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천달집태우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송산[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 달집에 불을 지르고 풍년을 기원하면서 노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1994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제24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송산[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 달집에 불을 지르고 풍년을 기원하면서 노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1994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제24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표인주
정의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송산[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 달집에 불을 지르고 풍년을 기원하면서 노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1994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제24호’로 지정되었다.
정의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송산[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 달집에 불을 지르고 풍년을 기원하면서 노는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1994년 1월 31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제24호’로 지정되었다.
Daljiptaeugi is a ritual for praying for a good harvest and peace in the village by setting on fire the moon house, made of bamboo and pine branches, as the moon rises on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Building a moon house (daljip) is an act of enshrining the moon deity, in the same vein as building a shrine to worship a village deity. Setting fire to the moon house is viewed as an attempt at maximizing the life force of all beings of the universe through the union of the yin energy of the moon and the yang energy of fire.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is believed to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magical powers, which has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seasonal customs associated with the occasion.

At around 2 or 3 in the afternoon on Great Full Moon Day as farmers’ music is played, villagers set out to collect bamboo and pine branches (solgaji) at the instruction of the leader. Upon their return, the moon house is constructed on a field that overlooks the village. Bamboo stalks that still have their leaves intact are used to erect a conical thatched-straw frame of adult height, with a door that opens to the east. The frame is filled with straw brought from villagers’ homes, and pine branches are added as a top layer, after which prayers are offered and the villagers play music as they circle the moon house.

When the moon rises over the mountains, the villagers shout, “The moon is rising!” and the village leader sets fire inside and on the surface of the moon house. Along with the roar of the crowd, hollering, “The moon has risen! Light the fire!” the thundering sound of the percussion music, of the bamboo and pine branches cracking and burning, shakes the heaven and the earth.

It is believed that flames that soar higher than those from the neighboring village bring a good harvest, so competition can be fierce. The sound of bamboo cracking is believed to chase away bad fortune, so villagers try to add as many bamboo stalks as possible. Prospects for a good harvest are also determined by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on house collapses after burning.

Moon house burning is a symbolic ritual for praying for a good harvest and also a ritual for preventing bad fortune by cleansing impurities with fire.
在[正月十五](/topic/正月十五)(阴历一月十五日)月亮升起时焚[烧月亮屋](/topic/烧月亮屋),为村里的丰年和安康祈福的仪礼。

搭建月亮屋,是把月神请进屋的行为,这就如同村庄信仰中,盖堂神祭堂供奉神格的行为。焚烧供奉月神的月亮屋,大概是为了通过阴月和阳火的结合,使宇宙万物的生命力极大化。特别是,认为新年里第一个满月是咒术力达到极致的时期,所以,与月亮有关的岁时风俗很多。烧月亮屋的风俗也是缘起于此。

正月十五的下午两三点钟农乐声大起时,随着烧月亮屋总指挥者的指示,村里人纷纷背着背架去割竹子和松枝,随后在可以望见村庄的广场搭建月亮屋。

作为制作材料的竹子是从竹林割回来的,有时也有抢来的。首先把带有竹叶的竹杆立成圆锥形状,在上面围上一人高的草帘,房门朝东。在月亮屋里,把从各家收来的稻草捆堆起来,在上面放上松枝,然后祈祷。此时,村里人围绕在周围奏响农乐。

当月亮爬上山顶,人们就大喊:“月亮升起来了!”听到喊声的村代表,就在月亮屋里面和外面点火,此时,随着“月亮升起来了!点火吧!”这样的呐喊声起,农乐声,竹节爆破声,松枝焚烧声震天动地。

人们相信,只有烧月亮屋的火焰高过邻村才能迎来丰年,所以都争着把月亮屋架得更高。人们相信竹节爆破声可以消灾,因此焚烧时,在月亮屋里放很多大竹筒。此外,还根据月亮屋烧毁后倒塌的方向来占卜丰年。

可见,烧月亮屋既是期盼丰年的象征性仪礼,也是用火净化不净的除厄仪式。
Daljiptaeugi es un ritual efectuado para orar por la buena cosecha y la paz en el pueblo mediante el acto de quemar la daljip que significa “casa de la luna” hecha con bambú y ramas de pino cuando la luna se alza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día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Hacer una daljip es un acto de enclausurar la deidad lunar en la casa en el mismo sentido que la deidad tutelar del pueblo está enclausurada en un santuario. El acto de quemar el daljip se ve como un intento para maximizar la fuerza vital de todos los seres vivos del Universo por causa de la unión entre dos tipos de energías del fuego: el Yin que está representada por la luna y el Yang que es la energía del sol. La primera luna llena del año se considera que su poder mágico llega al nivel más alto. A razón de esto, muchas costumbres relacionadas a la luna se practican justamente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n el 15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cuando se oye la músida de agricultores alrededor de las 2 o 3 de la tarde, los aldeanos estarán listos para ir a recolectar bambú y ramas de pino bajo instrucciones del líder. Al regresar a la aldea, ellos empiezan a elaborar una casa de la luna en un lugar donde se puede observar la villa de un vistazo.

