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돌

한국무속신앙사전
선돌
가공하지 않은 길고 큰 돌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거석기념물(巨石記念物) 또는 신앙대상물.
definition
가공하지 않은 길고 큰 돌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거석기념물(巨石記念物) 또는 신앙대상물.
mp3Cnt
0
wkorname
김경남
정의가공하지 않은 길고 큰 돌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거석기념물(巨石記念物) 또는 신앙대상물.
정의가공하지 않은 길고 큰 돌을 수직으로 세워 놓은 거석기념물(巨石記念物) 또는 신앙대상물.
Seondol se refiere a un monolito o un menhir de piedra, erigido como un monumento u objeto de veneración.

El seondol es denominado con varios nombres alternativos tales como ipseok, seokju, satgatbawi y seonbawi.

Los seondol pueden alcanzar 6 metros de alto, pero miden entre 1 y 2 metros en general. En Corea, la mayoría de los menhires son naturales, solo en raras ocasiones, tallados artificialmente. Usualmente, ellos son erigidos en la entrada de aldeas, en el medio de los campos abiertos o arrozales, o en algunos casos, junto a dólmenes.

Un seondol desempeña principalmente tres funciones: la primera, es una entidad que simboliza la fertilidad, productividad y longevidad que son relacionadas con la adoración a las rocas y el dios de las siete estrellas,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y órganos genitales; la segunda función es proteger de las inundaciones y alejar a los malos espíritus; la tercera es marcar tumbas o servir como un símbolo de los fallecidos. Estas funciones están relacionadas con los cultos religiosos o las leyendas pertinentes, ya que la forma y tamaño de los menhires crean una sensación desbordada de admiración en la gente, y su forma fálica se ve asociada con la adoración a los órganos genitales en las sociedades primitivas.

El seonbawi está delante del santuario llamado guksadang que se encuentra en el monte de Inwangsan de Seodaemun-gu de Seúl, donde muchos vienen a rezar para pedir por la bendición de tener un bebé u orar por sus hijos. El ipseok juldarigi que significa literalmente “monolito de tra y afloja” es otra forma del culto a los seondol y fue designado como Patrimonio Cultural Folclórico Número 7 de la provincia de Jeollanam-do. El ipseok juldarigi se practica cada año entre dos grupos divididos por género para rezar por una buena cosecha. Al terminar el juego, la cuerda se enrolla alrededor del menhir del pueblo para protegerlo. Esta cuerda se deja enrollada todo el año, ya que se cree que tocar la cuerda podría resultar mortal durante la temporada invernal. El juego tradicional dio origen al actual nombre de las villas, Seondolmaeul o Ipseokdong, ambos significan “aldeas de la piedra levantada”. Se cree que si gana el equipo femenino podrá atraer una buena cosecha, pues cada año, el juego finaliza con una gran victoria para el equipo de las mujeres. Después del ipsweok juldarigi, las ganadoras enrollan la soga alrededor del menhir y asisten a un ritual oficiado por un chamán que se llama dangsanje para adorar a los dioses del pueblo.
将未经加工的长而大的石头垂直立起的纪念物或信仰对象。

“sundol”有“立石”(menhir),“石柱”等名称。从将石头立起来或竖立这一意义上,也称“笠岩”或“立岩”。

其大小多数为高1 ~ 2 米,但偶尔也有极为罕见的高达6 米的石头。韩国的立石多数是自然石本身,或只对一部分进行打磨后立起。通常在村庄入口或平地,也有的在农田中间或支石墓旁边。

功能大致可分为三种。第一,如岩石,[七星](/topic/七星),性器崇拜中所体现的,具有祈求多产,生产力,长寿的丰饶功能。第二,为辟邪,阻挡出水口等守护的作用。第三,象征死者或代表坟墓的坟墓功能。这些功能以围绕立石的传说及相关的信仰对象实现其本质。因为正是立石的外形特征使人们产生敬畏之心,或正如其外形与男性生殖器相似,使其与性器崇拜思想等原始信仰相结合。

