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영등고사
매년 음력 이월 초하룻날에 바람의 신(神)인 영등신에게 우순풍조(雨順風調)를 빌어 풍년(豐年)과 풍어(豐漁)를 기원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
definition
매년 음력 이월 초하룻날에 바람의 신(神)인 영등신에게 우순풍조(雨順風調)를 빌어 풍년(豐年)과 풍어(豐漁)를 기원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
mp3Cnt
0
wkorname
이관호
정의매년 음력 이월 초하룻날에 바람의 신(神)인 영등신에게 우순풍조(雨順風調)를 빌어 풍년(豐年)과 풍어(豐漁)를 기원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
정의매년 음력 이월 초하룻날에 바람의 신(神)인 영등신에게 우순풍조(雨順風調)를 빌어 풍년(豐年)과 풍어(豐漁)를 기원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
내용영등은 비바람을 일으키는 여신(女神)이다. 보통 ‘영등할머니’ 또는 ‘이월 할매’라고도 한다. 영등신은 평상시에는 천계(天界)에 살고 있다가 음력 이월 초하룻날이 되면 비바람을 몰고 지상으로 내려와 활동한 뒤 음력 스무날에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고 한다. 따라서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를 가리켜 영등할머니를 맞아들이는 날이라 하여 ‘영등날’ 또는 ‘이월 할매 먹는 날’이라 하고, 이월 전체를 ‘영등달’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영등할머니는 딸 또는 며느리를 데리고 이월 초하룻날에 내려 왔다가 이월 초사흗날이나 이월 보름 또는 이월 스무날에 하늘로 올라간다고 각각 다르게 믿고 있다. 이처럼 영등신은 비바람을 일으키는 신이기 때문에 영등신을 위하는 ‘[영등제](/topic/영등제)’를 ‘[풍신제](/topic/풍신제)(風神祭)’, 영등할머니를 맞아들이는 의례를 ‘[영등맞이](/topic/영등맞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영등신은 대개 여성들에 의해 개인적으로 모셔진다. 해안지역 일부에서는 영등제를 [마을](/topic/마을)제사로 모시기도 하며 최근에는 영등제를 축제화 하는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제주도지역의 경우 바람의 신을 맞이하여 벌이는 새봄맞이 풍어굿인 ‘영등굿’을 치르기도 한다. 이러한 영등신앙에 대한 자료는 전국적으로 수집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영남지방과 제주도지방에서 주로 전승되고 있는 가정신앙이라 할 수 있다.

음력으로 이월 초가 되면 대개 품 안으로 파고든다는 꽃샘바람과 함께 꽃샘추위가 온다. 이는 바로 영등바람과 연결된다. 바람신인 영등할머니가 이월 초하룻날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 머무는 까닭에 봄답지 않게 꽃샘바람이 매섭게 불어닥치는 것이다. 그런데 영등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내려올 때에는 혼자 오지 않고 늘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온다. 이때 딸을 데리고 내려오면 예쁜 딸을 보호하기 위해서 맑은 날씨에 바람만 살살 나부껴 날씨가 좋지만 고부(姑婦)간의 갈등 관계에 있는 며느리를 데리고 내려오면 비바람이 몰아쳐 농가에 피해를 입힌다고 한다.

한편 바람이 불면 딸의 분홍[치마](/topic/치마)가 아름답게 보이고, 비바람이 사나운 날에는 며느리의 치마가 젖어서 흉하게 보인다고 한다. 여기서 며느리에 대한 시어머니의 심술과 딸에 대한 모정(母情)이라는 양면성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친정어머니와 딸은 뜻이 맞지만 며느리와 시어머니 사이는 불화와 갈등이 있음을 시대적 상황에 맞게 비유한 것으로 풀이된다. 즉 바람의 신인 영등할머니를 딸과 며느리라는 시대적 상황에 연결시킴으로써 농사와 어로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이른 초봄의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방편으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날씨가 불순하면 농작물이 피해를 보고 날씨가 순조로우면 풍작(豐作)을 이룬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영등할머니는 바람의 신으로서 동시에 농작의 풍흉과 관계되는 농신(農神)으로서의 성격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영등할머니가 지상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는 거센 바람이 일어 난파선(難破船)이 많이 생긴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어부들은 이 기간 동안에는 출어(出漁)를 삼가면서 집에서 쉰다. 이와 같이 영등할머니는 농신이자 풍신(風神)이어서 바람을 몰고 오기 때문에 농촌이나 어촌에서는 풍재(風災)를 면하기 위해 영등할머니와 그 며느리에게 풍신제(風神祭)를 올린다. 이를 ‘바람 올린다’고 한다. 특히 바람이 심한 제주도지역에서는 ‘영등제’를 지낸다. ‘영등할망’이라고 불리는 여신(女神)이 섬 주변의 해산물을 증식시켜 준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월 초하루 영등날에 바람이 불면 ‘바람영등’, 햇볕이 내리쪼이면 ‘불영등’,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면 ‘물영등’이라고 한다. 여기서 바람영등이 오면 그 해 바람이 많고, 불영등이 오면 가뭄이 들고, 물영등이 오면 비가 흔하여 풍년이 든다고 한다. 또한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오르는 날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들고, 조금 흐리면 길하다고 한다.

이월 초하루 영등날은 한 해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머슴](/topic/머슴)날’이기도 하다. 따라서 농사의 주체가 되는 머슴들을 위해 농사밥[일밥]을 해 먹거나 머슴들을 위한 ‘머슴장’이 서기도 한다. 모두 일 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의례이다. 이러한 이유에서인지 이월 초하루 영등날에는 날씨나 농사의 풍흉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 즉 영등할머니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깨끗한 [황토](/topic/황토)를 퍼와 [대문](/topic/대문) 앞에 뿌려 신성하게 해야 하며, 대나무에 오색헝겊을 달아 [사립문](/topic/사립문)에 매달아 부정한 사람이 집 안에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창문도 바르지 말아야 하며, 고운 옷을 입는 것도 삼가야 한다. 논밭 [갈이](/topic/갈이)는 물론 땅을 다루거나 쌀을 집 밖으로 내지도 않는다. 그리고 영등맞이 제수용 나락을 말릴 때 새가 그 나락을 쪼아 먹으면 즉석에서 죽을 정도로 영등할머니가 영험하다고 한다.

한편 영등신이 처음 내려오는 이월 초하루와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초사흘, 보름 또는 스무날에는 바람을 순조롭게 해 달라는 의미에서 [부엌](/topic/부엌)에 있는 [살강](/topic/살강)([찬장](/topic/찬장))에 대나무 [가지](/topic/가지)를 꽂고 음식을 장만하여 극진히 치성을 드린다. 이처럼 영등신에 대한 믿음과 의례는 매우 다양하다. 그 제의 과정을 영남지방의 ‘영등고사’와 제주도지역의 ‘영등굿’이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등고사는 지방에 따라 절차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광범위하게 신앙되고 있는 영남지방의 영등고사가 대표적이다. 이 지역에서는 영등고사를 지내기 전날인 정월 그믐날 대문에 황토를 뿌린 다음 왼새끼에 푸른 잎이 달린 대나무 가지를 매달아 [금줄](/topic/금줄)을 친다. 걸인이나 병자 또는 부정한 것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이어 이월 초하룻날 새벽에 첫닭이 울면 남들보다 일찍 [우물](/topic/우물)로 가서 깨끗한 물을 떠다가 [장독대](/topic/장독대)나 [뒷간](/topic/뒷간)에 [정화수](/topic/정화수)를 올린다. 아침이 되면 섬밥을 해서 볏가릿대에 가져다 놓고 안주인이 그해 농사의 풍요와 가정의 안녕을 빈다. 또 푸른 대나무 가지 세 개를 서로 교차한 다음 위에서 한 자쯤 되는 곳을 묶어 그곳에 색실, [오색천](/topic/오색천), [백지](/topic/백지)를 매단다. 그런 다음 그 위에 정화수를 떠 놓고 정성껏 빈다. 정화수는 10일, 15일, 20일 등 세 번을 새로 갈아 놓는다. 이러한 영등제는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올라가는 날 절정에 달한다.

