/topic/마을)지킴이의 유형과 실제 (장정룡, 조선땅 마을지킴이, 열화당, 1993)
삼척지방의 마을신앙 (장정룡, 삼척문화원, 1993)
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부산의 당제 (김승찬·황경숙, 부산광역시, 2005)
한국의 마을신앙 상·하 (국립민속박물관, 2007)
Sotdae, or sacred pole, is made of wood or stone with a bird carving on top and erected next to village guardian posts (jangseung) or at village entrances.

Alternate terms include susaldae (village guardian pole), oritdae (duck pole) jimdae (mast), hwaju (celebratory pole), and jinttobaegi (long pole). Sotdae served as a divine pole (sindae) that bridges the heavens and the earth, guarding the village against fire, drought, diseases, and other calamities. With the spread of geomancy and the increase of social mobility through state exams, these poles were divided into jimdae, which were erected as “masts” for villages geographically shaped like a launched boat, and as hwajutdae, for celebrating success at the state exam.

Sacred poles are erected generally at village entrances, either on their own or next to village guardian posts (jangseung) or pagodas. The bird on the pole is made out of tree branches shaped like the letter Y, or ones bent at a right angle for the bird’s head and neck, nailed to a Y-shaped branch or a flat wooden board. Sometimes the bird is carved in a realistic rendering. The bird is usually referred to as a duck but in some regions also as a wild goose, seagull, ibis, heron, magpie or crow. Waterfowl like ducks serve as a means of praying for abundant water for farming and guarding against fires. In some villages, sacred poles are erected anew each year around the time village rituals are held, while in some villages new ones are erected when existing ones are broken or on leap years.
顶端有使用木头或石头做成的鸟坐于其上,立于[长栍](/topic/长栍)旁边或村庄入口等处,用木头或石头做成的柱子。

指代“索苏竿”(音)的名称有华柱,水杀竿, 镇竿, 鸟竿,镇道百伊等,十分多样。索苏竿原本是在长杆端处雕刻鸭子模样置于顶端,起到连接天与地的[神竿](/topic/神竿)作用,防止火灾,干旱,疾病等灾害,作为村庄的守护神而受供奉。后来, 随着风水地理思想和科举及第带来的立身扬名风潮广泛扩散,逐渐分别发展为作为行舟形局(船只起航的样子)村庄中的桅杆而立的“镇竿”和为纪念及第的“华柱竿”。通常立于村庄入口处。有单独竖立的情况,也有与长栍一起,或者在有长栍和塔的地方一同竖立的情况。索苏竿上的鸟以Y 字形树枝做成,或将ㄱ字形的树枝作为头和脖子,在Y 字形树枝或宽阔的模板上连接而制成。此外,也完全按照鸟的真实模样雕刻制作。虽然大部分村庄将鸟叫做鸭子,但根据不同地区,也称之为大雁,海鸥,朱鹮,苍鹭,喜鹊,乌鸦等。放置鸭子等水鸟是为了祈求庄稼所需的[雨水](/topic/雨水),阻挡火灾。有些村庄的索苏竿于每年村庄祭祀之际制作,也有些村庄因索苏竿碎裂重新制作或有闰年时重新立起。
___Sotdae___, que significa “poste sagrado” se refiere a los postes de piedra o madera en cuya parte superior se encuentra tallada un ave, también de piedra o madera, erigidos al lado de los postes guardianes del pueblo, jangseong o en la entrada de los pueblos.

