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양암[마을](/topic/마을) 동계문서. 해마다 산신제에 소요되는 [제물](/topic/제물)의 종류와 비용, [제관](/topic/제관) 명단 등이 기록되어 있다.
  • 748 2023.02.27
    제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제관](/topic/제관)들이 제의를 연습하는 것.
  • 대관령 성황사는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대관령의 국사성황을 모시는 당. 산신당은 강릉단오제의 중요한 신격 가운데 하나인 대관령의 산신을 모시는 당이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14-255[번지](/topic/번지)에 있다. 이 건물은 1984년 6월 2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54호’로 지정되었다.
  • 망묵이굿
    747 2023.02.27
    함경도지방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하는 굿. ‘망묵굿’이라고도 하며, 대규모의 굿으로 확장되면 ‘새남굿’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후동에서 1859년 산신제의 재원을 마련할 목적으로 조직한 산제계 및 동계 관련 문서.
  • 강신
    747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앙에서 신령을 불러들이는 첫 번째 의식.
  • 강원도 동해시 동호동 주민들이 매년 정월초하룻날에 동제(洞祭)를 올리는 제단. 동해시 발한동 513-12[번지](/topic/번지)에 자리하고 있다.
  • 대안주상
    745 2023.02.27
    서울굿에서 신령들을 위해 술과 안주를 올리는 [제상](/topic/제상).
  • 745 2023.02.27
    호남 지역 무속의례에서 망자의 영혼을 상징화한 종이 무구. 망자의 신체로 상징되어 의례 시에는 망자와 동일시되는 무구이다. 망자천도굿인 씻김굿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작된다.
  • 거리제
    745 2023.02.27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무렵에 [마을](/topic/마을) 어귀나 큰 삼거리에서 올리는 마을 공동 제의.
  • 대감시루
    745 2023.02.27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비롯해 관북과 관서 지역의 무속에서도 모셔지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려지는 [제물](/topic/제물).
  • 물대
    744 2023.02.27
    음력 이월에 영등할머니를 모시는 바[가지](/topic/가지)를 받칠 수 있도록 대나무의 한쪽 끝을 깔때기 모양으로 만든 기구.
  • 눈설화
    744 2023.02.27
    길고 가는 실모양의 흰 꽃잎이 [가지](/topic/가지) 전체에 달려 있는 모습의 지화. 이것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사례로서,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 다르다. 황해도에서는 서리화[雪裏花],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눈설화꽃[雪花], 그리고 전라도에서는 국수발이라고 부른다.
  • 대신방울
    744 2023.02.27
    열두 개의 방울이 묶여 자루에 달린 것으로, 열두대신방울이라 하기도 한다.
  • 농기
    743 2023.02.27
    농기는 [마을](/topic/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기. 지역에 따라 농상기·대기(大旗)·[덕석](/topic/덕석)기·용(龍)[당기](/topic/당기)·[용기](/topic/용기)(龍旗)·[서낭기](/topic/서낭기) 등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