한편 제주도지역에서는 음력 이월에 영등신에게 올리는 ‘영등굿’을 치른다. 마을의 수호신인 본향당신(本鄕堂神) 대신 영등신을 맞이하여 풍어를 기원하는 당굿이다. 이를 연등(煙燈)․영등(迎燈), 영등할망(영등할머니)이라고 부른다. 육지의 영등신앙이 대개 개인적인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다면, 제주도지역에서는 주로 바다에서 물질하는 해녀(잠녀)들을 중심으로 집단신앙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여기서 잠시 영등신의 성격을 살펴보면, 바람신인 영등신은 다른 신들과 달리 한때 잠시 왔다가 돌아가는 속성을 보인다. 이러한 속성은 육지나 제주도나 동일하다. 그러나 육지와 다른 점은 제주도지역의 경우 영등신의 성(性)이 여성이 아닌 남성으로 묘사되는 자료가 전해진다는 사실이다. 즉 제주도의 무가 에 따르면 영등은 원천군의 유대감댁 머슴이었다고 한다. 영등이 죽은 뒤 유대감이 가엾이 여겨 제사를 지내 주자 그 은혜를 갚기 위해 유대감 댁에 풍년이 들도록 해 주었다는 것이다. 이에 이후 유대감 댁 사람들은 영등의 혼을 신으로 모시고 음력 이월에 굿을 하여 덕을 빌었다고 한다. 따라서 제주도지역 역시 ‘영등하르방’ 또는 ‘영등대왕’으로 불리는 이 신을 농사의 신으로서 풍년과 해산물의 [수확](/topic/수확)을 도와준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지역 역시 육지와 마찬가지로 영등신을 여신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주의 영등신은 본래 ‘강남천자국’ 또는 ‘외눈박이섬[一目人島]’에 사는 신이다. 영등신은 이 나라에서 매년 음력 초하룻날 제주도를 찾아왔다가 이월 보름에 다시 본국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즉 영등신은 제주도 동쪽 끝에 있는 제주시 구좌읍 소섬[牛島]으로 정월 말일에 들어와서 해변의 보말(고동류)을 잡아먹은 다음 하루를 묵고 2월 초하룻날 한림의 수원당에서 제(祭)를 받는다. 그 후 섬을 돌아다니면서 미역, 전복, 소라 등 해녀들이 주로 채취하는 해산물의 씨를 바다에 뿌려 번식시켜 줌은 물론, 어업이나 [농업](/topic/농업)에도 풍요를 준 뒤 다시 성산과 소섬을 거쳐 본국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여기서 수원당에서 행한 영등하르방을 환영하던 ‘영등환영제’는 현재 소멸되었으나, 이월 열 이튿날부터 보름 사이에 행해지는 ‘영등송별굿’은 아직도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오늘날 제주도지역 영등굿은 마을에 따라 제의 절차가 다소 다르게 전승된다. 일반적으로 제주도지역에서 전승되는 영등굿의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굿하는 전날 잠수회, 부녀회 등 여성단체 간부들이 모여 떡을 만들고 제물을 준비한다. 제의 비용은 집집마다 추렴하거나 마을 기금으로 충당한다. 제사 당일 아침이 되면 제물을 가지고 당에 오른다. 이때 심방 5~6명도 무구를 준비하여 당으로 나온다. 이어 제단에는 준비해 간 제물을 진설한다. 메, [시루떡](/topic/시루떡), 도래떡, 생선, 야채류, 과일류, 계란, 술, 쌀, 실, 돈 등이 올려진다. 아울러 각 가정에서는 개인 축원용 제물을 마련하여 당으로 모인다. 오는 순서대로 공동 제물 앞에 개인 축원용 제물을 차려 놓는다.

제물 진설이 끝나면 그 당의 핵심 심방이 ‘수심방’이 되고, [소미](/topic/소미)[小巫] 세 명이 악기를 치면서 굿을 시작한다. 굿 순서는 먼저 신이 내려오는 길인 ‘[큰대](/topic/큰대)’를 제장에 세운다. 이어 모든 신을 초청하는 ‘초감제’가 이루어진다. 초감제에서는 신들이 즐겁게 잘 하강했는지를 점쳐 신의 뜻을 전달하고, 이어 이장 부인을 선두로 참가한 각 가정의 부녀자들이 차례로 배례(拜禮)하면서 복을 빈다. 초감제가 끝나면 제장 중앙에 6~8개의 대나무를 2열로 나란히 땅에 꽂아 요왕문[龍王門]을 만들어 놓고 바다를 관장하는 요왕[龍王]과 영등신을 맞아들여 ‘요왕맞이굿’을 진행한다.

요왕맞이가 끝나면 ‘씨드림’이라 하여 영등신이 해녀 채취물의 씨를 바다에 뿌려 주는 모의행위 과정이 진행된다. 이어 제장으로 돌아와 돗[자리](/topic/자리) 위에 좁씨를 뿌려 그 흩어진 밀도를 보아 해녀 채취물의 풍성함 여부를 점치는 ‘씨점’ 의례가 진행된다. 다음으로는 참가자들이 가지고 온 제물을 백지에 조금씩 싸서 바다에 던지는 ‘지아룀’ 과정이 진행된다. 요왕과 선왕(船王), 바다에서 죽은 영혼들을 위한 과정이다. 지아룀이 끝나면 제장에서 참가자들에게 각자 그해 일 년의 길흉을 점치는 ‘산받음’ 과정이 이어진다. 이어 영등신을 본국으로 보내는 절차인 ‘배방송’ 과정을 끝으로 영등굿의 모든 절차가 끝난다.