Hay varios nombres alternativos para el ___sotdae___, incluyendo hwaju, susaldae, jimdae, oritdae y jinttobaegi. ___Sotdae___ servía como poste divino que conectaba el cielo con la tierra y era la deidad guardiana de pueblos contra incendios, sequía, enfermedades y otras calamidades. Con la difusión de la geomancia y el aumento de la movilidad social mediante exámenes estatales, estos postes fueron divididos en los siguientes tipos: el tipo de jimdae, que fue erigido como “mástiles” en las aldeas que tenían la forma geográfica de barco botado; y el tipo de hwajutdae, que fue erigido para celebrar el éxito en los exámenes del Estado. Los ___sotdae___ son erigidos generalmente en la entrada de los pueblos, en algunos casos, se hallan en solitario, pero están acompañados también de imágenes de jangseong o pagodas. Las aves en el tope de estos postes pueden elaborarse con ramas con forma de letra “Y”, o ramas dobladas en ángulo recto para representar la cabeza y cuello del ave, clavadas en la rama con forma de letra “Y” o en una tabla de madera. Asimismo, las aves que se colocan en la parte superior de ___sotdae___ son tallados de estilo realista, que son generalmente patos aunque se reconocen como gansos salvajes, gaviotas, gansos, ibises con cresta, garzas, urracas o cuervos según regiones. Al ser aves migratorias acuáticas, ellas poseen un importante simbolismo como guardianes de los aldeanos que se dedican a la cosecha, ya que a ellas se les reconoce la habilidad para controlar la lluvia, sobrevivir a inundaciones y proteger al pueblo de incendios. En algunas aldeas, los ___sotdae___ son erigidos cada año durante la realización del ritual comunitario, mientras en otras aldeas, unos nuevos son erigidos en los años bisiestos, o en el caso de que se hayan roto algunos.
내용솟대는 원래 긴 장대 끝에 오리 모양을 깎아 올려놓아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간 역할을 하여 화재, 가뭄, 질병 등 재앙을 막아 주는 [마을](/topic/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셨다. 그러던 것이 [풍수](/topic/풍수)지리사상과 과거 급제에 의한 입신양명의 풍조가 널리 확산됨에 행주행 지세에 돛대로서 세우는 짐대와 급제를 기념하기 위한 화주대로 분화 발전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리하여 오리는 물새가 갖는 다양한 종교적 상징성으로 인해 농사에 필요한 물을 가져와 주고, 화마로부터 지켜주며, 홍수를 막아주는 등 마을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마을지킴이로 존재한다.

솟대의 새는 한 [기둥](/topic/기둥)에 세 [마리](/topic/마리)를 얹은 경우, 새의 머리 방향이 세 마리 모두 북쪽을 향하고 있는가 하면 각기 동쪽, 남쪽, 북쪽을 향하기도 한다. 새가 두 마리인 경우 서로마주보고 있는가 하면 같은 곳을 응시하기도 한다. 또 한 마리씩 여러 개의 솟대가 있는 경우 같은 곳을 보고 있는가 하면 한 마리는 마을 안, 다른 한 마리는 마을 밖을 ㅋ각 향하고 있기도 한다. 이렇듯 새의 모양이나 머리 방향, 마리 수에 따라서도 다양한 의미가 [부연](/topic/부연)된다.

솟대를 가리키는 호칭은 솔대, 소주, 소줏대, 화주, 표줏대, 수살대, 수살이, 짐대, 진대, 오릿대, 당산, 철융, 거오기, 별신대, 진또백이, 화재뱅이, 용대, 대[장군](/topic/장군)영감님, 거릿대, [골맥이](/topic/골맥이)성황, 파촉대, 성주기둥, 설대, 추악대, 화줏대 등 다양하다.

마을 제의가 대부분 유교식으로 진행되듯이 [솟대제](/topic/솟대제)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솟대제만 지내는 곳이 있는가 하면 [국사](/topic/국사)성황제→솟대제([골맥이제](/topic/골맥이제)) 순서로 제의를 진행하거나 산신제를 지낸 뒤 당산나무제·탑석제(조탑제)·[짐대제](/topic/짐대제)(솟대제)를 함께 진행하는 곳도 있다. 그리고 산신제→[고[사당](/topic/사당)](/topic/고사당)제(골맥이할배·할매제)→거릿대장군제(솟대제)→[장승제](/topic/장승제)→[용왕제](/topic/용왕제)([[우물](/topic/우물)제](/topic/우물제)) 또는 골맥이할배·할매제→용왕제→거릿대장군제(솟대제) 순서로 제의가 진행되기도 한다.
___Sotdae___, que significa “poste sagrado” se refiere a los postes de piedra o madera en cuya parte superior se encuentra tallada un ave, también de piedra o madera, erigidos al lado de los postes guardianes del pueblo, jangseong o en la entrada de los pueblos.

