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산신제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고대사회의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이어져 온 것으로, 오늘날 지역민의 안녕과 평화를 도모하는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definition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고대사회의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이어져 온 것으로, 오늘날 지역민의 안녕과 평화를 도모하는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mp3Cnt
0
wkorname
양종승
정의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고대사회의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이어져 온 것으로, 오늘날 지역민의 안녕과 평화를 도모하는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정의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고대사회의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이어져 온 것으로, 오늘날 지역민의 안녕과 평화를 도모하는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为[山神](/topic/山神)举行的祭仪。

韩国国土的70% 是山地:包括韩国第一高山[白头山](/topic/白头山)(2744 米)在内的大大小小的山不计其数。这种山岳地形条件及环境对韩国人的生活一直产生着直接和间接的影响。因此山也就作为一种起源,自然而然地渗透了韩国历史和文化底蕴。《[三国遗事](/topic/三国遗事)》的记载也证明了这一点:据载,桓因的儿子桓雄率队伍下凡之地就是太白山;立国治天下的[檀君](/topic/檀君)王俭成为山神。

山岳信仰通过现称山神祭的民间祭仪流传而来。山神祭是祈求百姓和平安康,国家年年太平丰收的一个祭仪,旨在由此将人间凡事告知天庭,祈盼和神沟通,达成心愿。即人类以山为载体与上天沟通,祈祷与神交流,愿望实现。山神祭渊源于祭天仪式。古代祭天仪式的规模很大,而到了现代,山神祭的规模缩小至以地域或村庄为单位,意义与最初相比也发生了变化,意在保佑地区居民安康。继承山神祭传统的山主人——山神被称为山神灵,山神爷等。人们还将山的名字加上,比如叫太白山山神灵,智异山山神灵等。在这些山神当中,国家统治者过世后被神化成山主人的例子很多。他们被推崇成守护神:大到守护国家,小到守护村庄。一般山神祭由从居民中选出的[祭官](/topic/祭官)主持,按照儒家形式举行。先向山神敬献酒,后行跪拜礼,之后读[祭文](/topic/祭文),最后[再行](/topic/再行)跪拜礼。居民们把剩下的供品带回来摆村宴,一起分享。
참조산신
참고문헌산과 산신령 (앙종승, 민속소식 85, 국립민속박물관, 2002)
죽령산신당 당신화 [다자구할머니](/topic/다자구할머니)와 죽령산신제 (최운식, 한국민속학 39, 한국민속학회, 2004)
부여저석리 산신제 (부여문화원, 2007)
Sansinje es un ritual para honrar al dios de la montaña, [Sansin](/topic/DiosdelaMontaña).

Corea es un país montañoso con el 70 por ciento de la superficie terrestre que está compuesta por montañas altas y bajas incluyendo la montaña más alta de Corea, el monte de [[Baekdusan](/topic/MonteDeBaekdusan)](/topic/Baekdusan) de 2.744 metros. Esta condición geográfica ha tenido tremenda influencia en la vida cotidiana de los coreanos por lo que la historia y la cultura de Corea tiene sus orígenes en las montañas. Según la Memorabilia de los Tres Reinos, 〈Samgukyusa〉, el monte de Baekdusan era donde Hwanung, el hijo del Dios celeste llamado Hwanin descendió y luego, su hijo, [[Dangun](/sp/topic/detail/1913)](/topic/Dangun) fundó el primer reino de la península coreana y se convirtió en el dios de la montaña, Sansin.