从地区事例来看,在首尔特别市西大门区仁王山半山腰“[国师堂](/topic/国师堂)”对面有立岩, 此处举行祈求生子和育儿祭祀,这即为“立岩信仰”的一种形态。金堤市立石洞“立石拔河”是“全罗北道民俗资料第7 号”,是立石信仰的另一种形态。据传,立石拔河是从祈祷该地区每年都能丰收的寓意中进行的。拔河以性别分组对决,拔河结束后,从保护立石的寓意上,将绳子缠在立石上。据传,若用手触摸缠在立石上的绳子,必遭天谴,无法避免死亡,因而保存至今。因该立石,村庄的名字也叫立石村庄,用汉字标注为立石,成为了当地的地名。因传闻拔河结果只有女性赢得比赛,当年才能丰收,因此比赛迄今每年仍以女性的胜利而结束。拔河结束后,将女性绳子缠在立石上,并由巫师主持肃穆的“[堂山](/topic/堂山)祭”。
Seondol is a large upright standing stone, or menhir, made of natural rock, erected as a monument or object of worship.

Alternate terms include ipseok, soekju, satgatbawi and seonbawi, all identical in meaning.

Standing stones are generally 1 to 2 meters in height, although some rare ones reach 6 meters. In Korea, menhirs are generally natural, only rarely artificially carved. Most are erected at the village entrance or in the middle of open fields or rice paddies, or sometimes next to dolmens.

A seondol largely serves three functions: First, it is an entity that symbolizes fertility, productivity and longevity, closely related to the worship of rocks,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and of sex organs; its second function is to protect from flooding (sugumagi) and to keep away evil spirits; the third is to mark a tomb or to serve as a symbol of the deceased. These functions are related to religious worship of local mythology, especially in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menhirs create a sense of awe in people, who also view them as phallic and associate them with sex organ worship in primitive societies.

In Seodaemungu of Seoul, on Mt. Inwang, across from [[Guksadang](/topic/ShrineforVillageGods)](/topic/Guksadang) (Shrine for Village Gods) stands Seonbawi, where many come to worship and to pray for the conception of a son or for their children to thrive.

Ipseok juldarigi (standing stone tug-of-war), practiced in Gimje and designated as Folklore Heritage No. 7 of North Jeolla Province, is another form of standing stone worship. The tug-of-war is held each year to pray for a good harvest, between two teams divided by gender. When the game is over, the rope is wound around the village menhir for protection. Touching the rope will result in a deadly winter, and the rope is left on all year long. The tradition has given the village its name, Seondolmaeul, or Ipseokdong, both meaning “standing stone village.” It is believed that victory for the female team will bring a good harvest, so each year the game ends in a win for the women, who wind the rope around the menhir, followed by a formal shaman-officiated ritual for village gods (dangsanje).
내용선돌은 입석(立石, menhir), 돌꼬지, 도두, 석주(石柱) 등의 명칭이 있다. 돌을 세웠거나 서 있다는 뜻에서 선돌 이외에 삿갓바위[笠巖], 선바위[立巖]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구지바위, 할머니탑, 할아버지탑, 돌장승, 수구막이, 수살[장군](/topic/장군) 등 으로도 부른다.

선돌의 크기는 높이 1~2m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충남 서산시 온석동의 선돌처럼 6m나 되는 큰 것도 드물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선돌은 대부분 자연석을 그대로 이거나 일부분만 치석(治石)하여 세웠다. 선돌의 형태는 둥근뿔, 둥근[기둥](/topic/기둥), 모난뿔, 모난기둥 등 다양하다.

선돌은 대체로 [마을](/topic/마을)로 들어가는 어귀나 평지에 위치한다. 논밭 가운데나 고인돌 옆에 있는 경우도 있다. 고인돌의 옆에 있는 경우로는 전남 구례군 토지면 금내리와 영암군 입석리의 선돌, 광주 북구 충효동의 선돌 등이 있다.