영등신과 관련된 금기 사항으로는 영등할망이 찾아온 기간에는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갈 수 없으며, 빨래를 해서도 안 된다. 빨래를 해서 풀을 먹이면 집에 구더기가 많아진다고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볼 때 제주도지역의 영등신은 풍신(風神)의 성격과 함께 내방신(來訪神)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의 신 영등에 대한 신앙은 육지와 섬 등 많은 지역에서 순조롭게 자연을 조절하여 풍요로움을 누리려는 기원으로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육지의 영등할머니 신앙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신앙되어 왔고, 그나마 영농기술의 발달로 점차 사라져 가고 있는 반면 제주도지역의 영등하르방은 아직까지 해마다 굿이라는 형식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항상 바다라는 위험 속에서 생활하는 제주도 잠녀들의 절실한 삶을 반영하는 동시에 공동작업에 길러진 공동체 의식과 경제적 능력이 뒷받침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내용영등은 비바람을 일으키는 여신(女神)이다. 보통 ‘영등할머니’ 또는 ‘이월 할매’라고도 한다. 영등신은 평상시에는 천계(天界)에 살고 있다가 음력 이월 초하룻날이 되면 비바람을 몰고 지상으로 내려와 활동한 뒤 음력 스무날에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고 한다. 따라서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를 가리켜 영등할머니를 맞아들이는 날이라 하여 ‘영등날’ 또는 ‘이월 할매 먹는 날’이라 하고, 이월 전체를 ‘영등달’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영등할머니는 딸 또는 며느리를 데리고 이월 초하룻날에 내려 왔다가 이월 초사흗날이나 이월 보름 또는 이월 스무날에 하늘로 올라간다고 각각 다르게 믿고 있다. 이처럼 영등신은 비바람을 일으키는 신이기 때문에 영등신을 위하는 ‘[영등제](/topic/영등제)’를 ‘[풍신제](/topic/풍신제)(風神祭)’, 영등할머니를 맞아들이는 의례를 ‘[영등맞이](/topic/영등맞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영등신은 대개 여성들에 의해 개인적으로 모셔진다. 해안지역 일부에서는 영등제를 [마을](/topic/마을)제사로 모시기도 하며 최근에는 영등제를 축제화 하는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제주도지역의 경우 바람의 신을 맞이하여 벌이는 새봄맞이 풍어굿인 ‘영등굿’을 치르기도 한다. 이러한 영등신앙에 대한 자료는 전국적으로 수집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영남지방과 제주도지방에서 주로 전승되고 있는 가정신앙이라 할 수 있다.

음력으로 이월 초가 되면 대개 품 안으로 파고든다는 꽃샘바람과 함께 꽃샘추위가 온다. 이는 바로 영등바람과 연결된다. 바람신인 영등할머니가 이월 초하룻날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 머무는 까닭에 봄답지 않게 꽃샘바람이 매섭게 불어닥치는 것이다. 그런데 영등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내려올 때에는 혼자 오지 않고 늘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온다. 이때 딸을 데리고 내려오면 예쁜 딸을 보호하기 위해서 맑은 날씨에 바람만 살살 나부껴 날씨가 좋지만 고부(姑婦)간의 갈등 관계에 있는 며느리를 데리고 내려오면 비바람이 몰아쳐 농가에 피해를 입힌다고 한다.

한편 바람이 불면 딸의 분홍[치마](/topic/치마)가 아름답게 보이고, 비바람이 사나운 날에는 며느리의 치마가 젖어서 흉하게 보인다고 한다. 여기서 며느리에 대한 시어머니의 심술과 딸에 대한 모정(母情)이라는 양면성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친정어머니와 딸은 뜻이 맞지만 며느리와 시어머니 사이는 불화와 갈등이 있음을 시대적 상황에 맞게 비유한 것으로 풀이된다. 즉 바람의 신인 영등할머니를 딸과 며느리라는 시대적 상황에 연결시킴으로써 농사와 어로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이른 초봄의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방편으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날씨가 불순하면 농작물이 피해를 보고 날씨가 순조로우면 풍작(豐作)을 이룬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영등할머니는 바람의 신으로서 동시에 농작의 풍흉과 관계되는 농신(農神)으로서의 성격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영등할머니가 지상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는 거센 바람이 일어 난파선(難破船)이 많이 생긴다고 한다. 이 때문에 어부들은 이 기간 동안에는 출어(出漁)를 삼가면서 집에서 쉰다. 이와 같이 영등할머니는 농신이자 풍신(風神)이어서 바람을 몰고 오기 때문에 농촌이나 어촌에서는 풍재(風災)를 면하기 위해 영등할머니와 그 며느리에게 풍신제(風神祭)를 올린다. 이를 ‘바람 올린다’고 한다. 특히 바람이 심한 제주도지역에서는 ‘영등제’를 지낸다. ‘영등할망’이라고 불리는 여신(女神)이 섬 주변의 해산물을 증식시켜 준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월 초하루 영등날에 바람이 불면 ‘바람영등’, 햇볕이 내리쪼이면 ‘불영등’,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면 ‘물영등’이라고 한다. 여기서 바람영등이 오면 그 해 바람이 많고, 불영등이 오면 가뭄이 들고, 물영등이 오면 비가 흔하여 풍년이 든다고 한다. 또한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오르는 날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들고, 조금 흐리면 길하다고 한다.

이월 초하루 영등날은 한 해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머슴](/topic/머슴)날’이기도 하다. 따라서 농사의 주체가 되는 머슴들을 위해 농사밥[일밥]을 해 먹거나 머슴들을 위한 ‘머슴장’이 서기도 한다. 모두 일 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의례이다. 이러한 이유에서인지 이월 초하루 영등날에는 날씨나 농사의 풍흉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 즉 영등할머니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깨끗한 [황토](/topic/황토)를 퍼와 [대문](/topic/대문) 앞에 뿌려 신성하게 해야 하며, 대나무에 오색헝겊을 달아 [사립문](/topic/사립문)에 매달아 부정한 사람이 집 안에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창문도 바르지 말아야 하며, 고운 옷을 입는 것도 삼가야 한다. 논밭 [갈이](/topic/갈이)는 물론 땅을 다루거나 쌀을 집 밖으로 내지도 않는다. 그리고 영등맞이 제수용 나락을 말릴 때 새가 그 나락을 쪼아 먹으면 즉석에서 죽을 정도로 영등할머니가 영험하다고 한다.

한편 영등신이 처음 내려오는 이월 초하루와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초사흘, 보름 또는 스무날에는 바람을 순조롭게 해 달라는 의미에서 [부엌](/topic/부엌)에 있는 [살강](/topic/살강)([찬장](/topic/찬장))에 대나무 [가지](/topic/가지)를 꽂고 음식을 장만하여 극진히 치성을 드린다. 이처럼 영등신에 대한 믿음과 의례는 매우 다양하다. 그 제의 과정을 영남지방의 ‘영등고사’와 제주도지역의 ‘영등굿’이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등고사는 지방에 따라 절차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광범위하게 신앙되고 있는 영남지방의 영등고사가 대표적이다. 이 지역에서는 영등고사를 지내기 전날인 정월 그믐날 대문에 황토를 뿌린 다음 왼새끼에 푸른 잎이 달린 대나무 가지를 매달아 [금줄](/topic/금줄)을 친다. 걸인이나 병자 또는 부정한 것이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이어 이월 초하룻날 새벽에 첫닭이 울면 남들보다 일찍 [우물](/topic/우물)로 가서 깨끗한 물을 떠다가 [장독대](/topic/장독대)나 [뒷간](/topic/뒷간)에 [정화수](/topic/정화수)를 올린다. 아침이 되면 섬밥을 해서 볏가릿대에 가져다 놓고 안주인이 그해 농사의 풍요와 가정의 안녕을 빈다. 또 푸른 대나무 가지 세 개를 서로 교차한 다음 위에서 한 자쯤 되는 곳을 묶어 그곳에 색실, [오색천](/topic/오색천), [백지](/topic/백지)를 매단다. 그런 다음 그 위에 정화수를 떠 놓고 정성껏 빈다. 정화수는 10일, 15일, 20일 등 세 번을 새로 갈아 놓는다. 이러한 영등제는 영등할머니가 하늘로 올라가는 날 절정에 달한다.

