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가산리석장승

한국무속신앙사전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의 여러 곳에 세워진 돌장승. 1974년 12월 24일에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의 여러 곳에 세워진 돌장승. 1974년 12월 24일에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유승훈
정의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의 여러 곳에 세워진 돌장승. 1974년 12월 24일에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다.
정의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의 여러 곳에 세워진 돌장승. 1974년 12월 24일에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다.
내용가산리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을](/topic/마을)의 당산과 석장승에서 동제를 지냈다. 이 제사를 ‘당산제’ 또는 ‘동제 모신다’라고 하였다. 동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음력 정월 초닷새쯤에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따져 [제관](/topic/제관), 축관, 유사를 뽑았다. 제장 주변에는 왼새끼를 꼬아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려 부정한 것의 접근을 막았다. 제관은 매일같이 목욕재계를하는 등 근신에 들어가야 하며, 제의 비용은 걸립을 통해 마련한다. [제물](/topic/제물)은 유사가 준비하는데 문어, 명태, 과일, 나물 등 40여 [가지](/topic/가지)가 넘었다고 한다. 특히 살아 있는 수퇘지를 당산 아래에서 도살시켜서 바쳤다.

제사 당일 아침에는 마을 주민들이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한 바퀴 돈다. 10시쯤이 되면 제관 일행이 먼저 당산으로 제물을 들고 가서 제를 올린다. 제차는 강신과 [헌작](/topic/헌작), [독축](/topic/독축), 소지의 순으로 진행된다. 당산제가 끝나면 다시 석장승에 제사를 지내고 ‘신장축(神將祝)’을 독축하였다. 마을 주민들은 장승제까지 모두 끝내야 [음복](/topic/음복)을 할 수 있었다. 모든제의가 끝나면 제관 집에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여 음식을 나눠 먹고 [오광대](/topic/오광대) 탈놀이를 하면서 크게 놀았다.

마을 주민들은 개인적으로 장승에 [비손](/topic/비손)을 하거나 간단히 치성을 드렸다. 주로 농사가 잘되거나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빌었다고 한다. 또한 마을 주민들은 당산과 장승의 영험함을 믿었다. 일제강점기 때 징병에 끌려가거나 6·25전쟁 시기 군에 가서도 주민들이 다치는 일이 없었으며, 이는 당산과 장승이 보살펴 주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상남도 (문화재관리국, 1972)
향토문화지 (경상남도, 1989)
경남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7)
내용가산리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을](/topic/마을)의 당산과 석장승에서 동제를 지냈다. 이 제사를 ‘당산제’ 또는 ‘동제 모신다’라고 하였다. 동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음력 정월 초닷새쯤에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을 따져 [제관](/topic/제관), 축관, 유사를 뽑았다. 제장 주변에는 왼새끼를 꼬아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려 부정한 것의 접근을 막았다. 제관은 매일같이 목욕재계를하는 등 근신에 들어가야 하며, 제의 비용은 걸립을 통해 마련한다. [제물](/topic/제물)은 유사가 준비하는데 문어, 명태, 과일, 나물 등 40여 [가지](/topic/가지)가 넘었다고 한다. 특히 살아 있는 수퇘지를 당산 아래에서 도살시켜서 바쳤다.

제사 당일 아침에는 마을 주민들이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한 바퀴 돈다. 10시쯤이 되면 제관 일행이 먼저 당산으로 제물을 들고 가서 제를 올린다. 제차는 강신과 [헌작](/topic/헌작), [독축](/topic/독축), 소지의 순으로 진행된다. 당산제가 끝나면 다시 석장승에 제사를 지내고 ‘신장축(神將祝)’을 독축하였다. 마을 주민들은 장승제까지 모두 끝내야 [음복](/topic/음복)을 할 수 있었다. 모든제의가 끝나면 제관 집에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여 음식을 나눠 먹고 [오광대](/topic/오광대) 탈놀이를 하면서 크게 놀았다.