El culto a la montaña ha pasado a ser el ritual conocido como sansinje. El sansinje es una buena oportunidad para pedir la paz y la seguridad en la comunidad, así como la estabilidad y la buena cosecha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El ritual tiene por objetivo comunicarse con los dioses celestes respecto a los asuntos del mundo de los humanos a través de la montaña que sirve de enlace entre el cielo y la tierra con el fin de construir un canal que se podría usar para transmitir oraciones a los dioses. Esta tradición tiene raíces en los rituales antiguos de la veneración al cielo que se realizaban en gran medida por el gobierno, aun así, en tiempos contemporáneos, el sansinje se ha convertido en los rituales comunitarios locales que se enfocan en la protección y el bienestar del pueblo. El dios de la montaña, Sansin que es tanto el soberano como el dueño de la montaña, se llama también como Sansilyeong o Sansinharabeoji. Su nombre alterna con los de Taebaeksansansilyeong o Jirisansansilyeong. Muchos dioses de la montaña eran soberanos deificados después de su muerte como deidades tutelares del estado o del pueblo. El sansinje se lleva a cabo por oficiantes rituales que se llaman jegwan que han sido seleccionados entre los aldeanos cuyos procedimientos siguen la formalidad de ritos confucianos. El ritual se inicia con la libación y la reverencia humilde y se finaliza con la recitación de chungmun que significa “mensaje de oraciones” y la reverencia profunda. Al terminar el ritual, llevan la comida sacrificial a la aldea para compartirla con todos los aldeanos durante la celebración de un banquete comunitario.
Sansinje is a ritual for worshipping the mountain god.

Korea is a mountainous country, with 70 percent of its land covered by mountains large and small, including Mt. Baekdu, the tallest at 2, 744 meters. This geographical condition has had tremendous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whose history and culture have their origins in the mountains. According to the book Samgung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topic/MemorabiliaoftheThreeKingdoms), Mt. Taebaek was where Hwanung, the son of Hwanin, the God of the Heavens, descended, and his son [Dangun](/en/topic/detail/1913), after founding the first Korean kingdom and ruling its people, became Sansin (Mountain God).

Mountain worship has been passed down in the form of the civilian ritual sansinje, a ritual for praying for the peace and safety of the community and stability and good harvest across the country. The ritual aims at communicating to the heavens the affairs of the human world, the mountain serving as the medium between the two worlds to build a channel for delivering prayers to the gods. The tradition is rooted in ancient sky worship rituals that were large-scale and state-organized, but in contemporary times sansinje has been reduced to local communal rituals that focus on the protection and well-being of the village.

Sansin (Mountain God) is the ruler and owner of the mountain, also called Sansillyeong (Mountain Spirit) and Sansinharabeoji (Mountain Grandfather), often with the name of its residing mountain preceding the title. Many mountain gods were rulers deified upon death as guardians of the state or the village.

Sansinje procedures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and are carried out by ritual officials (jegwan) who have been selected among villagers: Libation is followed by bowing; the prayer message (chungmun) is read, followed by a final round of bowing; and the sacrificial foods from the ritual table are brought back to the village for a communal feast.
为[山神](/topic/山神)举行的祭仪。

韩国国土的70% 是山地:包括韩国第一高山[白头山](/topic/白头山)(2744 米)在内的大大小小的山不计其数。这种山岳地形条件及环境对韩国人的生活一直产生着直接和间接的影响。因此山也就作为一种起源,自然而然地渗透了韩国历史和文化底蕴。《[三国遗事](/topic/三国遗事)》的记载也证明了这一点:据载,桓因的儿子桓雄率队伍下凡之地就是太白山;立国治天下的[檀君](/topic/檀君)王俭成为山神。

