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동지고사
    612 2023.02.27
    동짓달(음력11월) 저녁에 각 가정에서 주로 주부가 제액초복(除厄招福)을 목적으로 집안 곳곳에 팥죽을 뿌리고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팥죽을 올리는 세시 의례적 [고사](/topic/고사). 지방에 따라서는 팥죽제, 동지차례(冬至茶禮), 동지맞이라고도 한다.
  • 삼신모시기
    547 2023.02.27
    자식을 점지해 주고 아이의 출산과 육아를 담당하는 삼신에게 지내는 제의. 아이의 출산과 연관하여 주로 행해지지만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 예산군 광시면 운산2리 [마을](/topic/마을) 뒷산 중턱에 있는 산제당에서 매년 정월 초닷샛날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모여 지내는 산신제. 산신제를 지낸 다음 마을 중앙 느티나무 앞에서 [거리제](/topic/거리제)인 [오[방제](/topic/방제)](/topic/오방제)를 지낸다.
  • 짚장군
    540 2023.02.27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동제의 제장에 임시로 안치하는 [[장군](/topic/장군)상](/topic/장군상)의 하나.
  • 겜심바침
    960 2023.02.27
    서울 지역에서 기자를 위한 축원의례의 하나. ‘삼신축원’이라고도 한다.
  • 동토
    646 2023.02.27
    흙이나 나무 또는 쇠 등 물건을 잘못 만져서 생기는 탈.
  • 삼신바가지
    584 2023.02.27
    자녀의 출산, 육아, 건강을 관장하는 삼신의 신체.
  • 예조
    561 2023.02.27
    앞날을 예언하는 징후. 사람들은 어떠한 특이한 일이 발생하면 그것은 곧 미래에 발생할 어떤 일에 대한 예조라고 생각했다. 미래의 일을 예측하거나 대비할 수 있는 무엇으로 현몽 또는 신비한 종교체험, 일상과 다른 어떤 특이한 일이 여기에 해당한다.
  • 짚주저리
    437 2023.02.27
    가정에서 모시는 터주, 철륭, 업, [칠성신](/topic/칠성신) 등 신령을 집 뒤꼍이나 장독에 모셔서 신령의 신체(神體)가 비나 바람에 의해 훼손되지 않게 하기 위해 [볏짚](/topic/볏짚)으로 덮어 놓은 것. 또는 이들의 신체.
  • 겹마치
    1016 2023.02.27
    경기 남부 지역 굿에서 춤반주로 쓰이는 [장단](/topic/장단)의 하나.
  • 동토잡기
    620 2023.02.27
    집안에서 흙, 쇠, 나무 등을 잘못 다룸으로써 야기되는 각종의 탈을 푸는 제의. 집안의 [살림살이](/topic/살림살이) 위치를 손 있는 방향으로 바꾸든지, 어떤 물건을 새로 들이든지, [부엌](/topic/부엌)이나 [대문](/topic/대문) 또는 [담장](/topic/담장) 등을 수리․보수하든지 운이 나쁘면 동토가 난다. 외부에서 물건을 들이거나 나무를 베거나 못질을 해도 탈이 난다. 집안에 부정한 사람이 잘못 들어와도 동토가 나는데, 이를 ‘인동토’라고 부른다. 동토는 일종의 살이 끼는 것이다. 증세가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발음의 편의로 ‘동티’라고도 한다.
  • 삼신받기
    529 2023.02.27
    불임(不姙)의 원인을 삼신의 부재(不在) 또는 이탈로 여겨서 삼신을 ‘집’이나 ‘임신을 원하는 불임녀’에게로 받아 모셔와 수태(受胎)를 유도하는 풍습. 넓은 뜻으로는 어떤 외부의 현상과 사물로부터 생명력이나 생산력을 불임녀에게 전이(轉移)시키는 일체의 의례도 일컫는다.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작곡리 작평[마을](/topic/마을)에서 주민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제당과 의례가 현재까지 잘 유지되고 [축문](/topic/축문)과 문서가 잘 보관되고 있는 서낭제.
  • 쪼시개
    491 2023.02.27
    동해안 오구굿에서 쓰이는 무가 또는 [장단](/topic/장단)의 한 종류. 오구굿의 초망자굿에서 부르는 무가와 반주 장단을 지칭한다.
  • 경관만신
    997 2023.02.27
    황해도 무당들이 굿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왕초격의 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