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

한국무속신앙사전
사람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보완하여 실한 곳으로 바꾸려고 하는 방법. 대개 지기(地氣)가 허한 곳을 실하게 채우기 위하여 사용한다.
definition
사람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보완하여 실한 곳으로 바꾸려고 하는 방법. 대개 지기(地氣)가 허한 곳을 실하게 채우기 위하여 사용한다.
mp3Cnt
0
wkorname
홍태한
정의사람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보완하여 실한 곳으로 바꾸려고 하는 방법. 대개 지기(地氣)가 허한 곳을 실하게 채우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의사람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보완하여 실한 곳으로 바꾸려고 하는 방법. 대개 지기(地氣)가 허한 곳을 실하게 채우기 위하여 사용한다.
人为改善地理环境对生活的负面影响的方法。

“补救”既有改造自然,方便人类的以人为中心的思想,又有不毁坏自然,严格遵从自然规律的以自然为中心的思想。改造自然意味着用多种手段和方法弥补自然的不足之处。其中,用信仰物弥补不足时,称其为补救迷信。[长栍](/topic/长栍)补救,[索苏竿](/topic/索苏竿)(音)补救,[石塔](/topic/石塔)补救,堂林补救,性崇拜补救等均属于补救迷信。

长栍补救是指在村里气虚之地立起长栍增补虚气。长栍通常立于东南西北气势较弱的地方。

索苏竿补救是为了弥补村庄格局而竖立的。如果想弥补村庄“行舟形”形局,则在村庄正中央竖立索苏竿。

石塔补救则立于水流过之处,人们通常认为此处是村庄的气流出之地。可见,人们相信村庄的气与水流有密切关系。堂林补救是指为了保护正面向外部敞开的村子,人工造林,在村庄中央设置[守郎](/topic/守郎)堂(音),打造神圣空间的补救方式。

性崇拜补救是有关性器形状象征物的补救。当村庄格局貌似男女性器时,有淫事频发的说法,这时人们会建造树林隐藏性器形状的岩石,使其在村庄看不见,或者特意崇拜性器形状岩石,人为地调节阴阳。
Bibo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suplemento” y es un intento para alterar artificialmente un entorno geográfico que tendrá un efecto negativo en la vida diaria de las personas.

El complemento geomántico puede verse como una práctica que se concentra en los humanos alterando la naturaleza para satisfacer sus necesidades, pero al mismo tiempo, está bien concentrado en la naturaleza ajustándola de manera favorable a ella sin causar daños. Lo que carece en la naturaleza se complementa por diversos medios tales como objetos religiosos, en cuyo caso el intento se llama sinangbibo que significa “suplemento religioso”, y se incluye el uso de distintos objetos religiosos como postes guardianes del pueblo, jangseung; palos sagrados, sotdae, montículos de piedera, doltap, bosque guardián, dangsup; y objetos en forma de órganos sexuales, sseongsinang.

Primero, los jangseung son erigidos en todos los cuatro rincones de aldeas para proteger y compensar la ausencia de energía de terrenos.

Los sotdae se obervan en el centro de los pueblos que tienen una forma de un barco que está a punto de salir a fin de complementar su forma inestable.

Los doltap están ubicados junto a los caminos del agua, porque se cree que los lugares situados cerca de corrientes de agua son canales por donde se escapa la energía de la aldea. En caso de que una villa se encuentre expuesta geográficamente, un dangsup se formará de manera artificial junto con un santuario de la deidad guardiana del pueblo llamado seonangdang, construido en el centro para crear un espacio sagrado.

El complemento vinculado con el culto a los órganos sexuales se practica en una aldea en forma del órgano sexual masculino o femenino, lo que provoca que ocurran indecentes en la comunidad. Por ejemplo, en algunos casos, un bosque se crea artificialmente para que no se vea una roca específica o en otros casos, se adora eminentemente una roca en forma de un órgano sexual con el deseo de que esa roca controle las energías del yin y el yang.
Bibo, literally meaning, “to supplement, ” is the attempt to artificially alter a geographical environment that possesses a negative effect on people’s lives.

Geomantic supplementation can be viewed as a practice that is centered on humans, of altering nature to suit their needs,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ature-centered, in that the attempt is about adjusting nature according to its ways without causing damage.

What is lacking in nature is filled by various means, including religious objects, in which case the attempt is called sinangbibo, or religious supplementation, and includes the use of a range of religious objects.

[[Jangseung](/topic/VillageGuardianPost)](/topic/Jangseung), or village guardian posts, are erected on vacant spots in all four corners of a village to protect and fill the lack of energy.

[[Sotdae](/topic/SacredPole)](/topic/Sotdae), or sacred pole, is erected in the center of villages shaped like a sailing boat (haeng juhyeong) to supplement their unstable shape.

