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대할망

한국무속신앙사전
설문대할망
태초에 제주섬 곳곳의 지형을 형성시키는 제주도의 여성 거인신.
definition
태초에 제주섬 곳곳의 지형을 형성시키는 제주도의 여성 거인신.
mp3Cnt
0
wkorname
권태효
정의태초에 제주섬 곳곳의 지형을 형성시키는 제주도의 여성 거인신.
정의태초에 제주섬 곳곳의 지형을 형성시키는 제주도의 여성 거인신.
太初时创造济州岛各处地形的济州岛女性巨人神。

“雪门黛婆婆”创造了济州特别自治道各地的山和岛等地形,还能看到其为济州岛岛民架设通往本土大桥的痕迹等,具有地形创造神的性质。尤其是在采录资料中有“开天辟地之时,天空与大地相连,雪门黛婆婆将天地分开,使天空向上升,使大地向下降后,为了能让人生存,从水中挖出泥土,创造了济州岛”,鲜明地展示了创造神的面貌。

另一方面,也有以排泄物制造地形或以生殖器狩猎等形态进行讽刺,或被描述为熬粥时掉下去死掉的悲剧形象,亦可发现这些对巨人神的负面意识在后代得以反映的现象。虽然很难确认济州岛上关于雪门黛婆婆的信仰是否是一般现象,但可寻找到一些其作为守护渔民或济州居民的神而被信奉的事例。在表善里唐介浦口的“海神堂”中,雪门黛婆婆以保护海女带来财富的堂神而存在,在济州岛巫师所唱的《[山神](/topic/山神)[巫祭](/topic/巫祭)》巫歌中,也包含信奉雪门黛婆婆的叙事歌,可寻找这种信仰的痕迹。
___Seolmundaehalmang___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abuela Seolmundae” y se refiere a una diosa gigantesca que, en el comienzo de todos, creó toda la naturaleza y todas las formaciones geográficas de la isla de Jeju-do.

___Seolmundaehalmang___ se representa como una diosa creadora, se cree que ella creó las montañas e islas alrededor de la Jeju-do y un puente que conectaba la isla con el continente, esto se señala en los antiguos registros como lo siguiente: “cuando se crearon el cielo y la tierra, los dos fueron pegados el uno a la otra, entonces ___Seolmundaehalmang___ los separó para que el cielo se localizara encima de la tierra y la tierra se situara debajo del cielo, y levantó el suelo que se encontraba bajo el agua para crear la isla de Jeju-do en la que podrían vivir las personas”.

Por alguna razón, la diosa llegó a percibirse negativamente por las generaciones posteriores, descrita como un objeto de las burlas, creando las montañas con sus deshechos corporales y cazando con su órgano sexual, o como un personaje trágico que se ahoga en la gacha que ella está cocinando. Es difícil saber si la adoración a ___Seolmundaehalmang___ era común en la isla de Jeju-do, pero existen algunas evidencias que se han encontrado que muestran que ella era venerada como una deidad guardiana de los barqueros y habitantes de la isla: en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llamado haesindang del puerto de Danggae de la aldea de Pyoseon-ri, ___Seolmundaehalmang___ está enclaustrada como una diosa de la aldea llamada Dangsin que protege a las mujeres buzos y atrae la riqueza material; y en la canción chamánica efectuada como parte del rito llamado sansingut se menciona la historia de ___Seolmundaehalmang___.
내용설문대할망이 가장 일반적으로 불리는 명칭이지만 선문대할망·설만두할망·설명지할망·세명뒤할망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마고할망이란 명칭으로 설화가 채록된 사례가 있기는 하나 특수한 예일 뿐 보편적인 현상은 아니다.

설문대할망은 제주특별자치도 곳곳의 오름과 섬등의 지형을 형성시키고 제주도민들을 위해 육지로 다리를 놓던 흔적을 보이는 등 지형창조신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채록자료가운데 “천지개벽 시에 하늘과 땅이 서로 붙어 있었는데 설문대할망이 천지를 분리시켜 하늘을 위로 가도록 하고 땅은 아래로 가도록 한뒤 사람들이 살 수 있도록 물속에서흙을 파 올려 제주도를 만들어 놓았다”고 하여 창조신적 면모를 두드러[지게](/topic/지게) 보여 주기도 한다. 설문대할망은 이런 창조신적 행위 외에 설문대하르방과 짝을 이루며 등장해 사냥을 하기도 하고, [족두리](/topic/족두리)나 공깃돌 등 할망이 지니고 있던 것을 증거물로 남기는 전설이 또한 도내 곳곳에 전승되기도 한다.

한편 배설물로 지형을 만들거나 성기로 사냥을 하는 등의 형태로 희화화되거나 죽을 끓이다가 빠져 죽는 비극적인 존재로 그려지기도 하는 등 거인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양상이 후대에 반영된 모습도 찾을 수 있다.