선돌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topic/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암석·칠성·성기 숭배에서 나타나듯이 다산, 생생력, 장수를 바라는 풍요의 기능이다. 둘째 벽사(辟邪)·수구막이 역할 등 수호 기능이다. 셋째 죽은 사람을 상징하거나 무덤을 표시하는 무덤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선돌에 얽힌 전설이나 관련된 신앙의 대상물로 본질을 이루고 있다. 선돌의외형적 특질에서 사람들에게 외경심이 들게 하거나 마치 그 모습이 남성의 생식기와비슷하여 성기숭배사상 같은 원시신앙과 결부시키기 때문이다.

선돌이 세워진 시기는 선사시대부터 최근까지 계속 이어져 오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석기~청동기시대에 이루어진 유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eondol se refiere a un monolito o un menhir de piedra, erigido como un monumento u objeto de veneración.

El seondol es denominado con varios nombres alternativos tales como ipseok, seokju, satgatbawi y seonbawi.

Los seondol pueden alcanzar 6 metros de alto, pero miden entre 1 y 2 metros en general. En Corea, la mayoría de los menhires son naturales, solo en raras ocasiones, tallados artificialmente. Usualmente, ellos son erigidos en la entrada de aldeas, en el medio de los campos abiertos o arrozales, o en algunos casos, junto a dólmenes.

Un seondol desempeña principalmente tres funciones: la primera, es una entidad que simboliza la fertilidad, productividad y longevidad que son relacionadas con la adoración a las rocas y el dios de las siete estrellas,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y órganos genitales; la segunda función es proteger de las inundaciones y alejar a los malos espíritus; la tercera es marcar tumbas o servir como un símbolo de los fallecidos. Estas funciones están relacionadas con los cultos religiosos o las leyendas pertinentes, ya que la forma y tamaño de los menhires crean una sensación desbordada de admiración en la gente, y su forma fálica se ve asociada con la adoración a los órganos genitales en las sociedades primitivas.

El seonbawi está delante del santuario llamado guksadang que se encuentra en el monte de Inwangsan de Seodaemun-gu de Seúl, donde muchos vienen a rezar para pedir por la bendición de tener un bebé u orar por sus hijos. El ipseok juldarigi que significa literalmente “monolito de tra y afloja” es otra forma del culto a los seondol y fue designado como Patrimonio Cultural Folclórico Número 7 de la provincia de Jeollanam-do. El ipseok juldarigi se practica cada año entre dos grupos divididos por género para rezar por una buena cosecha. Al terminar el juego, la cuerda se enrolla alrededor del menhir del pueblo para protegerlo. Esta cuerda se deja enrollada todo el año, ya que se cree que tocar la cuerda podría resultar mortal durante la temporada invernal. El juego tradicional dio origen al actual nombre de las villas, Seondolmaeul o Ipseokdong, ambos significan “aldeas de la piedra levantada”. Se cree que si gana el equipo femenino podrá atraer una buena cosecha, pues cada año, el juego finaliza con una gran victoria para el equipo de las mujeres. Después del ipsweok juldarigi, las ganadoras enrollan la soga alrededor del menhir y asisten a un ritual oficiado por un chamán que se llama dangsanje para adorar a los dioses del pueblo.
将未经加工的长而大的石头垂直立起的纪念物或信仰对象。

“sundol”有“立石”(menhir),“石柱”等名称。从将石头立起来或竖立这一意义上,也称“笠岩”或“立岩”。

其大小多数为高1 ~ 2 米,但偶尔也有极为罕见的高达6 米的石头。韩国的立石多数是自然石本身,或只对一部分进行打磨后立起。通常在村庄入口或平地,也有的在农田中间或支石墓旁边。

功能大致可分为三种。第一,如岩石,[七星](/topic/七星),性器崇拜中所体现的,具有祈求多产,生产力,长寿的丰饶功能。第二,为辟邪,阻挡出水口等守护的作用。第三,象征死者或代表坟墓的坟墓功能。这些功能以围绕立石的传说及相关的信仰对象实现其本质。因为正是立石的外形特征使人们产生敬畏之心,或正如其外形与男性生殖器相似,使其与性器崇拜思想等原始信仰相结合。