[[Doltap](/topic/StoneStack)](/topic/Doltap), or stone stacks, are erected by water paths, which are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geomantic energy of a village and through which the energy is believed to escape.

When the village sits geographically exposed, a guardian forest(dangsup) is artificially formed, with a shrine for the village guardian deity(seonangdang) built in the center to create a sacred space.

Supplementation related to the worship of sex organs (seongsinang bibo) is practiced when the village is shaped like a male or female sex organ, which results in lewd affairs in the community. A forest is built to cover a specific rock or parts that contribute to the village’s shape, or a rock shaped like a sex organ is prominently worshipped in order to artificially control the yin and yang energies.
내용비보는 그 범주가 대단히 넓고 [풍수](/topic/풍수)에서도 매우 중요한 방법으로 간주하고 있어 유형 또한 다양하다. 인간이 거주할 곳을 결정하고 자신의 삶의 양태에 맞추어 가다듬기 시작하면 비보가 작동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정도로 비보는 인간의 필요에 맞게 자연을 가다듬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연을 가다듬을 때 부족한 곳은 여러 [가지](/topic/가지) 수단과 방법으로 채우려고 한다. 이때 몇 가지 신앙물로 채우는 것을 신앙비보라 한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비보 양상 가운데 [마을](/topic/마을)신앙과 관련이 있는 몇 가지를 기술하기로 한다.

1. 장승비보 : 장승은 마을 어귀에 서 있으면서 마을을 수호해 준다. 그런데 마을의 일정한 곳이 허하다면 마을 어귀가 아니더라도 그곳에 장승을 세워 허한 기를 보하는데 이를 장승비보라 한다. 대개 동서남북 쪽의 허한 곳에 각각 동방청제[장군](/topic/장군), 서방백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북방흑제장군이라는 이름의 장승을 세운다. 이러한 장승비보의 대표적인예를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무갑리에서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남쪽과 동쪽에 각각 장승을 세워 지형상 마을의 허한 곳을 실하게 바꾸었다.

2. 솟대비보 : 물가에 [기둥](/topic/기둥)을 세우고 물새를 앉힌 솟대는 기풍의례와 관련이 있다. 몇몇 마을에서는 기풍의례와 상관없이 마을의 형국을 비보하기 위하여 세우기도 한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마을에는 마을 한가운데에 솟대가 서 있다. 이 마을에서는 마을의 형국이 행주형(行舟形)이어서 마을 안에 절대로 [우물](/topic/우물)을 파지 않는다. 배가 앞으로 잘 나아가기 위해서는 돛대가 있어야 하듯이 때문에 돛대를 대신하여 행주형의 마을 한가운데에 솟대를 세운 것이다.

3. [돌탑](/topic/돌탑)비보 : 물길이 흘러나가는 곳으로 마을의 기운이 빠져나간다고 하여 돌탑을 세우는 비보가 널리 퍼져 있다. [수구맥이](/topic/수구맥이)로 알려진 돌탑비보는 마을 전체의 기운이 물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기운을 통제할 목적으로 돌탑을 세운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성금리에는 [서낭당](/topic/서낭당) 옆에 돌탑을 함께 세워 놓았다. 이는 바로 앞에 흘러가는 물줄기를 따라 마을의 기운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비보이다.

4. 당숲비보 : 마을의 정면이 외부에 열려 있는 지역에서는 별도로 당숲을 조성하기도 한다. 많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인공조림비보가 그 예이다. 경남 함양군 함양상림,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어부방조림 등이 대표적이다. 몇몇 자연마을에서는 외부로 열린 공간에 당숲을 조성하고, 그 한가운데에 서낭당을 배치하여 신성공간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충북 단양군 적성면 대가리마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쪽이 넓게 열려 있어서 당숲을 조성하여 외부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는 기능을 부여하였다. 마을신앙의 구심점이 있\는 곳에는 대개 당목이 우거져 있다. 이 역시 넓은 의미의 당숲비보라 할 수 있다.

5. 성신앙비보 : 몇몇 마을에서는 마을의 형국이 남녀의 성기 모양이어서 음사(淫事)가 잦다고 하여 성기 모양의 바위를 마을에서 보이지 않게 숲을 조성하는 경우도 있고, 성기 모양의 바위를 특별히 숭배하여 인공적으로 음양을 조절하기도 한다. 전북 김제시 금산면 창도리 귀신사 [마당](/topic/마당)에 서 있는 성기암은 이러한 비보의 대표적인 예이다.