Hay varios nombres alternativos para el ___sotdae___, incluyendo hwaju, susaldae, jimdae, oritdae y jinttobaegi. ___Sotdae___ servía como poste divino que conectaba el cielo con la tierra y era la deidad guardiana de pueblos contra incendios, sequía, enfermedades y otras calamidades. Con la difusión de la geomancia y el aumento de la movilidad social mediante exámenes estatales, estos postes fueron divididos en los siguientes tipos: el tipo de jimdae, que fue erigido como “mástiles” en las aldeas que tenían la forma geográfica de barco botado; y el tipo de hwajutdae, que fue erigido para celebrar el éxito en los exámenes del Estado. Los ___sotdae___ son erigidos generalmente en la entrada de los pueblos, en algunos casos, se hallan en solitario, pero están acompañados también de imágenes de jangseong o pagodas. Las aves en el tope de estos postes pueden elaborarse con ramas con forma de letra “Y”, o ramas dobladas en ángulo recto para representar la cabeza y cuello del ave, clavadas en la rama con forma de letra “Y” o en una tabla de madera. Asimismo, las aves que se colocan en la parte superior de ___sotdae___ son tallados de estilo realista, que son generalmente patos aunque se reconocen como gansos salvajes, gaviotas, gansos, ibises con cresta, garzas, urracas o cuervos según regiones. Al ser aves migratorias acuáticas, ellas poseen un importante simbolismo como guardianes de los aldeanos que se dedican a la cosecha, ya que a ellas se les reconoce la habilidad para controlar la lluvia, sobrevivir a inundaciones y proteger al pueblo de incendios. En algunas aldeas, los ___sotdae___ son erigidos cada año durante la realización del ritual comunitario, mientras en otras aldeas, unos nuevos son erigidos en los años bisiestos, o en el caso de que se hayan roto algunos.
내용솟대는 원래 긴 장대 끝에 오리 모양을 깎아 올려놓아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간 역할을 하여 화재, 가뭄, 질병 등 재앙을 막아 주는 [마을](/topic/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셨다. 그러던 것이 [풍수](/topic/풍수)지리사상과 과거 급제에 의한 입신양명의 풍조가 널리 확산됨에 행주행 지세에 돛대로서 세우는 짐대와 급제를 기념하기 위한 화주대로 분화 발전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리하여 오리는 물새가 갖는 다양한 종교적 상징성으로 인해 농사에 필요한 물을 가져와 주고, 화마로부터 지켜주며, 홍수를 막아주는 등 마을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마을지킴이로 존재한다.

솟대의 새는 한 [기둥](/topic/기둥)에 세 [마리](/topic/마리)를 얹은 경우, 새의 머리 방향이 세 마리 모두 북쪽을 향하고 있는가 하면 각기 동쪽, 남쪽, 북쪽을 향하기도 한다. 새가 두 마리인 경우 서로마주보고 있는가 하면 같은 곳을 응시하기도 한다. 또 한 마리씩 여러 개의 솟대가 있는 경우 같은 곳을 보고 있는가 하면 한 마리는 마을 안, 다른 한 마리는 마을 밖을 ㅋ각 향하고 있기도 한다. 이렇듯 새의 모양이나 머리 방향, 마리 수에 따라서도 다양한 의미가 [부연](/topic/부연)된다.

솟대를 가리키는 호칭은 솔대, 소주, 소줏대, 화주, 표줏대, 수살대, 수살이, 짐대, 진대, 오릿대, 당산, 철융, 거오기, 별신대, 진또백이, 화재뱅이, 용대, 대[장군](/topic/장군)영감님, 거릿대, [골맥이](/topic/골맥이)성황, 파촉대, 성주기둥, 설대, 추악대, 화줏대 등 다양하다.

