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만곡대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의 정기적인 당제 중 하나로, 음력으로 9월이나 10월 상달에 하는 의례. 이 의례를 ‘시만곡대제’라고도 한다.
definition
제주도의 정기적인 당제 중 하나로, 음력으로 9월이나 10월 상달에 하는 의례. 이 의례를 ‘시만곡대제’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제주도의 정기적인 당제 중 하나로, 음력으로 9월이나 10월 상달에 하는 의례. 이 의례를 ‘시만곡대제’라고도 한다.
내용[마을](/topic/마을)마다 당의 형편과 [단골](/topic/단골)의 사정에 따라 각기 다른 제일에 제를 지내지만 세시절기를 바탕으로 네 차례의 정기적인 당제를 지내는 것이 전통이다. 이것이 이른바 정월달에 지내는 신년과세제, 2월 영등달에 하는 당제는 흔히 [영등제](/topic/영등제), 7월에 하는 당제는 [마불림제](/topic/마불림제) 또는 백중제, 9월이나 10월에 하는 당제는 바로 신만곡대제이다. 신년제는 한 해의 시작점에서 마을의 안녕과 집안의 행운을 기원하는 성격의 의례이고, 영등제는 풍어를 기원하는 준비의례, 마불림제는 우마증식제와 추곡성장 기원의례, 신만곡대제는 풍농 감사에 대한 [수확](/topic/수확)의례이다.

이와 달리 당신(堂神)의 성격과 본풀이에 명시된 의례적인 기준으로 한 달 단위로 움직이는 의례도 있다. 한 달의 7ㆍ17ㆍ27일에 정기적인 의례를 지내기도 하고, 이와 달리 8ㆍ18ㆍ28일에 정기적인 의례를 지내기도 한다. 당신이 정한 의례의 내력이 다르지만 이와 같은 두 [가지](/topic/가지) 질서가 공존하면서 당제일을 결정하는 것은 제주도의 특성이다. 제주도는 내륙처럼 벼농사가 일반화되지 않아 굳이 이러한 의례를 지내지 않아도 되지만 벼나 조와 같은 곡식을 매우 귀하게 여겨 수확의례의 전통이 강하게 전승된다. 수확의례는 수확한 것을 있는 그대로 신에게 고하는 의례가 있기도 하고, 수확을 마친 후 지내는 것을 보아 신곡천신의례인 동시에 수확감사제임을 알 수 있다.

제주도의 신만곡대제는 육지부의 수확의례 가운데 ‘[[올벼](/topic/올벼)심리](/topic/올벼심리)’ 또는 ‘올게심리’, ‘풋바심’ 같은 의례와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다. 다만 조상에게 바치면서 위하되 이를 집안 중심의 가제로 하지 않고 마을 단위의 본향당 중심 의례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지역사례벼농사가 있는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큰물당이나 대정읍 신도리 알당과 같은 곳에서 이 의례를 하는 전통을 환기하면 이 의례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할 수 있다.

큰물당에서는 “큰물당 할루산 섯어깨에서 무유아에서 솟아나니 그 할으방이 산방굴사로 렸수다… 강답 수답  거 읏이 다 손 [가지](/topic/가지)에 분짓시켜 줘 비니 그 댓법으로 큰물당 할아버님께  해에  번씩 나록  뭇씩 이 본당에 맨 사람은 다 갖다 줍네다”라고 심방이 말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알당에서는 “알당, 돗괴기도 안먹곡 고 은 조상이난 실 들면 산뒤, 조, 콩들 [오곡](/topic/오곡)을  뭇썩 웃봉으로 걷었당 져 강 위네다”라고 되어 있다.

큰물당에서 하는 말이 중요하다. 당신이 생성된 내력과 [단골](/topic/단골)자손이 성립된 과정을 말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 매개 과정이 강답[乾畓]과 수답(水畓)을 나누어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이 당이 바로 한 해에 한 번 나록(나락)을 [수확](/topic/수확)하면 이 본당을 모시는 단골들이 시만곡대제로 위전하는 과정을 말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와 달리 알당에서는 더욱 분명하게 예시되어 있다. 돗고기(돼지고기)와 같은 것을 먹는 육식은 하지 않고 산뒤(山稻), 조, 콩 등을 수확한 후 [탈곡](/topic/탈곡)하지 않은 채로 위한다고 하는 것이 자세하게 밝혀져 있다. 즉 첫 수확을 있는 그대로 바치는 의례를 명시하고 있다.
참고문헌韓國の民間信仰-論考篇 (장주근, 금화사, 1973)
濟州島巫俗の硏究 (현용준, 제일서방, 1985)
제주도 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남국의 무속 (진성기, 형설출판사, 1987)
제주도 무속 (장주근,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0)
제주도 무속논고 (진성기, 제주민속연구소, 1993)
조선민속지 (秋葉隆, 심우성번역, 동문선, 1993)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장주근, 역락, 2001)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현용준, 집문당, 2002)
우리 뿌리의 집 제주무속학[사전](/topic/사전) (진성기, 제주민속학연구소, 2004)
민속원남창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한국역사민속학회2003
한국무속학회손진태 무가 자료의 현황과 성격권태효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