한편 제주도지역에서는 음력 이월에 영등신에게 올리는 ‘영등굿’을 치른다. 마을의 수호신인 본향당신(本鄕堂神) 대신 영등신을 맞이하여 풍어를 기원하는 당굿이다. 이를 연등(煙燈)․영등(迎燈), 영등할망(영등할머니)이라고 부른다. 육지의 영등신앙이 대개 개인적인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다면, 제주도지역에서는 주로 바다에서 물질하는 해녀(잠녀)들을 중심으로 집단신앙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여기서 잠시 영등신의 성격을 살펴보면, 바람신인 영등신은 다른 신들과 달리 한때 잠시 왔다가 돌아가는 속성을 보인다. 이러한 속성은 육지나 제주도나 동일하다. 그러나 육지와 다른 점은 제주도지역의 경우 영등신의 성(性)이 여성이 아닌 남성으로 묘사되는 자료가 전해진다는 사실이다. 즉 제주도의 무가 에 따르면 영등은 원천군의 유대감댁 머슴이었다고 한다. 영등이 죽은 뒤 유대감이 가엾이 여겨 제사를 지내 주자 그 은혜를 갚기 위해 유대감 댁에 풍년이 들도록 해 주었다는 것이다. 이에 이후 유대감 댁 사람들은 영등의 혼을 신으로 모시고 음력 이월에 굿을 하여 덕을 빌었다고 한다. 따라서 제주도지역 역시 ‘영등하르방’ 또는 ‘영등대왕’으로 불리는 이 신을 농사의 신으로서 풍년과 해산물의 [수확](/topic/수확)을 도와준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지역 역시 육지와 마찬가지로 영등신을 여신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주의 영등신은 본래 ‘강남천자국’ 또는 ‘외눈박이섬[一目人島]’에 사는 신이다. 영등신은 이 나라에서 매년 음력 초하룻날 제주도를 찾아왔다가 이월 보름에 다시 본국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즉 영등신은 제주도 동쪽 끝에 있는 제주시 구좌읍 소섬[牛島]으로 정월 말일에 들어와서 해변의 보말(고동류)을 잡아먹은 다음 하루를 묵고 2월 초하룻날 한림의 수원당에서 제(祭)를 받는다. 그 후 섬을 돌아다니면서 미역, 전복, 소라 등 해녀들이 주로 채취하는 해산물의 씨를 바다에 뿌려 번식시켜 줌은 물론, 어업이나 [농업](/topic/농업)에도 풍요를 준 뒤 다시 성산과 소섬을 거쳐 본국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여기서 수원당에서 행한 영등하르방을 환영하던 ‘영등환영제’는 현재 소멸되었으나, 이월 열 이튿날부터 보름 사이에 행해지는 ‘영등송별굿’은 아직도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오늘날 제주도지역 영등굿은 마을에 따라 제의 절차가 다소 다르게 전승된다. 일반적으로 제주도지역에서 전승되는 영등굿의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굿하는 전날 잠수회, 부녀회 등 여성단체 간부들이 모여 떡을 만들고 제물을 준비한다. 제의 비용은 집집마다 추렴하거나 마을 기금으로 충당한다. 제사 당일 아침이 되면 제물을 가지고 당에 오른다. 이때 심방 5~6명도 무구를 준비하여 당으로 나온다. 이어 제단에는 준비해 간 제물을 진설한다. 메, [시루떡](/topic/시루떡), 도래떡, 생선, 야채류, 과일류, 계란, 술, 쌀, 실, 돈 등이 올려진다. 아울러 각 가정에서는 개인 축원용 제물을 마련하여 당으로 모인다. 오는 순서대로 공동 제물 앞에 개인 축원용 제물을 차려 놓는다.

제물 진설이 끝나면 그 당의 핵심 심방이 ‘수심방’이 되고, [소미](/topic/소미)[小巫] 세 명이 악기를 치면서 굿을 시작한다. 굿 순서는 먼저 신이 내려오는 길인 ‘[큰대](/topic/큰대)’를 제장에 세운다. 이어 모든 신을 초청하는 ‘초감제’가 이루어진다. 초감제에서는 신들이 즐겁게 잘 하강했는지를 점쳐 신의 뜻을 전달하고, 이어 이장 부인을 선두로 참가한 각 가정의 부녀자들이 차례로 배례(拜禮)하면서 복을 빈다. 초감제가 끝나면 제장 중앙에 6~8개의 대나무를 2열로 나란히 땅에 꽂아 요왕문[龍王門]을 만들어 놓고 바다를 관장하는 요왕[龍王]과 영등신을 맞아들여 ‘요왕맞이굿’을 진행한다.

요왕맞이가 끝나면 ‘씨드림’이라 하여 영등신이 해녀 채취물의 씨를 바다에 뿌려 주는 모의행위 과정이 진행된다. 이어 제장으로 돌아와 돗[자리](/topic/자리) 위에 좁씨를 뿌려 그 흩어진 밀도를 보아 해녀 채취물의 풍성함 여부를 점치는 ‘씨점’ 의례가 진행된다. 다음으로는 참가자들이 가지고 온 제물을 백지에 조금씩 싸서 바다에 던지는 ‘지아룀’ 과정이 진행된다. 요왕과 선왕(船王), 바다에서 죽은 영혼들을 위한 과정이다. 지아룀이 끝나면 제장에서 참가자들에게 각자 그해 일 년의 길흉을 점치는 ‘산받음’ 과정이 이어진다. 이어 영등신을 본국으로 보내는 절차인 ‘배방송’ 과정을 끝으로 영등굿의 모든 절차가 끝난다.

영등신과 관련된 금기 사항으로는 영등할망이 찾아온 기간에는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갈 수 없으며, 빨래를 해서도 안 된다. 빨래를 해서 풀을 먹이면 집에 구더기가 많아진다고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볼 때 제주도지역의 영등신은 풍신(風神)의 성격과 함께 내방신(來訪神)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의 신 영등에 대한 신앙은 육지와 섬 등 많은 지역에서 순조롭게 자연을 조절하여 풍요로움을 누리려는 기원으로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육지의 영등할머니 신앙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신앙되어 왔고, 그나마 영농기술의 발달로 점차 사라져 가고 있는 반면 제주도지역의 영등하르방은 아직까지 해마다 굿이라는 형식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항상 바다라는 위험 속에서 생활하는 제주도 잠녀들의 절실한 삶을 반영하는 동시에 공동작업에 길러진 공동체 의식과 경제적 능력이 뒷받침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역사우리 사회에서 바람신을 섬기던 전통은 역사적으로 뿌리가 매우 깊다. [단군신화](/topic/단군신화)를 보면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올 때 우사(雨師), 운사(雲師), 풍백(風伯)을 거느리고 왔다고 하는 사실만 보더라도 일찍부터 농사의 필수조건인 우순풍조에 대한 염원이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 민속신앙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바로 2월 초하룻날에 지내는 영등고사가 그것이다.