마을 제의가 대부분 유교식으로 진행되듯이 [솟대제](/topic/솟대제)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솟대제만 지내는 곳이 있는가 하면 [국사](/topic/국사)성황제→솟대제([골맥이제](/topic/골맥이제)) 순서로 제의를 진행하거나 산신제를 지낸 뒤 당산나무제·탑석제(조탑제)·[짐대제](/topic/짐대제)(솟대제)를 함께 진행하는 곳도 있다. 그리고 산신제→[고[사당](/topic/사당)](/topic/고사당)제(골맥이할배·할매제)→거릿대장군제(솟대제)→[장승제](/topic/장승제)→[용왕제](/topic/용왕제)([[우물](/topic/우물)제](/topic/우물제)) 또는 골맥이할배·할매제→용왕제→거릿대장군제(솟대제) 순서로 제의가 진행되기도 한다.
형태솟대는 삼한시대의 소도(蘇塗) 유풍으로서 ‘솟아 있는 대’로 인식하기도 한다. 세우는 목적에 따라 세 종류가 있다. 첫 번째 [마을](/topic/마을)의 액막이와 풍농·풍어 등을 기원하여 세우는 일반적인 솟대, 두 번째 [풍수](/topic/풍수)지리상으로 행주형(行舟形)인 마을에 비보(裨補)로서 세운 솟대, 세 번째 급제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솟대인데, 첫 번째와 두 번째가 마을신앙과 긴밀하다.

솟대는 대체로 마을 어귀에 세워진다. 홀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장승과 함께 세워지거나 장승과 탑이 있는 곳에 함께 세워지기도 한다. 솟대의 새 모양은 Y자형 나뭇[가지](/topic/가지)로 만들거나, 기역(ㄱ) 자형 나뭇가지를 머리와 목으로 여겨서 Y 자형 나뭇가지나 넓적한 나무판에 연결하여 만든다. 새 모양을 사실적으로 깎아서 만들기도 한다. 재료로는 보통나무이지만 쇠나돌로 만들기도 한다. 솟대에 올려 있는 새의 숫자는 1~3[마리](/topic/마리)이다.

솟대의 높이는 마을에 따라 다른데, 부산지역 일부 마을의 거릿대는 1~2m인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3m 이상이다. 장승과 함께 세워지는 경우는 장승보다 더 높게 만드는 것이일반적이다. 솟대의 [기둥](/topic/기둥) 굵기는 일정치 않다. 재질은 곧게 뻗은 소나무를 다듬어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마을에 따라 돌기둥, 쇠파이프, 콘크리트 전주(電柱)로 하는 곳도 있다. 새는 오리라고 호칭하는 마을이 대부분이지만 지역에 따라 기러기, 갈매기, 따오기, 왜가리, 까치, 까마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새의 크기는 마을마다 다르며, 동일마을이라도 제작할 때마다 크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솟대의 제작 시기도 마을마다 다르다. 해마다 마을 제의에 즈음하여 제작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솟대가 부러져야 다시 만들거나 윤년이 들 때마다 새로 세우는 곳이 있다. 기둥이 콘크리트인 까닭에 새만 4~5년마다 교체하는 곳도 있다. 조간(鳥竿)이나 새가 모두 쇠로 되어 있어 오랫동안 솟대 제작을 잊고 사는 마을도 있고, 반영구적인 돌로 만든마을도 있다. 솟대를 나무로 새롭게 만드는 마을에서는 제일(祭日) 오전에 준비해 오후에 제작을 마치는 것이 보통이다. 솟대를 새로 제작할 때 나무껍질만 벗겨서 조간으로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어떤 마을에서는 숯가루와 [황토](/topic/황토)를 이용하여 기둥에 나선형으로 문양을 넣어 마치 황룡과 흑룡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을 표현하기도 한다.
형태솟대는 삼한시대의 소도(蘇塗) 유풍으로서 ‘솟아 있는 대’로 인식하기도 한다. 세우는 목적에 따라 세 종류가 있다. 첫 번째 [마을](/topic/마을)의 액막이와 풍농·풍어 등을 기원하여 세우는 일반적인 솟대, 두 번째 [풍수](/topic/풍수)지리상으로 행주형(行舟形)인 마을에 비보(裨補)로서 세운 솟대, 세 번째 급제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솟대인데, 첫 번째와 두 번째가 마을신앙과 긴밀하다.

솟대는 대체로 마을 어귀에 세워진다. 홀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장승과 함께 세워지거나 장승과 탑이 있는 곳에 함께 세워지기도 한다. 솟대의 새 모양은 Y자형 나뭇[가지](/topic/가지)로 만들거나, 기역(ㄱ) 자형 나뭇가지를 머리와 목으로 여겨서 Y 자형 나뭇가지나 넓적한 나무판에 연결하여 만든다. 새 모양을 사실적으로 깎아서 만들기도 한다. 재료로는 보통나무이지만 쇠나돌로 만들기도 한다. 솟대에 올려 있는 새의 숫자는 1~3[마리](/topic/마리)이다.