山岳信仰通过现称山神祭的民间祭仪流传而来。山神祭是祈求百姓和平安康,国家年年太平丰收的一个祭仪,旨在由此将人间凡事告知天庭,祈盼和神沟通,达成心愿。即人类以山为载体与上天沟通,祈祷与神交流,愿望实现。山神祭渊源于祭天仪式。古代祭天仪式的规模很大,而到了现代,山神祭的规模缩小至以地域或村庄为单位,意义与最初相比也发生了变化,意在保佑地区居民安康。继承山神祭传统的山主人——山神被称为山神灵,山神爷等。人们还将山的名字加上,比如叫太白山山神灵,智异山山神灵等。在这些山神当中,国家统治者过世后被神化成山主人的例子很多。他们被推崇成守护神:大到守护国家,小到守护村庄。一般山神祭由从居民中选出的[祭官](/topic/祭官)主持,按照儒家形式举行。先向山神敬献酒,后行跪拜礼,之后读[祭文](/topic/祭文),最后[再行](/topic/再行)跪拜礼。居民们把剩下的供品带回来摆村宴,一起分享。
참조산신
참고문헌산과 산신령 (앙종승, 민속소식 85, 국립민속박물관, 2002)
죽령산신당 당신화 [다자구할머니](/topic/다자구할머니)와 죽령산신제 (최운식, 한국민속학 39, 한국민속학회, 2004)
부여저석리 산신제 (부여문화원, 2007)
Sansinje es un ritual para honrar al dios de la montaña, [Sansin](/topic/DiosdelaMontaña).

Corea es un país montañoso con el 70 por ciento de la superficie terrestre que está compuesta por montañas altas y bajas incluyendo la montaña más alta de Corea, el monte de [[Baekdusan](/topic/MonteDeBaekdusan)](/topic/Baekdusan) de 2.744 metros. Esta condición geográfica ha tenido tremenda influencia en la vida cotidiana de los coreanos por lo que la historia y la cultura de Corea tiene sus orígenes en las montañas. Según la Memorabilia de los Tres Reinos, 〈Samgukyusa〉, el monte de Baekdusan era donde Hwanung, el hijo del Dios celeste llamado Hwanin descendió y luego, su hijo, [[Dangun](/sp/topic/detail/1913)](/topic/Dangun) fundó el primer reino de la península coreana y se convirtió en el dios de la montaña, Sansin.

El culto a la montaña ha pasado a ser el ritual conocido como sansinje. El sansinje es una buena oportunidad para pedir la paz y la seguridad en la comunidad, así como la estabilidad y la buena cosecha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El ritual tiene por objetivo comunicarse con los dioses celestes respecto a los asuntos del mundo de los humanos a través de la montaña que sirve de enlace entre el cielo y la tierra con el fin de construir un canal que se podría usar para transmitir oraciones a los dioses. Esta tradición tiene raíces en los rituales antiguos de la veneración al cielo que se realizaban en gran medida por el gobierno, aun así, en tiempos contemporáneos, el sansinje se ha convertido en los rituales comunitarios locales que se enfocan en la protección y el bienestar del pueblo. El dios de la montaña, Sansin que es tanto el soberano como el dueño de la montaña, se llama también como Sansilyeong o Sansinharabeoji. Su nombre alterna con los de Taebaeksansansilyeong o Jirisansansilyeong. Muchos dioses de la montaña eran soberanos deificados después de su muerte como deidades tutelares del estado o del pueblo. El sansinje se lleva a cabo por oficiantes rituales que se llaman jegwan que han sido seleccionados entre los aldeanos cuyos procedimientos siguen la formalidad de ritos confucianos. El ritual se inicia con la libación y la reverencia humilde y se finaliza con la recitación de chungmun que significa “mensaje de oraciones” y la reverencia profunda. Al terminar el ritual, llevan la comida sacrificial a la aldea para compartirla con todos los aldeanos durante la celebración de un banquete comunitario.
Sansinje is a ritual for worshipping the mountain god.

Korea is a mountainous country, with 70 percent of its land covered by mountains large and small, including Mt. Baekdu, the tallest at 2, 744 meters. This geographical condition has had tremendous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whose history and culture have their origins in the mountains. According to the book Samgung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topic/MemorabiliaoftheThreeKingdoms), Mt. Taebaek was where Hwanung, the son of Hwanin, the God of the Heavens, descended, and his son [Dangun](/en/topic/detail/1913), after founding the first Korean kingdom and ruling its people, became Sansin (Mountain God).