영등고사에 대한 옛 기록은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와 『[동국여지승람](/topic/동국여지승람)(東國여地勝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동국세시기』 2월 조에 보면 “영남지방에서는 집집마다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풍속이 있다. 이를 ‘영등’이라고 한다. 영등신이 무당에게 내려 [마을](/topic/마을)을 돌아다니면 마을 사람들은 서로 앞을 다투어 영등신을 맞이하고 위한다.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부터는 사람 만나기를 꺼린다. 이렇게 하기를 [대보름](/topic/대보름) 또는 20일까지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이미 영등신은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널리 신앙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국여지승람』제주 풍속 조에 보면, “음력 2월 1일 제주 귀덕(歸德, 지금의 한림)과 김녕(金寧, 지금의 구좌읍) 등지에서는 목간(木竿) 12개를 세우고 신을 맞아 제사를 올렸으며, 제주 애월(涯月) 사람들은 떼[槎, 뗏목]를 말머리[馬頭]와 같이 만들어서 거기에 비단으로 곱게 꾸민 다음 ‘약마희(躍馬戲)’를 함으로써 신을 즐겁게 하였다. 이러한 행사는 2월 15일에 끝난다. 이를 ‘연등(煙燈)’이라 한다. 또 이달에는 승선(乘船)을 금(禁)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영등신에 대한 믿음은 역사가 아주 오래되었다. 오늘날처럼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내륙지역에서는 농경신(農耕神)으로서의 ‘영등고사’가,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해안지역에서는 ‘풍신(風神)’으로서의 ‘영등굿’이 널리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역사우리 사회에서 바람신을 섬기던 전통은 역사적으로 뿌리가 매우 깊다. [단군신화](/topic/단군신화)를 보면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올 때 우사(雨師), 운사(雲師), 풍백(風伯)을 거느리고 왔다고 하는 사실만 보더라도 일찍부터 농사의 필수조건인 우순풍조에 대한 염원이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 민속신앙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바로 2월 초하룻날에 지내는 영등고사가 그것이다.

영등고사에 대한 옛 기록은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와 『[동국여지승람](/topic/동국여지승람)(東國여地勝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동국세시기』 2월 조에 보면 “영남지방에서는 집집마다 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풍속이 있다. 이를 ‘영등’이라고 한다. 영등신이 무당에게 내려 [마을](/topic/마을)을 돌아다니면 마을 사람들은 서로 앞을 다투어 영등신을 맞이하고 위한다.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부터는 사람 만나기를 꺼린다. 이렇게 하기를 [대보름](/topic/대보름) 또는 20일까지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이미 영등신은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널리 신앙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국여지승람』제주 풍속 조에 보면, “음력 2월 1일 제주 귀덕(歸德, 지금의 한림)과 김녕(金寧, 지금의 구좌읍) 등지에서는 목간(木竿) 12개를 세우고 신을 맞아 제사를 올렸으며, 제주 애월(涯月) 사람들은 떼[槎, 뗏목]를 말머리[馬頭]와 같이 만들어서 거기에 비단으로 곱게 꾸민 다음 ‘약마희(躍馬戲)’를 함으로써 신을 즐겁게 하였다. 이러한 행사는 2월 15일에 끝난다. 이를 ‘연등(煙燈)’이라 한다. 또 이달에는 승선(乘船)을 금(禁)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영등신에 대한 믿음은 역사가 아주 오래되었다. 오늘날처럼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내륙지역에서는 농경신(農耕神)으로서의 ‘영등고사’가,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해안지역에서는 ‘풍신(風神)’으로서의 ‘영등굿’이 널리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례영등신은 전국적으로 모셔지는 [가신](/topic/가신)(家神)이지만 대개는 경상도와 제주도지역 등 남부지방에서 널리 신앙되고 있다. 영등신의 지역적 전승 양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 제주시 용담동과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등 해안지역에서는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에 영등신이 우도를 통해 들어왔다가 보름 동안 온 섬을 돌아다니다가 어패류와 해조류의 씨앗을 뿌려준 다음 다시 우도를 통해 본국으로 돌아간다. 이 신은 풍어를 주관하며 해녀들을 중심으로 한 공동제의인 영등굿이라는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송백리에서는 영등고사를 ‘영등할마씨’라고 한다. 영등할마씨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으로 풍년과 가내평안을 기원한다. 이월 초하룻날 영등할머니가 내려와 이월 열흘, 스무날, 그믐에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이 날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찰밥](/topic/찰밥)과 음식을 차려서 영등할매를 위한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바람떡’이라 하여 송편 모양의 떡을 만들고, 찰밥을 양푼에 푸거나 솥 째 정지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에 놓고 식구수대로 숟가락을 꽂는다. 영등할마씨는 욕심이 많아서 어떤 음식이든지 그릇째 갖다 놓아야 정성을 다한 것이라고 여긴다. 봉화군 명호면 양곡리에서는 ‘영등할매’라고 부른다. 이 마을 영등할매 역시 2월 초하룻날 하늘에서 지상으로 내려온다. 영등할매는 농사의 풍흉을 관장하는 신으로 비록 신체는 없지만 심술궂어서 각별히 정성을 다해 모셔야 탈이 없다고 여긴다. 영등할매를 모실 때에는 마을의 깨끗한 [우물](/topic/우물)물을 길어다가 정안수로 한 사발 떠서 [장독대](/topic/장독대)에 올려놓거나 정지 부뚜막에 올려놓는다.

이외에도 경상북도 다른 지역에서는 영등할매를 ‘영등고사’, ‘이월 할머니 모시기’, ‘영등 위하기’, ‘[영등제](/topic/영등제)’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농촌과 산촌에서는 떡, 밥, 나물 등 갖[가지](/topic/가지) 음식을 차려 놓고 영등할매(영등할머니)를 맞이한다. 떡으로는 취떡․백찜․망두떡 등을 만든다. 이들 떡을 짚단으로 묶어 만든 ‘떡오쟁이(거저리)’에 싸서 영등신에게 바친 뒤 간단히 [비손](/topic/비손)한다. 한편 어촌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부터 잡은 좋은 고기를 ‘까꾸지(까꾸리)’에 걸어두었다가 이월 초하룻날에 내려 찌개로 끓여 제를 지낸다. 이 고기를 ‘까꾸지’ 또는 ‘까꾸리’라고 하며 이를 영등신에게 바친다 하여 ‘영등 까꾸리’라고도 한다. 까꾸지로 제를 지낼 때에는 큰 그릇에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고, [섬떡](/topic/섬떡) 안에는 가족의 나이 수만큼 새알을 비벼 넣어 만든 ‘나이떡’을 올린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동계리나 고성군 하일면 수양리 등지에서는 바람신인 영등신을 “[영등맞이](/topic/영등맞이)” 또는 “이월(바람) 할맘네 모신다.”고 말한다. 영등을 ‘제석’이라고도 하는데, “비가 오면 며느리를 데리고 오고, 바람이 불면 딸을 데리고 온다.”고 한다. 영등은 ‘영두할매’ 또는 ‘이월 할만네’라 불리며, 이월 초하룻날 내려왔다가 이월 스무날에 다시 올라간다. 이러한 영등신은 이월 초열흘, 보름, 스무날에 각각 상층, 중층, 하층이 올라간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월 초하룻날 비가 내리면 그해 농사가 풍년든다고 생각한다.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에서는 영등신을 “이월할머니” 또는 “영등할머니”라고 부른다. 이월할머니는 매우 영험하지만, 잘 삐치는 신이므로 정성껏 모시지 않으면 집안에 탈이 난다고 여겼다. 따라서 2월 한 달 동안은 근신하여 집안 혹은 마을에 부정이 있는지 살핀다. 이월할머니 신체는 고사 지낼 무렵에 만든다. 생솔가지를 꺾어 와서 신체로 삼는데, 가지가 세 갈래로 난 것을 고른다. 그래야 바가지를 그 위에 안전하게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든 신체를 [부엌](/topic/부엌) 또는 장광에 꽂아 놓고 청수를 담은 바가지를 그 위에 얹어 놓는다. 이 때 생솔가지에는 오색 헝겊을 달아 놓기도 한다. 고사가 끝나면 사흘 또는 일주일 정도 지나서 생솔가지와 바가지를 모두 태운다.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에서는 이월 초하룻날 비가 오면 “비 영등 드린다.”고 하고 바람이 불면 “바람 영등 드린다”고 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메를 짓고 [보리](/topic/보리) 뿌리를 캐어 정지(부엌)에 있는 [찬장](/topic/찬장)에 놓은 다음 [오색천](/topic/오색천)을 대나무에 꽂아 놓고 영등제를 지낸다. 한편 이 마을에서는 영등달을 “[제석달](/topic/제석달)”이라고도 한다. 2월 초하루가 되면 집집마다 부엌이나 밭에 나가 콩을 볶아 먹는다. 이는 곡식을 뜯어먹어 농사를 [망치](/topic/망치)는 벌레를 미리 예방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행하였다. 이처럼 전북지역에서는 영등할머니를 ‘영등할망이’, ‘영동할멈’, ‘영등할마니’ 등으로도 부른다. 남원에서는 영등할머니가 초하룻날 내려왔다가 이월 초나흘, 초아흐레, 열나흗날에 올라가고 날 마지막으로 올라간다고 믿고 있다. 한편 진안에서는 보름과 스무날 사이에 올라간다고 믿어 이월 초하루나 초사흘에 제를 시작하여 보름에서 스무날까지 모신다.