从地区事例来看,在首尔特别市西大门区仁王山半山腰“[国师堂](/topic/国师堂)”对面有立岩, 此处举行祈求生子和育儿祭祀,这即为“立岩信仰”的一种形态。金堤市立石洞“立石拔河”是“全罗北道民俗资料第7 号”,是立石信仰的另一种形态。据传,立石拔河是从祈祷该地区每年都能丰收的寓意中进行的。拔河以性别分组对决,拔河结束后,从保护立石的寓意上,将绳子缠在立石上。据传,若用手触摸缠在立石上的绳子,必遭天谴,无法避免死亡,因而保存至今。因该立石,村庄的名字也叫立石村庄,用汉字标注为立石,成为了当地的地名。因传闻拔河结果只有女性赢得比赛,当年才能丰收,因此比赛迄今每年仍以女性的胜利而结束。拔河结束后,将女性绳子缠在立石上,并由巫师主持肃穆的“[堂山](/topic/堂山)祭”。
Seondol is a large upright standing stone, or menhir, made of natural rock, erected as a monument or object of worship.

Alternate terms include ipseok, soekju, satgatbawi and seonbawi, all identical in meaning.

Standing stones are generally 1 to 2 meters in height, although some rare ones reach 6 meters. In Korea, menhirs are generally natural, only rarely artificially carved. Most are erected at the village entrance or in the middle of open fields or rice paddies, or sometimes next to dolmens.

A seondol largely serves three functions: First, it is an entity that symbolizes fertility, productivity and longevity, closely related to the worship of rocks,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and of sex organs; its second function is to protect from flooding (sugumagi) and to keep away evil spirits; the third is to mark a tomb or to serve as a symbol of the deceased. These functions are related to religious worship of local mythology, especially in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menhirs create a sense of awe in people, who also view them as phallic and associate them with sex organ worship in primitive societies.

In Seodaemungu of Seoul, on Mt. Inwang, across from [[Guksadang](/topic/ShrineforVillageGods)](/topic/Guksadang) (Shrine for Village Gods) stands Seonbawi, where many come to worship and to pray for the conception of a son or for their children to thrive.

Ipseok juldarigi (standing stone tug-of-war), practiced in Gimje and designated as Folklore Heritage No. 7 of North Jeolla Province, is another form of standing stone worship. The tug-of-war is held each year to pray for a good harvest, between two teams divided by gender. When the game is over, the rope is wound around the village menhir for protection. Touching the rope will result in a deadly winter, and the rope is left on all year long. The tradition has given the village its name, Seondolmaeul, or Ipseokdong, both meaning “standing stone village.” It is believed that victory for the female team will bring a good harvest, so each year the game ends in a win for the women, who wind the rope around the menhir, followed by a formal shaman-officiated ritual for village gods (dangsanje).
내용선돌은 입석(立石, menhir), 돌꼬지, 도두, 석주(石柱) 등의 명칭이 있다. 돌을 세웠거나 서 있다는 뜻에서 선돌 이외에 삿갓바위[笠巖], 선바위[立巖]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구지바위, 할머니탑, 할아버지탑, 돌장승, 수구막이, 수살[장군](/topic/장군) 등 으로도 부른다.

선돌의 크기는 높이 1~2m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충남 서산시 온석동의 선돌처럼 6m나 되는 큰 것도 드물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선돌은 대부분 자연석을 그대로 이거나 일부분만 치석(治石)하여 세웠다. 선돌의 형태는 둥근뿔, 둥근[기둥](/topic/기둥), 모난뿔, 모난기둥 등 다양하다.

선돌은 대체로 [마을](/topic/마을)로 들어가는 어귀나 평지에 위치한다. 논밭 가운데나 고인돌 옆에 있는 경우도 있다. 고인돌의 옆에 있는 경우로는 전남 구례군 토지면 금내리와 영암군 입석리의 선돌, 광주 북구 충효동의 선돌 등이 있다.