솟대의 높이는 마을에 따라 다른데, 부산지역 일부 마을의 거릿대는 1~2m인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3m 이상이다. 장승과 함께 세워지는 경우는 장승보다 더 높게 만드는 것이일반적이다. 솟대의 [기둥](/topic/기둥) 굵기는 일정치 않다. 재질은 곧게 뻗은 소나무를 다듬어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마을에 따라 돌기둥, 쇠파이프, 콘크리트 전주(電柱)로 하는 곳도 있다. 새는 오리라고 호칭하는 마을이 대부분이지만 지역에 따라 기러기, 갈매기, 따오기, 왜가리, 까치, 까마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새의 크기는 마을마다 다르며, 동일마을이라도 제작할 때마다 크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솟대의 제작 시기도 마을마다 다르다. 해마다 마을 제의에 즈음하여 제작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솟대가 부러져야 다시 만들거나 윤년이 들 때마다 새로 세우는 곳이 있다. 기둥이 콘크리트인 까닭에 새만 4~5년마다 교체하는 곳도 있다. 조간(鳥竿)이나 새가 모두 쇠로 되어 있어 오랫동안 솟대 제작을 잊고 사는 마을도 있고, 반영구적인 돌로 만든마을도 있다. 솟대를 나무로 새롭게 만드는 마을에서는 제일(祭日) 오전에 준비해 오후에 제작을 마치는 것이 보통이다. 솟대를 새로 제작할 때 나무껍질만 벗겨서 조간으로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어떤 마을에서는 숯가루와 [황토](/topic/황토)를 이용하여 기둥에 나선형으로 문양을 넣어 마치 황룡과 흑룡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을 표현하기도 한다.
지역사례[마을](/topic/마을) 제의를 지내는 곳이라 하더라도 솟대를 신체로 삼는 마을은 흔치 않다. 솟대를 제의 때마다 장승과 함께 새로 만들어 세우더라도 장승의 부속물로 인식하여 솟대를 신체로 삼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동두천시 송내동 아치노리에서는 마을 제의를 수살대[고사](/topic/고사) 또는 ‘수살대감님 모신다’라고 하면서 솟대를 신체로 모시고 있다. 수살대고사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치른다. 150년이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수살대고사는 가뭄이나 화재 같은 재앙을 막고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지낸다고 한다.

솟대는 원래 나무로 만들었으나 쉽게 썩어 몇 년에 한 번씩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자 1997년 무렵에 체신용 전신주를 이용하여 솟대를 설치했다. 전주에 나무와 비슷한 색으로 칠을 하고 꼭대기에다 나무로 만든 새를 올렸다. 새는 밤나무로 만든 기역(ㄱ) 자 모양으로 머리를 만들었으며 그것을 Y 자 모양의 몸통에 꽂아 전주에 볼트로 연결하였다. 보통 4~5년마다 교체되는 이 새는 기러기로 상징되며, 동쪽을 바라보게 세워진다. 새의 몸통에서 양옆으로 뻗은 [가지](/topic/가지) 끝에 약 2m 길이의 왼새끼를 매달아 놓는다.이는 기러기의 발을 의미한다.