강원도 평창지역에서는 이월 초하루를 ‘풍신날’이라고 한다. 바람신인 ‘풍신’이 하늘에서 내려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월 그믐날 저녁에 초가[지붕](/topic/지붕) 용[마루](/topic/마루) 꼭대기에다 세모꼴의 끝이 뾰족한 청기(靑旗)를 만들어 꽂아 둔 다음, 이튿날인 이월 초하룻날 아침에 [풍신제](/topic/풍신제)를 지낸다. 또한 이월 초하루에 풍신이 온다고 해서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 장독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이후 풍신이 올라가는 날까지 매일 물을 새로 떠 놓는다.

충청남도 연기지역에서는 이월에 좋은 날을 정해서 이월 영동할머니를 위한다. 쌀을 깨끗하게 마련하여 집에서 [절구](/topic/절구)로 찧어서 떡을 한다. 백[무리](/topic/무리)(백설기)를 쪄서 장광에 놓고 집안이 편안하기를 빈다. 이를 ‘영동할매 올린다.’고 한다. 이월에 바람이 불면 영동할매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기리는 것이다.
참고문헌제주도의 영등굿 (현용준, 한국민속학 1, 1969)
한국의 풍속-상 (문화재관리국, 197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도 (문화재관리국, 1977)
躍馬戲考 (현용준, 1980)
한국민속대관 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1)
한국민속대관 3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편, 1982)
전남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전라남도, 1988)
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1․2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영등제](/topic/영등제)의 전승과 축제화 (나승만, 비교민속학 13, 비교민속학회, 1996)
제주도의 영등굿 (문무병, 비교민속학 13, 비교민속학회, 1996)
東國歲時記, 東國與地勝覽, 경기도 민속지Ⅰ-개관 (경기도박물관, 1998)
경기도 민속지Ⅱ-신앙 (경기도박물관, 1999)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2008)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전라남도 외, 2002)
한국세시풍속사전-봄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의 가정신앙-상․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영등신앙의 제의적 특징과 생태학적 해석 (김재호, 실천민속학 10, 실천민속학회, 2007)
지역사례영등신은 전국적으로 모셔지는 [가신](/topic/가신)(家神)이지만 대개는 경상도와 제주도지역 등 남부지방에서 널리 신앙되고 있다. 영등신의 지역적 전승 양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 제주시 용담동과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등 해안지역에서는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에 영등신이 우도를 통해 들어왔다가 보름 동안 온 섬을 돌아다니다가 어패류와 해조류의 씨앗을 뿌려준 다음 다시 우도를 통해 본국으로 돌아간다. 이 신은 풍어를 주관하며 해녀들을 중심으로 한 공동제의인 영등굿이라는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송백리에서는 영등고사를 ‘영등할마씨’라고 한다. 영등할마씨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으로 풍년과 가내평안을 기원한다. 이월 초하룻날 영등할머니가 내려와 이월 열흘, 스무날, 그믐에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 이 날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찰밥](/topic/찰밥)과 음식을 차려서 영등할매를 위한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바람떡’이라 하여 송편 모양의 떡을 만들고, 찰밥을 양푼에 푸거나 솥 째 정지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에 놓고 식구수대로 숟가락을 꽂는다. 영등할마씨는 욕심이 많아서 어떤 음식이든지 그릇째 갖다 놓아야 정성을 다한 것이라고 여긴다. 봉화군 명호면 양곡리에서는 ‘영등할매’라고 부른다. 이 마을 영등할매 역시 2월 초하룻날 하늘에서 지상으로 내려온다. 영등할매는 농사의 풍흉을 관장하는 신으로 비록 신체는 없지만 심술궂어서 각별히 정성을 다해 모셔야 탈이 없다고 여긴다. 영등할매를 모실 때에는 마을의 깨끗한 [우물](/topic/우물)물을 길어다가 정안수로 한 사발 떠서 [장독대](/topic/장독대)에 올려놓거나 정지 부뚜막에 올려놓는다.

이외에도 경상북도 다른 지역에서는 영등할매를 ‘영등고사’, ‘이월 할머니 모시기’, ‘영등 위하기’, ‘[영등제](/topic/영등제)’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농촌과 산촌에서는 떡, 밥, 나물 등 갖[가지](/topic/가지) 음식을 차려 놓고 영등할매(영등할머니)를 맞이한다. 떡으로는 취떡․백찜․망두떡 등을 만든다. 이들 떡을 짚단으로 묶어 만든 ‘떡오쟁이(거저리)’에 싸서 영등신에게 바친 뒤 간단히 [비손](/topic/비손)한다. 한편 어촌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부터 잡은 좋은 고기를 ‘까꾸지(까꾸리)’에 걸어두었다가 이월 초하룻날에 내려 찌개로 끓여 제를 지낸다. 이 고기를 ‘까꾸지’ 또는 ‘까꾸리’라고 하며 이를 영등신에게 바친다 하여 ‘영등 까꾸리’라고도 한다. 까꾸지로 제를 지낼 때에는 큰 그릇에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고, [섬떡](/topic/섬떡) 안에는 가족의 나이 수만큼 새알을 비벼 넣어 만든 ‘나이떡’을 올린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동계리나 고성군 하일면 수양리 등지에서는 바람신인 영등신을 “[영등맞이](/topic/영등맞이)” 또는 “이월(바람) 할맘네 모신다.”고 말한다. 영등을 ‘제석’이라고도 하는데, “비가 오면 며느리를 데리고 오고, 바람이 불면 딸을 데리고 온다.”고 한다. 영등은 ‘영두할매’ 또는 ‘이월 할만네’라 불리며, 이월 초하룻날 내려왔다가 이월 스무날에 다시 올라간다. 이러한 영등신은 이월 초열흘, 보름, 스무날에 각각 상층, 중층, 하층이 올라간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월 초하룻날 비가 내리면 그해 농사가 풍년든다고 생각한다.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에서는 영등신을 “이월할머니” 또는 “영등할머니”라고 부른다. 이월할머니는 매우 영험하지만, 잘 삐치는 신이므로 정성껏 모시지 않으면 집안에 탈이 난다고 여겼다. 따라서 2월 한 달 동안은 근신하여 집안 혹은 마을에 부정이 있는지 살핀다. 이월할머니 신체는 고사 지낼 무렵에 만든다. 생솔가지를 꺾어 와서 신체로 삼는데, 가지가 세 갈래로 난 것을 고른다. 그래야 바가지를 그 위에 안전하게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든 신체를 [부엌](/topic/부엌) 또는 장광에 꽂아 놓고 청수를 담은 바가지를 그 위에 얹어 놓는다. 이 때 생솔가지에는 오색 헝겊을 달아 놓기도 한다. 고사가 끝나면 사흘 또는 일주일 정도 지나서 생솔가지와 바가지를 모두 태운다.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에서는 이월 초하룻날 비가 오면 “비 영등 드린다.”고 하고 바람이 불면 “바람 영등 드린다”고 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메를 짓고 [보리](/topic/보리) 뿌리를 캐어 정지(부엌)에 있는 [찬장](/topic/찬장)에 놓은 다음 [오색천](/topic/오색천)을 대나무에 꽂아 놓고 영등제를 지낸다. 한편 이 마을에서는 영등달을 “[제석달](/topic/제석달)”이라고도 한다. 2월 초하루가 되면 집집마다 부엌이나 밭에 나가 콩을 볶아 먹는다. 이는 곡식을 뜯어먹어 농사를 [망치](/topic/망치)는 벌레를 미리 예방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행하였다. 이처럼 전북지역에서는 영등할머니를 ‘영등할망이’, ‘영동할멈’, ‘영등할마니’ 등으로도 부른다. 남원에서는 영등할머니가 초하룻날 내려왔다가 이월 초나흘, 초아흐레, 열나흗날에 올라가고 날 마지막으로 올라간다고 믿고 있다. 한편 진안에서는 보름과 스무날 사이에 올라간다고 믿어 이월 초하루나 초사흘에 제를 시작하여 보름에서 스무날까지 모신다.

