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사본풀이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의 무당굿 가운데 망자의 혼령을 천도해 주는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귀양풀이’ 등에서 불리는 서사무가. 저승차사인 강님은 저승을 관장하는 시왕[十王]의 명을 받고 적패지(赤牌紙)를 들고와 정명(定命)이 된 인간을 잡아가는 존재이다. ‘시왕맞이’와 ‘귀양풀이’ 등에서 를 구송함으로써 망자를 저승에까지 잘 인도해 주기를 기원하는 성격을 지닌다.
definition
제주도의 무당굿 가운데 망자의 혼령을 천도해 주는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귀양풀이’ 등에서 불리는 서사무가. 저승차사인 강님은 저승을 관장하는 시왕[十王]의 명을 받고 적패지(赤牌紙)를 들고와 정명(定命)이 된 인간을 잡아가는 존재이다. ‘시왕맞이’와 ‘귀양풀이’ 등에서 를 구송함으로써 망자를 저승에까지 잘 인도해 주기를 기원하는 성격을 지닌다.
mp3Cnt
0
wkorname
권태효
정의제주도의 무당굿 가운데 망자의 혼령을 천도해 주는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귀양풀이’ 등에서 불리는 서사무가. 저승차사인 강님은 저승을 관장하는 시왕[十王]의 명을 받고 적패지(赤牌紙)를 들고와 정명(定命)이 된 인간을 잡아가는 존재이다. ‘시왕맞이’와 ‘귀양풀이’ 등에서 를 구송함으로써 망자를 저승에까지 잘 인도해 주기를 기원하는 성격을 지닌다.
내용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와 장례를 지낸 날 저녁에 죽은 영혼을 저승으로 보내는 간략한 굿인 귀양풀이 등에서 불린다. 시왕맞이에서는 주로 추물공연과 석살림 사이에 불리며, 평복 차림의 심방이 차사상 앞에 앉아 장구를 치며 구송한다.

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정국 범을왕의 아홉 아들 가운데 세 아들만이 살아남았다. 하루는 지나가는 중이 아이들을 보고서 세상에 나가 장사하며 고생해야 오래 살 수 있다고 일러준다. 삼형제는 중의 말대로 장사를 하게 되고, 주년국 연못에 이르러 과양생이 처(妻)를 만난다. 재물에 욕심이 생긴 과양생이 처가 삼형제를 꾀어내어 술을 먹여 취하게 한 뒤 죽이고는 재물을 뺏고 연못에 시체를 던져 넣는다. 그 뒤 과양생이 처가 연못에 갔다가 꽃 세 송이를 꺾어 와서 그 꽃에서 나온 구슬을 삼키고는 아이를 가져 아들 삼형제를 낳는다. 세 아이가 커서 과거에 급제하여 집에 돌아오자마자 그 자리에서 모두 죽는다. 과양생이 처는 억울하다며 김치원님에게 소지를 올려 자신의 원통함을 풀어 달라고 한다. 원님은 강님을 시켜 염라대왕을 잡아오도록 한다. 강님은 아내의 말을 듣고 떡을 준비해 길을 떠난 뒤 조왕(竈王)과 세 신선의 도움을 받아 저승차사를 만나서 염라대왕을 데려온다. 염라대왕은 연못물을 퍼내고 삼형제의 시체를 찾아 과양생이 처의 죄를 다스리고, 강님의 혼을 데려가 저승차사로 삼는다.

는 1930년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와 아키바 다카시(秋葉隆)가 박봉춘으로부터 를 채록한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주도 큰굿을 조사한 자료집에는 대체로 빠짐없이 수록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채록 자료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자료명 | 구연자 | 채록자 | 수록책명 | 채록연도 |
| -------- | -------- | -------- | -------- | -------- | -------- |
| 1 | 체사본풀이 | 박봉춘 | 赤松智城秋葉隆 | 조선무속의 연구(상) | 1930~1933 |
| 2 | 차사본풀이 | 고대중 | 장주근 | 韓國の民間信仰(資料篇) | 1962.8 |
| 3 | (시왕맞이) 본풀이 | 안사인 | 현용준 | 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 - |
| 4 | 차사본 | 이영주 | 진성기 |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 - |
| 5 | 차사본 | 김해춘 | 진성기 |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 - |
| 6 | 차사본풀이 | 이정자 | 문무병 | 제주도무속신화열두본풀이자료집 | - |
| 7 | 차사본풀이 | 강순선 | 문무병 | 제주도큰굿자료 | 1994.10 |
| 8 | 체서본풀이 | 강순선 | 강정식 외 | 동복 정병춘댁시왕맞이 | 2006.4 |
| 9 | 체서본풀이 | 이용옥 | 허남춘 외 | 이용옥심방본풀이 | 2008.4 |



와 내용이 비슷한 무가가 함경도 지역에서는 이라 하여 전승되며, 충북 보은에서 채록된 ‘영동이 유래담’ 등을 비롯해 동일한 내용의 설화도 다수 채록되어 있다.
참고문헌韓國の民間信仰-資料篇 (장주근, 도쿄:금화사, 1973)
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진성기, 민속원, 1991)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 상 (赤松智城ㆍ秋葉隆, 심우성 역, 동문선, 1991)
제주도무속신화-열두본풀이자료집 (문무병, 칠머리당굿보존회, 1998)
제주도 큰굿자료 (문무병, 제주도ㆍ제주전통문화연구소, 2001)
풍속무음 (제주문화 편집부, 제주문화, 2002)
동복 정병춘댁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강정식 외,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2008)
이용옥 심방 본풀이 (제주대 한국학협동과정 편,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2009)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홍태한2003
국립문화재연구소굿과 음식 12005
서울대학교 대학원굿상에 투영된 신에 대한 인식이수현200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