제의는 기러기 발을 교체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청년들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지난해에 매달아 놓은 줄과 교체하고 새로 교체한 왼새끼 끝에 화선지를 묶어 둔다. 상차림은 [시루떡](/topic/시루떡) 위에 [통북어](/topic/통북어) 두 [마리](/topic/마리)를 나란히 얹어 놓고 막걸리를 따라 놓는 것이 전부이다. [축문](/topic/축문)은 따로 없으며, [화주](/topic/화주)가 고축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소지는 화주가 참여한 각 가구의소원을 축원하며 올린다. 소지 올리기가 끝나면 상 위에 놓인 북어 두 마리의 머리를 잘라 입에 떡을 물려 입이 하늘로 향하도록 솟대에 묶는다. 묶을 때에는 화선지로 꼬아만든 줄을 이용하여 짐승들이 건들지 못하게 높이 단다.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금진리에서는 국사성황제와 골맥이성황제를 지낸다. 국사성황제는 마을 뒤 굴로봉에 있는 성황당에서 지낸다. 이 제의는 성황당에 있는 기록물들을 종합할 때 1635년경에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진리의 골맥이성황은 솟대를 신체로 한다. 이 솟대를 마을에서는 흔히 골맥이라고 부른다. 마을 어귀에 해당하는 남쪽과 북쪽 두 곳에 있다. 금진초등학교 정문 옆에 있는남쪽의 솟대는 3m 높이의 쇠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Y 자형의 쇠파이프에 쇠로 만들어진 세 마리가 동쪽·서쪽·북쪽을 각각 향한 채 앉아 있다. 북쪽의 솟대는 3m 높이의 나무로 되어 있으며, Y 자형의 나무에 나무로 만들어진 새 세 마리가 동쪽, 서쪽, 북쪽을 각각 향해 앉아 있다. 금진리는 서쪽의 굴로봉이 마을을 감싸고 동쪽으로 동해가 펼쳐져 있다. 솟대가 위치하고 있는 두 곳은 남쪽과 북쪽의 마을 입구이다. 마을 사람들은 솟대가 마을로 들어오는 잡귀를 막아 주는 액막이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제의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과 오월단옷날에 행한다. 시간은 자정을 기해 국사성황제를 지낸 다음 솟대가 있는 두 곳에서 동시에 골맥이성황제를 지낸다. 즉 국사 성황제를 지내는 [제관](/topic/제관)과 골맥이성황제를 지내는 제관을 각각 선발하여 국사성황제를 지낼 때 두 곳의 골맥이성황 제관들은 각각의 [자리](/topic/자리)에서 간단한 음식을 차려 놓고서 대기하고 있다가 국사성황제가 끝났으리라 추측되는 시간(보통 0시 10분쯤)에 동시에 제의를 지낸다. 골맥이성황제를 마치면 솟대 주위에 친 [금줄](/topic/금줄)을 솟대[기둥](/topic/기둥)에 감아 놓는다.

충북 옥천군 동이면 청마리 마티마을에서는 탑신제를 정월대보름날에 지내는데, 조산탑, 솟대, 장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을에서는 솟대를 짐대라고 부르며 장승과 함께윤년이 드는 해 정월대보름 전날에 만들어 세운다. 솟대의 높이는 5m 정도이며 오리를 올릴 때는 머리가 남쪽을 향하게 한다. 장대에 황색과 흑색이 용틀임의 [단청](/topic/단청)을 하는데황색은 황룡을 흑색은 흑룡을 상징한다. 황색은 [황토](/topic/황토)로 흑색은 진흙에 숯가루를 반죽하여 칠한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초에 날을 잡아 산신제와 탑신제 제주를 각각 한 명씩 선출하는데, 선출자 중 나이가 위인 사람이 산신제를 지내고 아래 사람은 탑신제를 주관한다. 산신제는 탑신제에 앞서 산신제 제주로 선정된 부부만 지내고 온다. 원래 탑신제는 정월대보름날 해가 뜨기 전에 징을 세 번 울려 쇳소리로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쫓아내는 것으로 시작하여탑, 솟대, 장승, 샘굿 순서로 이어졌다. 그러나 청마리제신탑이 1976년 12월 21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면서 각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을 위하여 요즘은 오전 9~10시에 제를 올린다.

탑신제는 정월대보름날 새벽에 제주가 탑 꼭대[기와](/topic/기와) 솟대에 소지를 묶는 것으로 시작된다. 제의는 탑 앞에서 먼저 진행되는데, 제주는 집사가 따라준 잔을 [제상](/topic/제상)에 놓고 절을 하고 나서 제상 앞에 앉는다. 집사는 술을 탑에 세 번 나누어 뿌린다. 제주는 다시 잔을 들고 술을 가득 받아 제상에 올려놓고 모두 함께 재배한다. 그리고 주민들과 함께 소지를 올린다. 이후 제주만 [음복](/topic/음복)하고 제상을 든 집사들을 따라 솟대로 이동한다. 제상을 솟대 앞으로 옮기고 탑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를 지낸다. 이때 술만 새 것으로 갈고소지는 올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장승 앞에서 지내는데, 제상을 옮겨 솟대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지낸다. 마을에 천하대[장군](/topic/장군)과 지하대장군이 있지만 제는 천하대장군에만 지낸다. 제가 끝나면 제주가 음복한 후 주민들도 함께 음복한다. 이때 집사들은 [미투리](/topic/미투리)를 만들어 탑과 솟대에 갖다 놓는다. 마티마을에서는 소지만 올릴 뿐 축문은 따로 없다.
지역사례[마을](/topic/마을) 제의를 지내는 곳이라 하더라도 솟대를 신체로 삼는 마을은 흔치 않다. 솟대를 제의 때마다 장승과 함께 새로 만들어 세우더라도 장승의 부속물로 인식하여 솟대를 신체로 삼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 동두천시 송내동 아치노리에서는 마을 제의를 수살대[고사](/topic/고사) 또는 ‘수살대감님 모신다’라고 하면서 솟대를 신체로 모시고 있다. 수살대고사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치른다. 150년이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수살대고사는 가뭄이나 화재 같은 재앙을 막고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지낸다고 한다.