강원도 평창지역에서는 이월 초하루를 ‘풍신날’이라고 한다. 바람신인 ‘풍신’이 하늘에서 내려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월 그믐날 저녁에 초가[지붕](/topic/지붕) 용[마루](/topic/마루) 꼭대기에다 세모꼴의 끝이 뾰족한 청기(靑旗)를 만들어 꽂아 둔 다음, 이튿날인 이월 초하룻날 아침에 [풍신제](/topic/풍신제)를 지낸다. 또한 이월 초하루에 풍신이 온다고 해서 [정화수](/topic/정화수)를 떠 장독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이후 풍신이 올라가는 날까지 매일 물을 새로 떠 놓는다.

충청남도 연기지역에서는 이월에 좋은 날을 정해서 이월 영동할머니를 위한다. 쌀을 깨끗하게 마련하여 집에서 [절구](/topic/절구)로 찧어서 떡을 한다. 백[무리](/topic/무리)(백설기)를 쪄서 장광에 놓고 집안이 편안하기를 빈다. 이를 ‘영동할매 올린다.’고 한다. 이월에 바람이 불면 영동할매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기리는 것이다.
참고문헌제주도의 영등굿 (현용준, 한국민속학 1, 1969)
한국의 풍속-상 (문화재관리국, 197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도 (문화재관리국, 1977)
躍馬戲考 (현용준, 1980)
한국민속대관 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1)
한국민속대관 3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편, 1982)
전남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전라남도, 1988)
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1․2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영등제](/topic/영등제)의 전승과 축제화 (나승만, 비교민속학 13, 비교민속학회, 1996)
제주도의 영등굿 (문무병, 비교민속학 13, 비교민속학회, 1996)
東國歲時記, 東國與地勝覽, 경기도 민속지Ⅰ-개관 (경기도박물관, 1998)
경기도 민속지Ⅱ-신앙 (경기도박물관, 1999)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2008)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전라남도 외, 2002)
한국세시풍속사전-봄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의 가정신앙-상․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영등신앙의 제의적 특징과 생태학적 해석 (김재호, 실천민속학 10, 실천민속학회, 2007)
[[Yeongdeung](/topic/WindGod)](/topic/Yeongdeung)gosa is a ritual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to pray to the wind goddess Yeongdeung for timely rain and steady wind for a good harvest and a big catch.

The ritual is also called yeongdeungje or pungsinje, and the ritual for greeting the goddess Grandmother Yeongdeung is called yeongdeungmaji. Yeongdeung is generally worshipped privately by women, but also as a village deity in some coastal regions, and is also called Iwolhalmae (Second Month Grandmother).

Records about this ritual are found in books from Joseon dynasty –[[Dongguksesigi](/topic/ARecordoftheSeasonalCustomsoftheEasternKingdom)](/topic/Dongguksesigi) (A Record of the Seasonal Customs of the Eastern Kingdom) and Donggukyeojiseungnam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the Eastern Kingdom). While Yeongdeung worship is observed around the country, it is now preserved mainly on Jeju Island an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preparation for the ritual, preventive measures to keep away impurities are taken the day before, on the la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by sprinkling a layer of red clay (hwangto) and hanging a taboo rope (geumjul) made of left-hand lay rope and fresh bamboo branches with green leaves. When the first rooster crows at the break of dawn, fresh water is fetched from the well (jeonghwasu) and offered to the goddess in a bowl placed out on the sauce jar terrace or in the outhouse. The water is changed three times, on the tenth, fifteenth and twentieth day. In the morning, sacrificial foods are prepared and hung on the rice stalk pole (byeotgaritdae), and the woman of the house offers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peace in the family.
每年阴历二月一日,为向灵登神(音)祈祷风调雨顺及农业渔业兴旺而举行的祭祀。

为灵登神举行的“[灵登祭](/topic/灵登祭)”亦称“风神祭”,迎灵登婆婆的祭仪又称“迎灵登”。灵登神一般由女人们进行私人敬奉,不过也有一些沿海地区通过村庄祭祀来敬奉。作为呼风唤雨的女神,灵登一般被称为“灵登婆婆”或“二月婆婆”。

关于“灵登[告祀](/topic/告祀)”的记录在《[东国岁时记](/topic/东国岁时记)》及《东国舆地胜览》中有载。虽然全国都有关于灵登信仰的记载,但总体而言,灵登信仰主要流传于庆尚道地区和济州地区。

在举行灵登告祀的前一天,即正月最后一天,为了防止[不净](/topic/不净)进入,撒上[黄土](/topic/黄土),并将带有绿叶的竹枝系到反搓草绳上,将其作为[禁绳](/topic/禁绳)拉好。[二月初一](/topic/二月初一)当天,凌晨第一声鸡鸣时,从井里打上干净的水,即[井华水](/topic/井华水),置于酱缸台或茅厕。该井华水此后十日,十五日,二十日更换三次新水。到了早上,备好灵登婆婆饭,将其放于禾竿处,然后女主人祈祷一年五谷丰登,家庭平安。
[[Yeongdeung](/topic/DiosdelViento)](/topic/Yeongdeung)gosa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un ritual que se realiza en el primer día del segundo mes del calendario lunar a fin de rezar por las lluvias y el viento constante para buenas cosechas y abundantes pescas a la diosa del viento, Yeongdeung.