제주도에서 설문대할망에 대한 신앙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일정 부분 어민이나 제주 사람들을 지켜 주는 신격으로 믿어진 사례는 찾을 수 있다. 가장오래된 설문대할망 기록인 장한철(張漢喆)의『 표해록(漂海錄)』에는 표류하던 뱃사람들이 한라산이 눈에 들어오자 백록선자(白鹿仙子)와 선마고(詵麻姑)에게 살려 달라고 간절히 애원하는 대목이 있어 제주의 뱃사람들에게 설문대할망이 그들을 지켜 주는 수호신으로 믿어졌음을 보여 준다. 이와 더불어 드문 사례이기는 하지만 표선리 당개 포구의해신당에서는 설문대할망이 해녀들을 보호해 주고 부(富)를 가져다주는 당신으로 나타나며, 고봉선(高奉仙) 심방 구송의 무가에도 설문대할망을 섬기는 [사설](/topic/사설)이 포함되어 있어 신앙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제주도여신고 (장주근, 제주문화 창간호, 문총제주지부, 1957)
제주도전설 (현용준, 서문당, 1976)
설문대할망설화연구 (이성준, 국문학보 10, 제주대학교 국문학과, 1989)
표선리향토지 (표선리 원로회, 1996)
천지창조의 거신설화 (장주근, 풀어쓴 한국의 신화, 집문당, 1998)
한국의 [거인설화](/topic/거인설화) (권태효, 역락, 2002)
표해록 (장한철 저, 김지홍 역,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Seolmundaehalmang, or Grandmother Seolmundae, is a giant goddess of Jeju Island who, in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 create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island.

Grandmother Seolmundae shows aspects of a creator goddes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mountains and islands around Jeju, and the remnants of what appears to have been a bridge betwee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as observed in ancient records as follows: “When the heaven and earth was first created, the two bodies were attached as one, and Seolmundaehalmang separated them so that the heaven was located above and the earth below, and dug up soil from under the water to make Jeju Island for people to live on.”

The goddess came to be perceived by later generations in a somewhat negative light, depicted as an object of ridicule, building mountains with her bodily wastes and hunting with her sex organ, or as a tragic character that drowned in the porridge that she was cooking. It is difficult to confirm widespread worship of this goddess on Jeju, but some evidences have been found of its worship as a guardian deity of fishermen and the people of Jeju: In Haesindang (Sea God Shrine) of Danggae Port in the village of Pyoseon, Seolmundaehalmang is enshrined as a village god (dangsin) that protects the women divers and brings riches; and the shamanic song performed as part of the shamanic rite sansingut (mountain god ritual) includes lyrics about the goddess.
내용설문대할망이 가장 일반적으로 불리는 명칭이지만 선문대할망·설만두할망·설명지할망·세명뒤할망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마고할망이란 명칭으로 설화가 채록된 사례가 있기는 하나 특수한 예일 뿐 보편적인 현상은 아니다.

설문대할망은 제주특별자치도 곳곳의 오름과 섬등의 지형을 형성시키고 제주도민들을 위해 육지로 다리를 놓던 흔적을 보이는 등 지형창조신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채록자료가운데 “천지개벽 시에 하늘과 땅이 서로 붙어 있었는데 설문대할망이 천지를 분리시켜 하늘을 위로 가도록 하고 땅은 아래로 가도록 한뒤 사람들이 살 수 있도록 물속에서흙을 파 올려 제주도를 만들어 놓았다”고 하여 창조신적 면모를 두드러[지게](/topic/지게) 보여 주기도 한다. 설문대할망은 이런 창조신적 행위 외에 설문대하르방과 짝을 이루며 등장해 사냥을 하기도 하고, [족두리](/topic/족두리)나 공깃돌 등 할망이 지니고 있던 것을 증거물로 남기는 전설이 또한 도내 곳곳에 전승되기도 한다.

한편 배설물로 지형을 만들거나 성기로 사냥을 하는 등의 형태로 희화화되거나 죽을 끓이다가 빠져 죽는 비극적인 존재로 그려지기도 하는 등 거인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양상이 후대에 반영된 모습도 찾을 수 있다.

제주도에서 설문대할망에 대한 신앙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일정 부분 어민이나 제주 사람들을 지켜 주는 신격으로 믿어진 사례는 찾을 수 있다. 가장오래된 설문대할망 기록인 장한철(張漢喆)의『 표해록(漂海錄)』에는 표류하던 뱃사람들이 한라산이 눈에 들어오자 백록선자(白鹿仙子)와 선마고(詵麻姑)에게 살려 달라고 간절히 애원하는 대목이 있어 제주의 뱃사람들에게 설문대할망이 그들을 지켜 주는 수호신으로 믿어졌음을 보여 준다. 이와 더불어 드문 사례이기는 하지만 표선리 당개 포구의해신당에서는 설문대할망이 해녀들을 보호해 주고 부(富)를 가져다주는 당신으로 나타나며, 고봉선(高奉仙) 심방 구송의 무가에도 설문대할망을 섬기는 [사설](/topic/사설)이 포함되어 있어 신앙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제주도여신고 (장주근, 제주문화 창간호, 문총제주지부, 1957)
제주도전설 (현용준, 서문당, 1976)
설문대할망설화연구 (이성준, 국문학보 10, 제주대학교 국문학과, 1989)
표선리향토지 (표선리 원로회, 1996)
천지창조의 거신설화 (장주근, 풀어쓴 한국의 신화, 집문당, 1998)
한국의 [거인설화](/topic/거인설화) (권태효, 역락, 2002)
표해록 (장한철 저, 김지홍 역,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Seolmundaehalmang, or Grandmother Seolmundae, is a giant goddess of Jeju Island who, in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 create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island.