6. 기타 : 마을의 균형과 조화를 위해 따로 마을 한쪽에 언덕을 조성하거나 물길을 돌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비보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하게 볼 수 있다. 신앙의례와 결합하여 마을신앙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비보신앙이라고 내세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용해된 곳이 많다.
내용비보는 그 범주가 대단히 넓고 [풍수](/topic/풍수)에서도 매우 중요한 방법으로 간주하고 있어 유형 또한 다양하다. 인간이 거주할 곳을 결정하고 자신의 삶의 양태에 맞추어 가다듬기 시작하면 비보가 작동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정도로 비보는 인간의 필요에 맞게 자연을 가다듬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연을 가다듬을 때 부족한 곳은 여러 [가지](/topic/가지) 수단과 방법으로 채우려고 한다. 이때 몇 가지 신앙물로 채우는 것을 신앙비보라 한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비보 양상 가운데 [마을](/topic/마을)신앙과 관련이 있는 몇 가지를 기술하기로 한다.

1. 장승비보 : 장승은 마을 어귀에 서 있으면서 마을을 수호해 준다. 그런데 마을의 일정한 곳이 허하다면 마을 어귀가 아니더라도 그곳에 장승을 세워 허한 기를 보하는데 이를 장승비보라 한다. 대개 동서남북 쪽의 허한 곳에 각각 동방청제[장군](/topic/장군), 서방백제장군, 남방적제장군, 북방흑제장군이라는 이름의 장승을 세운다. 이러한 장승비보의 대표적인예를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무갑리에서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남쪽과 동쪽에 각각 장승을 세워 지형상 마을의 허한 곳을 실하게 바꾸었다.

2. 솟대비보 : 물가에 [기둥](/topic/기둥)을 세우고 물새를 앉힌 솟대는 기풍의례와 관련이 있다. 몇몇 마을에서는 기풍의례와 상관없이 마을의 형국을 비보하기 위하여 세우기도 한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마을에는 마을 한가운데에 솟대가 서 있다. 이 마을에서는 마을의 형국이 행주형(行舟形)이어서 마을 안에 절대로 [우물](/topic/우물)을 파지 않는다. 배가 앞으로 잘 나아가기 위해서는 돛대가 있어야 하듯이 때문에 돛대를 대신하여 행주형의 마을 한가운데에 솟대를 세운 것이다.

3. [돌탑](/topic/돌탑)비보 : 물길이 흘러나가는 곳으로 마을의 기운이 빠져나간다고 하여 돌탑을 세우는 비보가 널리 퍼져 있다. [수구맥이](/topic/수구맥이)로 알려진 돌탑비보는 마을 전체의 기운이 물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기운을 통제할 목적으로 돌탑을 세운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성금리에는 [서낭당](/topic/서낭당) 옆에 돌탑을 함께 세워 놓았다. 이는 바로 앞에 흘러가는 물줄기를 따라 마을의 기운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비보이다.

4. 당숲비보 : 마을의 정면이 외부에 열려 있는 지역에서는 별도로 당숲을 조성하기도 한다. 많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인공조림비보가 그 예이다. 경남 함양군 함양상림,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어부방조림 등이 대표적이다. 몇몇 자연마을에서는 외부로 열린 공간에 당숲을 조성하고, 그 한가운데에 서낭당을 배치하여 신성공간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충북 단양군 적성면 대가리마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쪽이 넓게 열려 있어서 당숲을 조성하여 외부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는 기능을 부여하였다. 마을신앙의 구심점이 있\는 곳에는 대개 당목이 우거져 있다. 이 역시 넓은 의미의 당숲비보라 할 수 있다.

5. 성신앙비보 : 몇몇 마을에서는 마을의 형국이 남녀의 성기 모양이어서 음사(淫事)가 잦다고 하여 성기 모양의 바위를 마을에서 보이지 않게 숲을 조성하는 경우도 있고, 성기 모양의 바위를 특별히 숭배하여 인공적으로 음양을 조절하기도 한다. 전북 김제시 금산면 창도리 귀신사 [마당](/topic/마당)에 서 있는 성기암은 이러한 비보의 대표적인 예이다.

6. 기타 : 마을의 균형과 조화를 위해 따로 마을 한쪽에 언덕을 조성하거나 물길을 돌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비보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하게 볼 수 있다. 신앙의례와 결합하여 마을신앙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비보신앙이라고 내세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용해된 곳이 많다.
人为改善地理环境对生活的负面影响的方法。

“补救”既有改造自然,方便人类的以人为中心的思想,又有不毁坏自然,严格遵从自然规律的以自然为中心的思想。改造自然意味着用多种手段和方法弥补自然的不足之处。其中,用信仰物弥补不足时,称其为补救迷信。[长栍](/topic/长栍)补救,[索苏竿](/topic/索苏竿)(音)补救,[石塔](/topic/石塔)补救,堂林补救,性崇拜补救等均属于补救迷信。