El ritual se llama también yeongdeungje o pungsinje, y el ritual para saludar a la diosa abuela Yeongdeung se denomina como yeongdeungmaji. En general, Yeongdeung es el objeto de adoración por parte de las mujeres, peor se considera como una deidad del pueblo en algunas regiones costeras, por lo tanto tiene varios nombres como Iwolhalmae, que significa “abuela del segundo mes”.

Los registros respecto al ritual se encuentran en los libros escritos en la dinastía Joseon como y . Mientras el culto a Yeongewung se observa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actualmente se conserva en gran medida en la isla de Jeju-do y la provincia de Yeongsangnam-do.

Como la preparación del ritual, toman las medidas preventivas para mantener las impurezas fuera del ritual el día anterior del ritual, en el último día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salpicando el hwangto, arena amarilla y extendiendo el geumjul, cuerda de paja trenzada hacia la izquierda con ramas de bambú con hojas verdes. Cuando canta el gallo en la mañana, ofrendan el agua fresca del pozo llamada jeonghwasu, a la diosa del viento en un cuenco colocado en el espacio de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jarras de barro que contienen salsas. El agua puede sustituirse tres veces, el 10, 15, 20 de febrero del calendario lunar. En la mañana, la comida sacrificial se prepara al lado del poste de tallo de arroz llamado byeotgaritdae y la mujer de la casa reza por la buena cosecha y la paz en la familia.
[[Yeongdeung](/topic/WindGod)](/topic/Yeongdeung)gosa is a ritual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to pray to the wind goddess Yeongdeung for timely rain and steady wind for a good harvest and a big catch.

The ritual is also called yeongdeungje or pungsinje, and the ritual for greeting the goddess Grandmother Yeongdeung is called yeongdeungmaji. Yeongdeung is generally worshipped privately by women, but also as a village deity in some coastal regions, and is also called Iwolhalmae (Second Month Grandmother).

Records about this ritual are found in books from Joseon dynasty –[[Dongguksesigi](/topic/ARecordoftheSeasonalCustomsoftheEasternKingdom)](/topic/Dongguksesigi) (A Record of the Seasonal Customs of the Eastern Kingdom) and Donggukyeojiseungnam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the Eastern Kingdom). While Yeongdeung worship is observed around the country, it is now preserved mainly on Jeju Island an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preparation for the ritual, preventive measures to keep away impurities are taken the day before, on the la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by sprinkling a layer of red clay (hwangto) and hanging a taboo rope (geumjul) made of left-hand lay rope and fresh bamboo branches with green leaves. When the first rooster crows at the break of dawn, fresh water is fetched from the well (jeonghwasu) and offered to the goddess in a bowl placed out on the sauce jar terrace or in the outhouse. The water is changed three times, on the tenth, fifteenth and twentieth day. In the morning, sacrificial foods are prepared and hung on the rice stalk pole (byeotgaritdae), and the woman of the house offers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peace in the family.
每年阴历二月一日,为向灵登神(音)祈祷风调雨顺及农业渔业兴旺而举行的祭祀。

为灵登神举行的“[灵登祭](/topic/灵登祭)”亦称“风神祭”,迎灵登婆婆的祭仪又称“迎灵登”。灵登神一般由女人们进行私人敬奉,不过也有一些沿海地区通过村庄祭祀来敬奉。作为呼风唤雨的女神,灵登一般被称为“灵登婆婆”或“二月婆婆”。

关于“灵登[告祀](/topic/告祀)”的记录在《[东国岁时记](/topic/东国岁时记)》及《东国舆地胜览》中有载。虽然全国都有关于灵登信仰的记载,但总体而言,灵登信仰主要流传于庆尚道地区和济州地区。

在举行灵登告祀的前一天,即正月最后一天,为了防止[不净](/topic/不净)进入,撒上[黄土](/topic/黄土),并将带有绿叶的竹枝系到反搓草绳上,将其作为[禁绳](/topic/禁绳)拉好。[二月初一](/topic/二月初一)当天,凌晨第一声鸡鸣时,从井里打上干净的水,即[井华水](/topic/井华水),置于酱缸台或茅厕。该井华水此后十日,十五日,二十日更换三次新水。到了早上,备好灵登婆婆饭,将其放于禾竿处,然后女主人祈祷一年五谷丰登,家庭平安。
[[Yeongdeung](/topic/DiosdelViento)](/topic/Yeongdeung)gosa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un ritual que se realiza en el primer día del segundo mes del calendario lunar a fin de rezar por las lluvias y el viento constante para buenas cosechas y abundantes pescas a la diosa del viento, Yeongdeung.

El ritual se llama también yeongdeungje o pungsinje, y el ritual para saludar a la diosa abuela Yeongdeung se denomina como yeongdeungmaji. En general, Yeongdeung es el objeto de adoración por parte de las mujeres, peor se considera como una deidad del pueblo en algunas regiones costeras, por lo tanto tiene varios nombres como Iwolhalmae, que significa “abuela del segundo mes”.

Los registros respecto al ritual se encuentran en los libros escritos en la dinastía Joseon como y . Mientras el culto a Yeongewung se observa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actualmente se conserva en gran medida en la isla de Jeju-do y la provincia de Yeongsangnam-do.

Como la preparación del ritual, toman las medidas preventivas para mantener las impurezas fuera del ritual el día anterior del ritual, en el último día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salpicando el hwangto, arena amarilla y extendiendo el geumjul, cuerda de paja trenzada hacia la izquierda con ramas de bambú con hojas verdes. Cuando canta el gallo en la mañana, ofrendan el agua fresca del pozo llamada jeonghwasu, a la diosa del viento en un cuenco colocado en el espacio de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jarras de barro que contienen salsas. El agua puede sustituirse tres veces, el 10, 15, 20 de febrero del calendario lunar. En la mañana, la comida sacrificial se prepara al lado del poste de tallo de arroz llamado byeotgaritdae y la mujer de la casa reza por la buena cosecha y la paz en la familia.
향토문화전자대전(이경엽, http:
문화재관리국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정병호 외1983
국립민속박물관진도무속현지조사1987
화산문화진도씻김굿황루시2001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권달용 댁에서 부인이 영등고사를 지내면서 비손을 함
13680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권달용 댁에서 부인이 영등고사를 지내면서 비손을 함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13700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13699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설광 아래 진설된 음식들
13698
이월초하루(할망날)-설광 아래 진설된 음식들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13697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13696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이월초하루(할망날)-동쪽을 향해 절을 한다
13695
이월초하루(할망날)-동쪽을 향해 절을 한다
이월초하루(할망날)-밥에 숟가락(8개)을 꽂는 모습
13694
이월초하루(할망날)-밥에 숟가락(8개)을 꽂는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13693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13692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권달용 댁에서 부인이 영등고사를 지내면서 비손을 함
13680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권달용 댁에서 부인이 영등고사를 지내면서 비손을 함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13700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13699
이월초하루(할망날)-안방에 상을 차려 놓은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설광 아래 진설된 음식들
13698
이월초하루(할망날)-설광 아래 진설된 음식들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13697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13696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에 불을 붙이고 기원하는 김옥단 씨
이월초하루(할망날)-동쪽을 향해 절을 한다
13695
이월초하루(할망날)-동쪽을 향해 절을 한다
이월초하루(할망날)-밥에 숟가락(8개)을 꽂는 모습
13694
이월초하루(할망날)-밥에 숟가락(8개)을 꽂는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13693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13692
이월초하루(할망날)-소지종이를 싱크대 손잡이에 매는 모습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