Mountain worship has been passed down in the form of the civilian ritual sansinje, a ritual for praying for the peace and safety of the community and stability and good harvest across the country. The ritual aims at communicating to the heavens the affairs of the human world, the mountain serving as the medium between the two worlds to build a channel for delivering prayers to the gods. The tradition is rooted in ancient sky worship rituals that were large-scale and state-organized, but in contemporary times sansinje has been reduced to local communal rituals that focus on the protection and well-being of the village.

Sansin (Mountain God) is the ruler and owner of the mountain, also called Sansillyeong (Mountain Spirit) and Sansinharabeoji (Mountain Grandfather), often with the name of its residing mountain preceding the title. Many mountain gods were rulers deified upon death as guardians of the state or the village.

Sansinje procedures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and are carried out by ritual officials (jegwan) who have been selected among villagers: Libation is followed by bowing; the prayer message (chungmun) is read, followed by a final round of bowing; and the sacrificial foods from the ritual table are brought back to the village for a communal feast.
내용우리나라 국토 70%가 산이다. 최고봉인 [백두산](/topic/백두산)(2,744m)을 위시하여 수없이 많은 산이 국토를 빽빽하게 메우고 있다. 이러한 산악 지형적 여건과 환경은 한국인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 이로 인해 한국 역사와 문화는 자연스럽게 산으로부터 시작된다.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로부터 수많은 [무리](/topic/무리)를 거느리고 하강한 곳이 산(태백산)이요, 나라를 세워 백성을 다스린 단군왕검이 산신이 되었다는『 [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이 이를 역사적 사실로 뒷받침하고 있다.

집에 집 지킴이가 있듯이 산에도 주인이 있다. 그가 바로 산신령(山神靈)이다. 산신령은 초능력적 영험력을 발휘하여 인간세상을 지배하여 왔다. 이런 이유로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산을 숭배하여 온 것이다. 『삼국유사』 처용랑 망해사조에 헌강왕이 오악신(五嶽神)에게 제사를 올렸다는 사실은 한민족이 오래전부터 산을 숭배한 풍습을 잘 알려 주고있는 좋은 대목이다. 신라 때에는 삼신산(三神山)으로 여긴 금강산·지리산·한라산을 숭배하였고, 오악산으로 불린 토함산·계룡산·태백산·부악·지리산에 제사를 지내기도하였다. 고려 때에도 지리산, [삼각산](/topic/삼각산), 송악산, 비백산의 사악신(四嶽神)에게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도 금강산, [묘향산](/topic/묘향산), 백두산, 지리산, 삼각산을 오악산으로 숭배하였다.이뿐만 아니라 전국의 500여 고을에서도 주산(主山)이나 [진산](/topic/진산)(鎭山)을 설정하고 정기적인 산신제를 봉행하여 산악신앙의 맥을 이었다.

산악신앙의 맥은 오늘날 산신제라고 하는 민간제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산신제는 지역민의 평화와 안녕을 도모하고 국가의 시화연풍(時華年豊)을 염원하는 것이다. 이것은 산신제를 통해 인간 세상의 일들을 하늘세계에 알리면서 신과 소통하면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달성하기 위함이다. 즉 인간들이 산을 매개체로 하여 하늘과 연결 통로를 만들어신과 교감대를 형성하면서 기원을 이루려는 것이다. 이러한 산신제는 고대사회에서부터 있어 온 대규모적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신인합일사상(神人合一思想)에근거하고 있다. 산신제의 전통이 오늘날에 와 지역 또는 [마을](/topic/마을) 단위의 소규모 행사로 축소되면서 본래 의미보다는 지역민 보호와 안녕 추구로 목적이 바뀌게 된 것이다.