마을 주민들은 개인적으로 장승에 [비손](/topic/비손)을 하거나 간단히 치성을 드렸다. 주로 농사가 잘되거나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빌었다고 한다. 또한 마을 주민들은 당산과 장승의 영험함을 믿었다. 일제강점기 때 징병에 끌려가거나 6·25전쟁 시기 군에 가서도 주민들이 다치는 일이 없었으며, 이는 당산과 장승이 보살펴 주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상남도 (문화재관리국, 1972)
향토문화지 (경상남도, 1989)
경남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7)
역사가산리는 가화강과 사천만이 만나는 곳으로 ‘가산창(駕山倉)’이라는 조창(漕倉)이 설치된 지역이다. 이 때문에 가산리에서 전승되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73호인 [가산오광대](/topic/가산오광대)를 ‘조창오광대’라고도 한다. 이곳에서는 인근 지역 7개 군현의 공물을 조창에 모은 뒤 여수를 거쳐 한양으로 운반하였다. 이때 무사히 도착하기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면서 장승 앞에서도 제물을 차려 놓고 [고사](/topic/고사)를 지냈다고 전해진다. 장승의 제작 연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이 장승은 조창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고해운의 무사를 기원하는 대상물이던 것으로 보인다. 조창이 폐지된 이후에는 역병을 퇴치하고 [마을](/topic/마을)을 지키는 민간의 장승으로서 역할을 해 온 것이다.
역사가산리는 가화강과 사천만이 만나는 곳으로 ‘가산창(駕山倉)’이라는 조창(漕倉)이 설치된 지역이다. 이 때문에 가산리에서 전승되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73호인 [가산오광대](/topic/가산오광대)를 ‘조창오광대’라고도 한다. 이곳에서는 인근 지역 7개 군현의 공물을 조창에 모은 뒤 여수를 거쳐 한양으로 운반하였다. 이때 무사히 도착하기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면서 장승 앞에서도 제물을 차려 놓고 [고사](/topic/고사)를 지냈다고 전해진다. 장승의 제작 연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이 장승은 조창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고해운의 무사를 기원하는 대상물이던 것으로 보인다. 조창이 폐지된 이후에는 역병을 퇴치하고 [마을](/topic/마을)을 지키는 민간의 장승으로서 역할을 해 온 것이다.
형태사천가산리석장승은 총 8기이며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석장승’ 또는 ‘수호장승’이라고 부른다. 마을 어귀에 남장승 2기와 여장승 2기가 있으며, 마을 중앙의 당산나무 아래에도 남장승 2기와 여장승 2기가 있다. 이 가운데 마을 어귀의 여장승 2기는 도난당하여 1980년 마을 주민이 복원한 것으로, 민속자료 지정에서 제외되었다. 석장승의 크기는 높이82~119㎝, 폭 19~35㎝까지로 다양하다.

마을 어귀의 남장승 2기는 묘 앞의 [문인석](/topic/문인석)과 비슷한 형상으로 관모를 쓰고 [조복](/topic/조복)(朝服)을 입었다. 양손은 가슴 앞으로 모아서 홀을 쥐고 있다. 뒷면까지 상세히 조각한 환조(丸彫) 형태로서 옷 주름까지 사실적으로 조각하였다. 눈과 귀가 크며, 입은 다물고 있고, 어깨는 약간 올라가 있다. 오른쪽 장승의 키가 더 크며, 왼쪽 장승의 턱에는 굵은 수염이 나 있다. 오랜 세월로 인하여 마멸된 흔적들이 있고, 몸 전체에 돌이끼가 끼어 있다.

마을 중앙의 남녀 석장승은 산비탈의 [계단](/topic/계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다. 여장승 2기는 느티나무 아래에 [동자상](/topic/동자상) 형태로 서 있다. 여장승 역시 조복을 입고 손에 홀을 들\었다. 특이하게도 머리에 뿔과 같은 돌출부가 2개 솟아나 있다. 왼쪽 여장승의 오른쪽 뿔은 잘려나간 흔적이 있다. 눈썹이 짙고, 큰 귀를 하고 있으며, 눈과 귀에 비하여 입은작다. 마을 중앙의 남장승 2기는 산비탈 위에 세워져 있다. 남장승이 서 있는 아래쪽에는 벽감(壁龕)을 만들어 두었다. 이 남장승은 전반적으로 마을 어귀의 남장승과 비슷한형태이다. 왼쪽 남장승은 수염이 없지만 오른쪽 남장승은 굵은 수염이 세 줄기로 나 있다.
형태사천가산리석장승은 총 8기이며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석장승’ 또는 ‘수호장승’이라고 부른다. 마을 어귀에 남장승 2기와 여장승 2기가 있으며, 마을 중앙의 당산나무 아래에도 남장승 2기와 여장승 2기가 있다. 이 가운데 마을 어귀의 여장승 2기는 도난당하여 1980년 마을 주민이 복원한 것으로, 민속자료 지정에서 제외되었다. 석장승의 크기는 높이82~119㎝, 폭 19~35㎝까지로 다양하다.

마을 어귀의 남장승 2기는 묘 앞의 [문인석](/topic/문인석)과 비슷한 형상으로 관모를 쓰고 [조복](/topic/조복)(朝服)을 입었다. 양손은 가슴 앞으로 모아서 홀을 쥐고 있다. 뒷면까지 상세히 조각한 환조(丸彫) 형태로서 옷 주름까지 사실적으로 조각하였다. 눈과 귀가 크며, 입은 다물고 있고, 어깨는 약간 올라가 있다. 오른쪽 장승의 키가 더 크며, 왼쪽 장승의 턱에는 굵은 수염이 나 있다. 오랜 세월로 인하여 마멸된 흔적들이 있고, 몸 전체에 돌이끼가 끼어 있다.

마을 중앙의 남녀 석장승은 산비탈의 [계단](/topic/계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다. 여장승 2기는 느티나무 아래에 [동자상](/topic/동자상) 형태로 서 있다. 여장승 역시 조복을 입고 손에 홀을 들\었다. 특이하게도 머리에 뿔과 같은 돌출부가 2개 솟아나 있다. 왼쪽 여장승의 오른쪽 뿔은 잘려나간 흔적이 있다. 눈썹이 짙고, 큰 귀를 하고 있으며, 눈과 귀에 비하여 입은작다. 마을 중앙의 남장승 2기는 산비탈 위에 세워져 있다. 남장승이 서 있는 아래쪽에는 벽감(壁龕)을 만들어 두었다. 이 남장승은 전반적으로 마을 어귀의 남장승과 비슷한형태이다. 왼쪽 남장승은 수염이 없지만 오른쪽 남장승은 굵은 수염이 세 줄기로 나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