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강원도 동해시 대진동에서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행하는 서낭제의 일종. 이 제의는 일반적으로 ‘서낭제’라고 부르지만 [마을](/topic/마을)에서는 특별히 ‘도신’이라고도 이르며, 신에게기도한다는 뜻이다. 도신은 오늘날에도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도신이 제의를 주관하였기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 삼신밥
    560 2023.02.27
    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 오곡밥
    557 2023.02.27
    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topic/가지)로 지은 밥.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더러는 이월영등일과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내기 위해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topic/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 차사본풀이
    439 2023.02.27
    제주도의 무당굿 가운데 망자의 혼령을 천도해 주는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귀양풀이’ 등에서 불리는 서사무가. 저승차사인 강님은 저승을 관장하는 시왕[十王]의 명을 받고 적패지(赤牌紙)를 들고와 정명(定命)이 된 인간을 잡아가는 존재이다. ‘시왕맞이’와 ‘귀양풀이’ 등에서 를 구송함으로써 망자를 저승에까지 잘 인도해 주기를 기원하는 성격을 지닌다.
  • 경기도굿 무복
    1035 2023.02.27
    경기도 지방에서 굿을 할 때 무당들이 입는 복식.
  • 강원도 동해시 동호동 주민들이 매년 정월초하룻날에 동제(洞祭)를 올리는 제단. 동해시 발한동 513-12[번지](/topic/번지)에 자리하고 있다.
  • 삼신짚
    537 2023.02.27
    삼신을 위할 때 [제물](/topic/제물) 밑에 깔거나 방에 매달아 두는 짚.
  • 오방신장
    527 2023.02.27
    다섯 방위(方位)를 관장하여 지키는 수호신. 오방신(五方神), 오방[장군](/topic/장군)(五方將軍)이라고도 한다.
  • 참신
    516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 경기도도당굿
    1008 2023.02.27
    서울을 비롯한 한강 이북 지역과 수원·인천 등지에서 [마을](/topic/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목적으로 매년 혹은 2년이나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월 초나 봄, 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단위의 굿. 이 굿은 1990년 10월 10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되었다.
  • 강원도 동해시 동호동 주민들이 매년 정월 초하루를 맞아 천제단에서 올리는 동제.
  • 삼오장
    595 2023.02.27
    동해안굿의 세존굿에서 중춤을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 오방신장기
    586 2023.02.27
    무당이 굿에서 사용하는 다섯 색깔의 깃발로 주로 운수를 점치는 무구. 오방신장기는 신장거리에서 사용되지만 대감거리와 [장군](/topic/장군)거리 등에서도 사용하기 때문에 대감기 또는 장군기라고도 한다.
  • 창귀
    519 2023.02.27
    호식을 당해 죽은 사람의 귀신. 창귀는 범의 노예가 되어 항상 곁에 붙어 다니면서 시중을 들고 식사를 책임지며 길 안내를 맡는다.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과 용성면 일대에서 왜구를 물리친 한[장군](/topic/장군)과 그의 누이의 전승을 기념하고, 이들의 넋을 모시고 위로하기 위해 행하는 축제이자 [마을](/topic/마을) 제사. 1971년 3월 16일에 ‘[한장군놀이](/topic/한장군놀이)’라는 명칭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되었고 2007년 3월 12일에 ‘경산자인단오제’로 명칭을 변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