산신제의 전통을 잇게 하는 산의 주인인 산신령은 산신, 산신할아버지, 산할아버지, 할아버지, 산신령님, 신령님, 산왕, 산왕산신, 산군, 산령, 산귀신 등으로 불린다. 또한 산명을 붙여 태백산 산신령, 지리산 산신령 등으로 부른다. 이러한 산신들은 나라를 다스리던 통치자가 사후에 산의 주인으로 신격화된 경우가 많다. 그러면서 넓게는 국가, 좁게는 부락을 수호하는 신으로 추대된다.

한편 산신령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은 산신도이다. 그림에 보면 호랑이의 변화신인 신선이 호랑이 등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신선은 인적이 드문 깊은산 속에서 근엄하게 백발노인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간혹 선녀나 동자를 데리고 다닌다. 산 중의 왕으로 불리는 호랑이는 영험력을 소유한 신격이나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는능력의 소[유자](/topic/유자)로서 변화성, 개혁성, 기술성, 생산성 등을 상징한다. 산신령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소나무는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의 목성(木性)에 해당된다. 이는 곧 아침 해가 뜨는 동방(東方)을 상징하면서 시작과 솟음을 뜻한다. [서낭당](/topic/서낭당)에 소나무가 신목(神木)으로 모셔지고, 신 [내림굿](/topic/내림굿)의 일월(日月)대를 동쪽으로 뻗어 자란 소나무 [가지](/topic/가지)로 삼는 데서도 그 뜻을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나무는 음(陰)의 나무로서 맑고 깨끗한 깊은 산중에서 사시사철 푸른 색채를 지니며 자란다. 여기서의 푸른색은 영원한 생명의 상징이다. 산신령 두상 후광의 빛은 곧 산신령이 늘 신비스러움과 영험스러움을 나타내는 존재임을 암시한다. 산신령이 들고 다니는 죽순은 남성 성기를 상징한다. 이는 자손 점지를 암시하는 동시에 권력을 뜻한다. 산신령은 영초(靈草)인 산삼과 조롱박 안의 불사약(不死藥)인 영약(靈藥)을 소지함으로써 죽음에 다다른 사람도 회생시킬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로 묘사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산신령 옆에 있는 동자의 오른손과 왼손에도 산삼과 영지가 들려 있기도 한다. 애기씨(선녀) 오른손에는 사후세계를 상징하는 영적인 꽃이 들려 있다.또한 왼손에는 인간 세상을 내려다볼 때 사용되거나 바람을 일으켜 인간사회를 오갈 수 있도록 돕는 부채가 들려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산신령 그림에 나타나는 영지는 여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는 곧 아기를 생산함을 상징한다.
내용우리나라 국토 70%가 산이다. 최고봉인 [백두산](/topic/백두산)(2,744m)을 위시하여 수없이 많은 산이 국토를 빽빽하게 메우고 있다. 이러한 산악 지형적 여건과 환경은 한국인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 이로 인해 한국 역사와 문화는 자연스럽게 산으로부터 시작된다.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로부터 수많은 [무리](/topic/무리)를 거느리고 하강한 곳이 산(태백산)이요, 나라를 세워 백성을 다스린 단군왕검이 산신이 되었다는『 [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이 이를 역사적 사실로 뒷받침하고 있다.

집에 집 지킴이가 있듯이 산에도 주인이 있다. 그가 바로 산신령(山神靈)이다. 산신령은 초능력적 영험력을 발휘하여 인간세상을 지배하여 왔다. 이런 이유로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산을 숭배하여 온 것이다. 『삼국유사』 처용랑 망해사조에 헌강왕이 오악신(五嶽神)에게 제사를 올렸다는 사실은 한민족이 오래전부터 산을 숭배한 풍습을 잘 알려 주고있는 좋은 대목이다. 신라 때에는 삼신산(三神山)으로 여긴 금강산·지리산·한라산을 숭배하였고, 오악산으로 불린 토함산·계룡산·태백산·부악·지리산에 제사를 지내기도하였다. 고려 때에도 지리산, [삼각산](/topic/삼각산), 송악산, 비백산의 사악신(四嶽神)에게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도 금강산, [묘향산](/topic/묘향산), 백두산, 지리산, 삼각산을 오악산으로 숭배하였다.이뿐만 아니라 전국의 500여 고을에서도 주산(主山)이나 [진산](/topic/진산)(鎭山)을 설정하고 정기적인 산신제를 봉행하여 산악신앙의 맥을 이었다.