솟대는 원래 나무로 만들었으나 쉽게 썩어 몇 년에 한 번씩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자 1997년 무렵에 체신용 전신주를 이용하여 솟대를 설치했다. 전주에 나무와 비슷한 색으로 칠을 하고 꼭대기에다 나무로 만든 새를 올렸다. 새는 밤나무로 만든 기역(ㄱ) 자 모양으로 머리를 만들었으며 그것을 Y 자 모양의 몸통에 꽂아 전주에 볼트로 연결하였다. 보통 4~5년마다 교체되는 이 새는 기러기로 상징되며, 동쪽을 바라보게 세워진다. 새의 몸통에서 양옆으로 뻗은 [가지](/topic/가지) 끝에 약 2m 길이의 왼새끼를 매달아 놓는다.이는 기러기의 발을 의미한다.

제의는 기러기 발을 교체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청년들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지난해에 매달아 놓은 줄과 교체하고 새로 교체한 왼새끼 끝에 화선지를 묶어 둔다. 상차림은 [시루떡](/topic/시루떡) 위에 [통북어](/topic/통북어) 두 [마리](/topic/마리)를 나란히 얹어 놓고 막걸리를 따라 놓는 것이 전부이다. [축문](/topic/축문)은 따로 없으며, [화주](/topic/화주)가 고축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소지는 화주가 참여한 각 가구의소원을 축원하며 올린다. 소지 올리기가 끝나면 상 위에 놓인 북어 두 마리의 머리를 잘라 입에 떡을 물려 입이 하늘로 향하도록 솟대에 묶는다. 묶을 때에는 화선지로 꼬아만든 줄을 이용하여 짐승들이 건들지 못하게 높이 단다.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금진리에서는 국사성황제와 골맥이성황제를 지낸다. 국사성황제는 마을 뒤 굴로봉에 있는 성황당에서 지낸다. 이 제의는 성황당에 있는 기록물들을 종합할 때 1635년경에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진리의 골맥이성황은 솟대를 신체로 한다. 이 솟대를 마을에서는 흔히 골맥이라고 부른다. 마을 어귀에 해당하는 남쪽과 북쪽 두 곳에 있다. 금진초등학교 정문 옆에 있는남쪽의 솟대는 3m 높이의 쇠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Y 자형의 쇠파이프에 쇠로 만들어진 세 마리가 동쪽·서쪽·북쪽을 각각 향한 채 앉아 있다. 북쪽의 솟대는 3m 높이의 나무로 되어 있으며, Y 자형의 나무에 나무로 만들어진 새 세 마리가 동쪽, 서쪽, 북쪽을 각각 향해 앉아 있다. 금진리는 서쪽의 굴로봉이 마을을 감싸고 동쪽으로 동해가 펼쳐져 있다. 솟대가 위치하고 있는 두 곳은 남쪽과 북쪽의 마을 입구이다. 마을 사람들은 솟대가 마을로 들어오는 잡귀를 막아 주는 액막이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제의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과 오월단옷날에 행한다. 시간은 자정을 기해 국사성황제를 지낸 다음 솟대가 있는 두 곳에서 동시에 골맥이성황제를 지낸다. 즉 국사 성황제를 지내는 [제관](/topic/제관)과 골맥이성황제를 지내는 제관을 각각 선발하여 국사성황제를 지낼 때 두 곳의 골맥이성황 제관들은 각각의 [자리](/topic/자리)에서 간단한 음식을 차려 놓고서 대기하고 있다가 국사성황제가 끝났으리라 추측되는 시간(보통 0시 10분쯤)에 동시에 제의를 지낸다. 골맥이성황제를 마치면 솟대 주위에 친 [금줄](/topic/금줄)을 솟대[기둥](/topic/기둥)에 감아 놓는다.