선돌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topic/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암석·칠성·성기 숭배에서 나타나듯이 다산, 생생력, 장수를 바라는 풍요의 기능이다. 둘째 벽사(辟邪)·수구막이 역할 등 수호 기능이다. 셋째 죽은 사람을 상징하거나 무덤을 표시하는 무덤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선돌에 얽힌 전설이나 관련된 신앙의 대상물로 본질을 이루고 있다. 선돌의외형적 특질에서 사람들에게 외경심이 들게 하거나 마치 그 모습이 남성의 생식기와비슷하여 성기숭배사상 같은 원시신앙과 결부시키기 때문이다.

선돌이 세워진 시기는 선사시대부터 최근까지 계속 이어져 오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석기~청동기시대에 이루어진 유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역사례서울 서[대문](/topic/대문)구 현저동 산 1의 4[번지](/topic/번지) 인왕산 중턱 국[사당](/topic/사당) 건너편에 선바위가 있다. 여기에 기자와 육아를 기원하는 제를 지내는 신앙이 선바위신앙이다. 제사는 개인의 필요에따라 수시로 지내기도 하지만 대개 정월 초하루, 4월 8일, 7월 15일, 10월 1일 등 날을 잡아 정기적으로 지내기도 한다. 제를 지낼 때는 사흘 전부터 목욕재계하고, 제사 당일이 되면 선바위 제단에 촛불을 양쪽에 밝히고 향을 사르며 상을 차린 뒤에 소원을 기원하면서 절을 한다.

전북 김제시 입석동 입석줄다리기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7호’로 선돌신앙의 또 다른 형태이다. 입석(선돌)[줄다리기](/topic/줄다리기)는 벽골제를 시축하고 이 고장에 해마다 풍년이 들도록기원하는 뜻에서 행해진 것이라고 한다. 또한 김제 동헌과 벽골제 사이에 월촌면의 당재와 토끼재를 연결하는 능선이 작은 언덕을 이루고 있어 터 기운이 세다고 하여 이 기운을 누르기 위해 석주(石柱)가 세워진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 입석의 상단은 심하게 마멸되어 육안으로 구별하기 힘들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사람 얼굴 또는 [사자](/topic/사자) 얼굴같은 것이 음각되어 있다.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성 대결의 줄다리기가 시작되었으며, 줄다리기가 끝나면 석주[선돌]를 보호한다는 뜻에서 그 줄을 석주에다 감아 놓는다. 석주에 감아 놓은 줄에 손을 대면 동토가 나서 죽음을 면치 못한다 하며 지금까지 보전되었다. 이 석주로 인하여 [마을](/topic/마을) 이름도 선돌마을이고, 한자로 표기해 입석(立石)으로 지명이 되었다고 한다.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달이 떠오르면 입석줄다리기는 시작된다. 마을 주민들이 사나흘 전부터 볏단을 모아 동아줄을 틀어 수십 개를 만들어 하나로 꼬아서 지름 2척 정도, 길이는50~60척의 대형 원줄을 만든다. 그리고 원줄에다 다시 손잡이 곁줄(접줄)을 많이 만들어 잡아당기기 좋도록 해 놓는다. 남성 줄은 앞에 올가미를 작게 만들어 통나무가 들어갈 정도이고, 여성줄은 남성 올가미의 머리를 꿸 수 있도록 크게 만든다. 줄다리기가 시작되면 동쪽에서 신랑을 태운 남성들이 줄 양편에 늘어서서 작은 통나무를 줄 아래로가로질러 어깨에 줄을 메고 나온다. 서쪽에서도 역시 똑같은 방법으로 여성들이 신부를 태우고 [농악](/topic/농악)을 치고 줄을 메고 나와 중앙의 지점에서 서로 만나게 된다. 거기서 줄말기 등 한바탕 놀이를 즐기고 줄다리기를 한다. 줄다리기 결과는 여성들이 이겨야 그해 풍년이 든다고 전해 오고 있어서 지금도 해마다 여성들의 승리로 끝이다. 이렇게 줄다리기가 끝나면 여성 줄을 석주에 감고 무당의 집례로 엄숙한 당산제를 행한다.