산악신앙의 맥은 오늘날 산신제라고 하는 민간제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산신제는 지역민의 평화와 안녕을 도모하고 국가의 시화연풍(時華年豊)을 염원하는 것이다. 이것은 산신제를 통해 인간 세상의 일들을 하늘세계에 알리면서 신과 소통하면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달성하기 위함이다. 즉 인간들이 산을 매개체로 하여 하늘과 연결 통로를 만들어신과 교감대를 형성하면서 기원을 이루려는 것이다. 이러한 산신제는 고대사회에서부터 있어 온 대규모적 제천의례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신인합일사상(神人合一思想)에근거하고 있다. 산신제의 전통이 오늘날에 와 지역 또는 [마을](/topic/마을) 단위의 소규모 행사로 축소되면서 본래 의미보다는 지역민 보호와 안녕 추구로 목적이 바뀌게 된 것이다.

산신제의 전통을 잇게 하는 산의 주인인 산신령은 산신, 산신할아버지, 산할아버지, 할아버지, 산신령님, 신령님, 산왕, 산왕산신, 산군, 산령, 산귀신 등으로 불린다. 또한 산명을 붙여 태백산 산신령, 지리산 산신령 등으로 부른다. 이러한 산신들은 나라를 다스리던 통치자가 사후에 산의 주인으로 신격화된 경우가 많다. 그러면서 넓게는 국가, 좁게는 부락을 수호하는 신으로 추대된다.