충북 옥천군 동이면 청마리 마티마을에서는 탑신제를 정월대보름날에 지내는데, 조산탑, 솟대, 장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을에서는 솟대를 짐대라고 부르며 장승과 함께윤년이 드는 해 정월대보름 전날에 만들어 세운다. 솟대의 높이는 5m 정도이며 오리를 올릴 때는 머리가 남쪽을 향하게 한다. 장대에 황색과 흑색이 용틀임의 [단청](/topic/단청)을 하는데황색은 황룡을 흑색은 흑룡을 상징한다. 황색은 [황토](/topic/황토)로 흑색은 진흙에 숯가루를 반죽하여 칠한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초에 날을 잡아 산신제와 탑신제 제주를 각각 한 명씩 선출하는데, 선출자 중 나이가 위인 사람이 산신제를 지내고 아래 사람은 탑신제를 주관한다. 산신제는 탑신제에 앞서 산신제 제주로 선정된 부부만 지내고 온다. 원래 탑신제는 정월대보름날 해가 뜨기 전에 징을 세 번 울려 쇳소리로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쫓아내는 것으로 시작하여탑, 솟대, 장승, 샘굿 순서로 이어졌다. 그러나 청마리제신탑이 1976년 12월 21일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면서 각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을 위하여 요즘은 오전 9~10시에 제를 올린다.

탑신제는 정월대보름날 새벽에 제주가 탑 꼭대[기와](/topic/기와) 솟대에 소지를 묶는 것으로 시작된다. 제의는 탑 앞에서 먼저 진행되는데, 제주는 집사가 따라준 잔을 [제상](/topic/제상)에 놓고 절을 하고 나서 제상 앞에 앉는다. 집사는 술을 탑에 세 번 나누어 뿌린다. 제주는 다시 잔을 들고 술을 가득 받아 제상에 올려놓고 모두 함께 재배한다. 그리고 주민들과 함께 소지를 올린다. 이후 제주만 [음복](/topic/음복)하고 제상을 든 집사들을 따라 솟대로 이동한다. 제상을 솟대 앞으로 옮기고 탑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를 지낸다. 이때 술만 새 것으로 갈고소지는 올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장승 앞에서 지내는데, 제상을 옮겨 솟대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지낸다. 마을에 천하대[장군](/topic/장군)과 지하대장군이 있지만 제는 천하대장군에만 지낸다. 제가 끝나면 제주가 음복한 후 주민들도 함께 음복한다. 이때 집사들은 [미투리](/topic/미투리)를 만들어 탑과 솟대에 갖다 놓는다. 마티마을에서는 소지만 올릴 뿐 축문은 따로 없다.
제주도 무속신화문무병1998
민속원한국의 굿문무병 외2002
제주도의 굿춤문무병2005
황금알바람의 축제 칠머리당영등굿문무병2005
제주특별자치도굿의 기메·전지문무병2008
목장승과 솟대
17277
목장승과 솟대
강문동 솟대
19735
강문동 솟대
입석
19878
입석
정산리 짐대
18985
정산리 짐대
금월리 짐대
19021
금월리 짐대
금월리 짐대
19003
금월리 짐대
목장승과 솟대
17303
목장승과 솟대
입석
18136
입석
목장승과 솟대
17545
목장승과 솟대
목장승과 솟대
17526
목장승과 솟대
목장승과 솟대
17277
목장승과 솟대
강문동 솟대
19735
강문동 솟대
입석
19878
입석
정산리 짐대
18985
정산리 짐대
금월리 짐대
19021
금월리 짐대
금월리 짐대
19003
금월리 짐대
목장승과 솟대
17303
목장승과 솟대
입석
18136
입석
목장승과 솟대
17545
목장승과 솟대
목장승과 솟대
17526
목장승과 솟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