长栍补救是指在村里气虚之地立起长栍增补虚气。长栍通常立于东南西北气势较弱的地方。

索苏竿补救是为了弥补村庄格局而竖立的。如果想弥补村庄“行舟形”形局,则在村庄正中央竖立索苏竿。

石塔补救则立于水流过之处,人们通常认为此处是村庄的气流出之地。可见,人们相信村庄的气与水流有密切关系。堂林补救是指为了保护正面向外部敞开的村子,人工造林,在村庄中央设置[守郎](/topic/守郎)堂(音),打造神圣空间的补救方式。

性崇拜补救是有关性器形状象征物的补救。当村庄格局貌似男女性器时,有淫事频发的说法,这时人们会建造树林隐藏性器形状的岩石,使其在村庄看不见,或者特意崇拜性器形状岩石,人为地调节阴阳。
Bibo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suplemento” y es un intento para alterar artificialmente un entorno geográfico que tendrá un efecto negativo en la vida diaria de las personas.

El complemento geomántico puede verse como una práctica que se concentra en los humanos alterando la naturaleza para satisfacer sus necesidades, pero al mismo tiempo, está bien concentrado en la naturaleza ajustándola de manera favorable a ella sin causar daños. Lo que carece en la naturaleza se complementa por diversos medios tales como objetos religiosos, en cuyo caso el intento se llama sinangbibo que significa “suplemento religioso”, y se incluye el uso de distintos objetos religiosos como postes guardianes del pueblo, jangseung; palos sagrados, sotdae, montículos de piedera, doltap, bosque guardián, dangsup; y objetos en forma de órganos sexuales, sseongsinang.

Primero, los jangseung son erigidos en todos los cuatro rincones de aldeas para proteger y compensar la ausencia de energía de terrenos.

Los sotdae se obervan en el centro de los pueblos que tienen una forma de un barco que está a punto de salir a fin de complementar su forma inestable.

Los doltap están ubicados junto a los caminos del agua, porque se cree que los lugares situados cerca de corrientes de agua son canales por donde se escapa la energía de la aldea. En caso de que una villa se encuentre expuesta geográficamente, un dangsup se formará de manera artificial junto con un santuario de la deidad guardiana del pueblo llamado seonangdang, construido en el centro para crear un espacio sagrado.

El complemento vinculado con el culto a los órganos sexuales se practica en una aldea en forma del órgano sexual masculino o femenino, lo que provoca que ocurran indecentes en la comunidad. Por ejemplo, en algunos casos, un bosque se crea artificialmente para que no se vea una roca específica o en otros casos, se adora eminentemente una roca en forma de un órgano sexual con el deseo de que esa roca controle las energías del yin y el yang.
Bibo, literally meaning, “to supplement, ” is the attempt to artificially alter a geographical environment that possesses a negative effect on people’s lives.

Geomantic supplementation can be viewed as a practice that is centered on humans, of altering nature to suit their needs,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ature-centered, in that the attempt is about adjusting nature according to its ways without causing damage.

What is lacking in nature is filled by various means, including religious objects, in which case the attempt is called sinangbibo, or religious supplementation, and includes the use of a range of religious objects.

[[Jangseung](/topic/VillageGuardianPost)](/topic/Jangseung), or village guardian posts, are erected on vacant spots in all four corners of a village to protect and fill the lack of energy.

[[Sotdae](/topic/SacredPole)](/topic/Sotdae), or sacred pole, is erected in the center of villages shaped like a sailing boat (haeng juhyeong) to supplement their unstable shape.

[[Doltap](/topic/StoneStack)](/topic/Doltap), or stone stacks, are erected by water paths, which are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geomantic energy of a village and through which the energy is believed to escape.

When the village sits geographically exposed, a guardian forest(dangsup) is artificially formed, with a shrine for the village guardian deity(seonangdang) built in the center to create a sacred space.

Supplementation related to the worship of sex organs (seongsinang bibo) is practiced when the village is shaped like a male or female sex organ, which results in lewd affairs in the community. A forest is built to cover a specific rock or parts that contribute to the village’s shape, or a rock shaped like a sex organ is prominently worshipped in order to artificially control the yin and yang energies.
의의비보는 자연을 인간의 편리에 맞추어 개조한다는 인간 중심적 의미를 지니면서도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철저하게 자연의 흐름에 맞추려고 하는 자연 중심적 의미도 함께 지닌다. 그리고 자연의 원형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인간의 편리를 도모한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들어 있다. 비보는 [마을](/topic/마을)신앙 차원에서 신성시함으로써 훼손되지 않고 계속 전승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의의비보는 자연을 인간의 편리에 맞추어 개조한다는 인간 중심적 의미를 지니면서도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철저하게 자연의 흐름에 맞추려고 하는 자연 중심적 의미도 함께 지닌다. 그리고 자연의 원형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인간의 편리를 도모한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들어 있다. 비보는 [마을](/topic/마을)신앙 차원에서 신성시함으로써 훼손되지 않고 계속 전승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