한편 산신령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은 산신도이다. 그림에 보면 호랑이의 변화신인 신선이 호랑이 등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신선은 인적이 드문 깊은산 속에서 근엄하게 백발노인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간혹 선녀나 동자를 데리고 다닌다. 산 중의 왕으로 불리는 호랑이는 영험력을 소유한 신격이나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는능력의 소[유자](/topic/유자)로서 변화성, 개혁성, 기술성, 생산성 등을 상징한다. 산신령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소나무는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의 목성(木性)에 해당된다. 이는 곧 아침 해가 뜨는 동방(東方)을 상징하면서 시작과 솟음을 뜻한다. [서낭당](/topic/서낭당)에 소나무가 신목(神木)으로 모셔지고, 신 [내림굿](/topic/내림굿)의 일월(日月)대를 동쪽으로 뻗어 자란 소나무 [가지](/topic/가지)로 삼는 데서도 그 뜻을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나무는 음(陰)의 나무로서 맑고 깨끗한 깊은 산중에서 사시사철 푸른 색채를 지니며 자란다. 여기서의 푸른색은 영원한 생명의 상징이다. 산신령 두상 후광의 빛은 곧 산신령이 늘 신비스러움과 영험스러움을 나타내는 존재임을 암시한다. 산신령이 들고 다니는 죽순은 남성 성기를 상징한다. 이는 자손 점지를 암시하는 동시에 권력을 뜻한다. 산신령은 영초(靈草)인 산삼과 조롱박 안의 불사약(不死藥)인 영약(靈藥)을 소지함으로써 죽음에 다다른 사람도 회생시킬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로 묘사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산신령 옆에 있는 동자의 오른손과 왼손에도 산삼과 영지가 들려 있기도 한다. 애기씨(선녀) 오른손에는 사후세계를 상징하는 영적인 꽃이 들려 있다.또한 왼손에는 인간 세상을 내려다볼 때 사용되거나 바람을 일으켜 인간사회를 오갈 수 있도록 돕는 부채가 들려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산신령 그림에 나타나는 영지는 여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는 곧 아기를 생산함을 상징한다.
지역사례충남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에서는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매년 공동으로 산신제를 지내는데 이를 ‘산 치성’ 또는 ‘산제’라고 한다. 제의 비용은 마을 공동 소유의 논에서 나온 수익과 마을 주민들이 추렴한 금액으로 충당한다. 산신당에는 산신할아버지와 호랑이가 그려진 가로 143㎝, 세로 99㎝ 크기의 산신도와 함께‘산신지위(山神之位)’라고 쓰인 [위패](/topic/위패)가 모셔져 있다. 제의는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0시에 시작하여 새벽 3~4시까지 진행된다. 제일(祭日)을 정월대보름날로 정한 이유는 이 때가 만물이 가득 차는 시기로 풍성함을상징하기 때문이다. 또 이 때 산신제를 지내면 한 해의 농사가 풍족하게 된다고 믿는다.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먼저 [제관](/topic/제관)을 선출한다. 마을 회의를 통해 부정 없는 가정을 선택하여 당주를 정하고 [화주](/topic/화주)와 풍물패 등을 선정한다. 그리고 마을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려서 부정한 사람이나 짐승의 접근을 막는다. 산신당을 청결하게 하고 당주가 머무르는 공간에 [농기](/topic/농기)(農旗)를 세운다. 제물준비를 위해 먼저 [조라술](/topic/조라술)을 담근다. 그리고 배, [사과](/topic/사과), 밤, [대추](/topic/대추), 명태, 산자, 약과, 곶감, 줄미역, 산적, 조기, 명태어탕, 쇠고기육탕, 두부탕, 돼지고기, 소주 등을 마련한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지낸다. 제관들이 ‘강신제-[참신](/topic/참신)제-[독축](/topic/독축)-[분향](/topic/분향)-[초헌](/topic/초헌)례-분향-[아헌](/topic/아헌)례-분향-[종헌](/topic/종헌)례’ 순으로 진행한다. 산신당 안에서 산신제를 지낸 뒤 밖으로 나와 산신할아버지와 산신할머니가 데려온 하인들을 위한 허공산신제를 지낸다. 순서는 산신당 안에서 지낸 것과 비슷하다. 허공산신제가 끝나면 [음복](/topic/음복)하고 소지를 올린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서는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 먼저 제물을 준비할 도가를 뽑는다. 도가로 뽑힌 사람은 사흘 전부터 목욕재계하는 등 몸을 정결하게 한다. 그리고산신당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금줄을 친다. 제물은 돼지머리, 고기산적, 떡, 부침개, 삼색실과, 메, 술 등을 준비한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지내는데, 초헌관이 분향재배하고 술잔을 올리고 나면 축관이 제문을 읽는다. 그런 뒤 아헌관과 종헌관이 술을 올린다. 마지막으로 초헌관이 소지를 올리는데 이때 재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산신이 [흠향](/topic/흠향)한 것으로 본다. 제의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음복하면 산신제가 마[무리](/topic/무리)된다. 마을 사람들은 산신제를 정성껏 모시면 마을이 편하고 풍년이 [들것](/topic/들것)이라고 믿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벌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용부원리의 산신제는 마을 사람들의 지연적 유대를 강화하고 자부심과 긍지 및 향토애를 갖게 하는 기능이 있다.