충남 천안시 쌍용동의 입석제는 마을 어귀에 있는 입석에 제를 지낸다. 이 입석제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1850년 무렵 동네 한 노인의 꿈에 신령이 나타나서 “내가 지금 동네에서 멀지 않은 소류지에 가라앉아 나오지 못하고 고초를 겪으니 그대가 나를 동구 밖에 세워 주면 복록을 점지하리라”고 하였다. 그는 꿈을 깨어서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가 그 소류지에 가 보니 물만 가득하였다. 사람을 동원하여 물을 퍼내 보니 커다란 자연암석 하나가 드러났다. 그는 이 자연석을 등에 져다가 동구 밖에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이것이 동네에서 자연석을 놓고 제사하는 관습이 생긴 시초이다. 지금도 정월대보름날이 되면 아낙네들이 떡시루를 이고 가서 소원을 빈다. 또한 천안시 부평동과 청수동입구에 있는 입석에 제사를 지내면 아기를 낳을 수 있다고 한다.

강원도 동해시 동호동 승지마을에 있는 선돌은 입석 또는 돌꼬지라 한다. 이는 승지골 입구에 있는 저수지와 승지교를 지나 산모퉁이에 돌이 서 있는 곳을 가리키며 돌이 꽂혀 있는 곳이란 뜻이다. 자연석의 지주(支柱)로서 폭 50㎝, 높이 2m 가량의 돌들이 조금 떨어져 두 개가 서 있는 이 선돌은 신라의 실직과 고구려의 하슬라(명주의 옛 지명)의 경계를 표시한 지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이 선돌을 마을 수호신으로 여기면서 입동(立冬)을 전후하여 짚으로 옷을 해 입히는 풍속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김제의 전통 (김제군, 1982)
내고장 전통가꾸기 (천안시, 1982)
한국의 축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강원의 전통민속예술 (강원도, 1994)
한국민속대사전 (민중서관, 1999)
동해시 지명지 (동해문화원, 2000)
지역사례서울 서[대문](/topic/대문)구 현저동 산 1의 4[번지](/topic/번지) 인왕산 중턱 국[사당](/topic/사당) 건너편에 선바위가 있다. 여기에 기자와 육아를 기원하는 제를 지내는 신앙이 선바위신앙이다. 제사는 개인의 필요에따라 수시로 지내기도 하지만 대개 정월 초하루, 4월 8일, 7월 15일, 10월 1일 등 날을 잡아 정기적으로 지내기도 한다. 제를 지낼 때는 사흘 전부터 목욕재계하고, 제사 당일이 되면 선바위 제단에 촛불을 양쪽에 밝히고 향을 사르며 상을 차린 뒤에 소원을 기원하면서 절을 한다.

전북 김제시 입석동 입석줄다리기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7호’로 선돌신앙의 또 다른 형태이다. 입석(선돌)[줄다리기](/topic/줄다리기)는 벽골제를 시축하고 이 고장에 해마다 풍년이 들도록기원하는 뜻에서 행해진 것이라고 한다. 또한 김제 동헌과 벽골제 사이에 월촌면의 당재와 토끼재를 연결하는 능선이 작은 언덕을 이루고 있어 터 기운이 세다고 하여 이 기운을 누르기 위해 석주(石柱)가 세워진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 입석의 상단은 심하게 마멸되어 육안으로 구별하기 힘들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사람 얼굴 또는 [사자](/topic/사자) 얼굴같은 것이 음각되어 있다.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성 대결의 줄다리기가 시작되었으며, 줄다리기가 끝나면 석주[선돌]를 보호한다는 뜻에서 그 줄을 석주에다 감아 놓는다. 석주에 감아 놓은 줄에 손을 대면 동토가 나서 죽음을 면치 못한다 하며 지금까지 보전되었다. 이 석주로 인하여 [마을](/topic/마을) 이름도 선돌마을이고, 한자로 표기해 입석(立石)으로 지명이 되었다고 한다.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달이 떠오르면 입석줄다리기는 시작된다. 마을 주민들이 사나흘 전부터 볏단을 모아 동아줄을 틀어 수십 개를 만들어 하나로 꼬아서 지름 2척 정도, 길이는50~60척의 대형 원줄을 만든다. 그리고 원줄에다 다시 손잡이 곁줄(접줄)을 많이 만들어 잡아당기기 좋도록 해 놓는다. 남성 줄은 앞에 올가미를 작게 만들어 통나무가 들어갈 정도이고, 여성줄은 남성 올가미의 머리를 꿸 수 있도록 크게 만든다. 줄다리기가 시작되면 동쪽에서 신랑을 태운 남성들이 줄 양편에 늘어서서 작은 통나무를 줄 아래로가로질러 어깨에 줄을 메고 나온다. 서쪽에서도 역시 똑같은 방법으로 여성들이 신부를 태우고 [농악](/topic/농악)을 치고 줄을 메고 나와 중앙의 지점에서 서로 만나게 된다. 거기서 줄말기 등 한바탕 놀이를 즐기고 줄다리기를 한다. 줄다리기 결과는 여성들이 이겨야 그해 풍년이 든다고 전해 오고 있어서 지금도 해마다 여성들의 승리로 끝이다. 이렇게 줄다리기가 끝나면 여성 줄을 석주에 감고 무당의 집례로 엄숙한 당산제를 행한다.