Grandmother Seolmundae shows aspects of a creator goddes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mountains and islands around Jeju, and the remnants of what appears to have been a bridge betwee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as observed in ancient records as follows: “When the heaven and earth was first created, the two bodies were attached as one, and Seolmundaehalmang separated them so that the heaven was located above and the earth below, and dug up soil from under the water to make Jeju Island for people to live on.”

The goddess came to be perceived by later generations in a somewhat negative light, depicted as an object of ridicule, building mountains with her bodily wastes and hunting with her sex organ, or as a tragic character that drowned in the porridge that she was cooking. It is difficult to confirm widespread worship of this goddess on Jeju, but some evidences have been found of its worship as a guardian deity of fishermen and the people of Jeju: In Haesindang (Sea God Shrine) of Danggae Port in the village of Pyoseon, Seolmundaehalmang is enshrined as a village god (dangsin) that protects the women divers and brings riches; and the shamanic song performed as part of the shamanic rite sansingut (mountain god ritual) includes lyrics about the goddess.
太初时创造济州岛各处地形的济州岛女性巨人神。

“雪门黛婆婆”创造了济州特别自治道各地的山和岛等地形,还能看到其为济州岛岛民架设通往本土大桥的痕迹等,具有地形创造神的性质。尤其是在采录资料中有“开天辟地之时,天空与大地相连,雪门黛婆婆将天地分开,使天空向上升,使大地向下降后,为了能让人生存,从水中挖出泥土,创造了济州岛”,鲜明地展示了创造神的面貌。

另一方面,也有以排泄物制造地形或以生殖器狩猎等形态进行讽刺,或被描述为熬粥时掉下去死掉的悲剧形象,亦可发现这些对巨人神的负面意识在后代得以反映的现象。虽然很难确认济州岛上关于雪门黛婆婆的信仰是否是一般现象,但可寻找到一些其作为守护渔民或济州居民的神而被信奉的事例。在表善里唐介浦口的“海神堂”中,雪门黛婆婆以保护海女带来财富的堂神而存在,在济州岛巫师所唱的《[山神](/topic/山神)[巫祭](/topic/巫祭)》巫歌中,也包含信奉雪门黛婆婆的叙事歌,可寻找这种信仰的痕迹。
___Seolmundaehalmang___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abuela Seolmundae” y se refiere a una diosa gigantesca que, en el comienzo de todos, creó toda la naturaleza y todas las formaciones geográficas de la isla de Jeju-do.

___Seolmundaehalmang___ se representa como una diosa creadora, se cree que ella creó las montañas e islas alrededor de la Jeju-do y un puente que conectaba la isla con el continente, esto se señala en los antiguos registros como lo siguiente: “cuando se crearon el cielo y la tierra, los dos fueron pegados el uno a la otra, entonces ___Seolmundaehalmang___ los separó para que el cielo se localizara encima de la tierra y la tierra se situara debajo del cielo, y levantó el suelo que se encontraba bajo el agua para crear la isla de Jeju-do en la que podrían vivir las personas”.

Por alguna razón, la diosa llegó a percibirse negativamente por las generaciones posteriores, descrita como un objeto de las burlas, creando las montañas con sus deshechos corporales y cazando con su órgano sexual, o como un personaje trágico que se ahoga en la gacha que ella está cocinando. Es difícil saber si la adoración a ___Seolmundaehalmang___ era común en la isla de Jeju-do, pero existen algunas evidencias que se han encontrado que muestran que ella era venerada como una deidad guardiana de los barqueros y habitantes de la isla: en el santuario del dios del mar llamado haesindang del puerto de Danggae de la aldea de Pyoseon-ri, ___Seolmundaehalmang___ está enclaustrada como una diosa de la aldea llamada Dangsin que protege a las mujeres buzos y atrae la riqueza material; y en la canción chamánica efectuada como parte del rito llamado sansingut se menciona la historia de ___Seolmundaehalmang___.
집문당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1986
엉장매코지. 설문대할망이 다리를 놓다 만 곳
3429
엉장매코지. 설문대할망이 다리를 놓다 만 곳
엉장매코지. 설문대할망이 다리를 놓다 만 곳
3429
엉장매코지. 설문대할망이 다리를 놓다 만 곳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