지역사례충남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에서는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매년 공동으로 산신제를 지내는데 이를 ‘산 치성’ 또는 ‘산제’라고 한다. 제의 비용은 마을 공동 소유의 논에서 나온 수익과 마을 주민들이 추렴한 금액으로 충당한다. 산신당에는 산신할아버지와 호랑이가 그려진 가로 143㎝, 세로 99㎝ 크기의 산신도와 함께‘산신지위(山神之位)’라고 쓰인 [위패](/topic/위패)가 모셔져 있다. 제의는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0시에 시작하여 새벽 3~4시까지 진행된다. 제일(祭日)을 정월대보름날로 정한 이유는 이 때가 만물이 가득 차는 시기로 풍성함을상징하기 때문이다. 또 이 때 산신제를 지내면 한 해의 농사가 풍족하게 된다고 믿는다.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먼저 [제관](/topic/제관)을 선출한다. 마을 회의를 통해 부정 없는 가정을 선택하여 당주를 정하고 [화주](/topic/화주)와 풍물패 등을 선정한다. 그리고 마을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려서 부정한 사람이나 짐승의 접근을 막는다. 산신당을 청결하게 하고 당주가 머무르는 공간에 [농기](/topic/농기)(農旗)를 세운다. 제물준비를 위해 먼저 [조라술](/topic/조라술)을 담근다. 그리고 배, [사과](/topic/사과), 밤, [대추](/topic/대추), 명태, 산자, 약과, 곶감, 줄미역, 산적, 조기, 명태어탕, 쇠고기육탕, 두부탕, 돼지고기, 소주 등을 마련한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지낸다. 제관들이 ‘강신제-[참신](/topic/참신)제-[독축](/topic/독축)-[분향](/topic/분향)-[초헌](/topic/초헌)례-분향-[아헌](/topic/아헌)례-분향-[종헌](/topic/종헌)례’ 순으로 진행한다. 산신당 안에서 산신제를 지낸 뒤 밖으로 나와 산신할아버지와 산신할머니가 데려온 하인들을 위한 허공산신제를 지낸다. 순서는 산신당 안에서 지낸 것과 비슷하다. 허공산신제가 끝나면 [음복](/topic/음복)하고 소지를 올린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서는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 먼저 제물을 준비할 도가를 뽑는다. 도가로 뽑힌 사람은 사흘 전부터 목욕재계하는 등 몸을 정결하게 한다. 그리고산신당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금줄을 친다. 제물은 돼지머리, 고기산적, 떡, 부침개, 삼색실과, 메, 술 등을 준비한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지내는데, 초헌관이 분향재배하고 술잔을 올리고 나면 축관이 제문을 읽는다. 그런 뒤 아헌관과 종헌관이 술을 올린다. 마지막으로 초헌관이 소지를 올리는데 이때 재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산신이 [흠향](/topic/흠향)한 것으로 본다. 제의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음복하면 산신제가 마[무리](/topic/무리)된다. 마을 사람들은 산신제를 정성껏 모시면 마을이 편하고 풍년이 [들것](/topic/들것)이라고 믿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벌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용부원리의 산신제는 마을 사람들의 지연적 유대를 강화하고 자부심과 긍지 및 향토애를 갖게 하는 기능이 있다.
방축리 시렁과 제기보관통
22407
방축리 시렁과 제기보관통
산신제 제비 내역문기
18461
산신제 제비 내역문기
초현리 산신제 제물준비
20638
초현리 산신제 제물준비
비상리 산신제
22221
비상리 산신제
비상리 산신제 제물
22198
비상리 산신제 제물
비상리 산신제 제물
22170
비상리 산신제 제물
비상리 산신제 제물
22148
비상리 산신제 제물
비상리 산신제
22317
비상리 산신제
비상리 산신제
22297
비상리 산신제
비상리 산신제
22278
비상리 산신제
방축리 시렁과 제기보관통
22407
방축리 시렁과 제기보관통
산신제 제비 내역문기
18461
산신제 제비 내역문기
초현리 산신제 제물준비
20638
초현리 산신제 제물준비
비상리 산신제
22221
비상리 산신제
비상리 산신제 제물
22198
비상리 산신제 제물
비상리 산신제 제물
22170
비상리 산신제 제물
비상리 산신제 제물
22148
비상리 산신제 제물
비상리 산신제
22317
비상리 산신제
비상리 산신제
22297
비상리 산신제
비상리 산신제
22278
비상리 산신제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