충남 천안시 쌍용동의 입석제는 마을 어귀에 있는 입석에 제를 지낸다. 이 입석제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1850년 무렵 동네 한 노인의 꿈에 신령이 나타나서 “내가 지금 동네에서 멀지 않은 소류지에 가라앉아 나오지 못하고 고초를 겪으니 그대가 나를 동구 밖에 세워 주면 복록을 점지하리라”고 하였다. 그는 꿈을 깨어서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가 그 소류지에 가 보니 물만 가득하였다. 사람을 동원하여 물을 퍼내 보니 커다란 자연암석 하나가 드러났다. 그는 이 자연석을 등에 져다가 동구 밖에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이것이 동네에서 자연석을 놓고 제사하는 관습이 생긴 시초이다. 지금도 정월대보름날이 되면 아낙네들이 떡시루를 이고 가서 소원을 빈다. 또한 천안시 부평동과 청수동입구에 있는 입석에 제사를 지내면 아기를 낳을 수 있다고 한다.

강원도 동해시 동호동 승지마을에 있는 선돌은 입석 또는 돌꼬지라 한다. 이는 승지골 입구에 있는 저수지와 승지교를 지나 산모퉁이에 돌이 서 있는 곳을 가리키며 돌이 꽂혀 있는 곳이란 뜻이다. 자연석의 지주(支柱)로서 폭 50㎝, 높이 2m 가량의 돌들이 조금 떨어져 두 개가 서 있는 이 선돌은 신라의 실직과 고구려의 하슬라(명주의 옛 지명)의 경계를 표시한 지주로 전해지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이 선돌을 마을 수호신으로 여기면서 입동(立冬)을 전후하여 짚으로 옷을 해 입히는 풍속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김제의 전통 (김제군, 1982)
내고장 전통가꾸기 (천안시, 1982)
한국의 축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강원의 전통민속예술 (강원도, 1994)
한국민속대사전 (민중서관, 1999)
동해시 지명지 (동해문화원, 2000)
한국무속학회황해도 굿에 쓰이는 종이 신화와 신구의 종류, 형식, 상징성 고찰양종승2006
척산리 선바위
21033
척산리 선바위
누청리 선돌
20763
누청리 선돌
남근(男根)석
21662
남근(男根)석
선돌
18232
선돌
선돌
18219
선돌
선돌
18206
선돌
선돌
18233
선돌
선돌
17983
선돌
입석마을 입석
20311
입석마을 입석
외모마을 선돌
19303
외모마을 선돌
척산리 선바위
21033
척산리 선바위
누청리 선돌
20763
누청리 선돌
남근(男根)석
21662
남근(男根)석
선돌
18232
선돌
선돌
18219
선돌
선돌
18206
선돌
선돌
18233
선돌
선돌
17983
선돌
입석마을 입석
20311
입석마을 입석
외모마을 선돌
19303
외모마을 선돌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