Como paso siguiente, erigen un tallo de bambú que lleva hojas tapado por un techo cónico de paja con una puerta que se abre hacia el este. Los aldeanos traen paja para acumularla dentro de la daljip y ponen ramas de pino sobre la acumulación de paja como la capa superior, tras lo cual ofrecen oraciones. Y luego, los lugareños interpretan la música tradicional de agricultores dando vueltas alededor del daljip.

Cuando la luna se levanta sobre las montañas, un aldeano dice “la luna está subiendo” en voz alta, entonces el líder del pueblo hace un fuego dentro y fuera del daljip. Junto con el rugido de la multitud gritando “la luna ha subido ya, ¡quémala!”, el sonido atornoador de la música de percusión, el crujido de bambú y ramas de pino y el sonido del fuego sacuden el cielo y la tierra.

Se cree que las llamas que se eleva más alto que aquellas del pueblo vecino traerán una buena cosecha, a cuausa de esto, la competencia puede ser feroz. En cambio, se piensa que el crujido de bambú ahuyenta la mala suerte, por lo cual los aldeanos intentan echar la mayor cantidad de tallos de bambú posible al fuego. Además, Las perspectivas para la próxima cosecha se determinan por la dirección en la que se derrumbe la daljip después de quemarse. La daljiptaeugi es un ritual simbólico para orar por una buena cosecha y evitar que venga la mala suerte por medio de la eliminación de impurezas con fuego.
Daljiptaeugi is a ritual for praying for a good harvest and peace in the village by setting on fire the moon house, made of bamboo and pine branches, as the moon rises on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Building a moon house (daljip) is an act of enshrining the moon deity, in the same vein as building a shrine to worship a village deity. Setting fire to the moon house is viewed as an attempt at maximizing the life force of all beings of the universe through the union of the yin energy of the moon and the yang energy of fire.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is believed to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magical powers, which has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seasonal customs associated with the occasion.

At around 2 or 3 in the afternoon on Great Full Moon Day as farmers’ music is played, villagers set out to collect bamboo and pine branches (solgaji) at the instruction of the leader. Upon their return, the moon house is constructed on a field that overlooks the village. Bamboo stalks that still have their leaves intact are used to erect a conical thatched-straw frame of adult height, with a door that opens to the east. The frame is filled with straw brought from villagers’ homes, and pine branches are added as a top layer, after which prayers are offered and the villagers play music as they circle the moon house.

When the moon rises over the mountains, the villagers shout, “The moon is rising!” and the village leader sets fire inside and on the surface of the moon house. Along with the roar of the crowd, hollering, “The moon has risen! Light the fire!” the thundering sound of the percussion music, of the bamboo and pine branches cracking and burning, shakes the heaven and the earth.

It is believed that flames that soar higher than those from the neighboring village bring a good harvest, so competition can be fierce. The sound of bamboo cracking is believed to chase away bad fortune, so villagers try to add as many bamboo stalks as possible. Prospects for a good harvest are also determined by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on house collapses after burning.

Moon house burning is a symbolic ritual for praying for a good harvest and also a ritual for preventing bad fortune by cleansing impurities with fire.
在[正月十五](/topic/正月十五)(阴历一月十五日)月亮升起时焚[烧月亮屋](/topic/烧月亮屋),为村里的丰年和安康祈福的仪礼。

搭建月亮屋,是把月神请进屋的行为,这就如同村庄信仰中,盖堂神祭堂供奉神格的行为。焚烧供奉月神的月亮屋,大概是为了通过阴月和阳火的结合,使宇宙万物的生命力极大化。特别是,认为新年里第一个满月是咒术力达到极致的时期,所以,与月亮有关的岁时风俗很多。烧月亮屋的风俗也是缘起于此。

正月十五的下午两三点钟农乐声大起时,随着烧月亮屋总指挥者的指示,村里人纷纷背着背架去割竹子和松枝,随后在可以望见村庄的广场搭建月亮屋。

作为制作材料的竹子是从竹林割回来的,有时也有抢来的。首先把带有竹叶的竹杆立成圆锥形状,在上面围上一人高的草帘,房门朝东。在月亮屋里,把从各家收来的稻草捆堆起来,在上面放上松枝,然后祈祷。此时,村里人围绕在周围奏响农乐。

当月亮爬上山顶,人们就大喊:“月亮升起来了!”听到喊声的村代表,就在月亮屋里面和外面点火,此时,随着“月亮升起来了!点火吧!”这样的呐喊声起,农乐声,竹节爆破声,松枝焚烧声震天动地。

人们相信,只有烧月亮屋的火焰高过邻村才能迎来丰年,所以都争着把月亮屋架得更高。人们相信竹节爆破声可以消灾,因此焚烧时,在月亮屋里放很多大竹筒。此外,还根据月亮屋烧毁后倒塌的方向来占卜丰年。

可见,烧月亮屋既是期盼丰年的象征性仪礼,也是用火净化不净的除厄仪式。
Daljiptaeugi es un ritual efectuado para orar por la buena cosecha y la paz en el pueblo mediante el acto de quemar la daljip que significa “casa de la luna” hecha con bambú y ramas de pino cuando la luna se alza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el día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Hacer una daljip es un acto de enclausurar la deidad lunar en la casa en el mismo sentido que la deidad tutelar del pueblo está enclausurada en un santuario. El acto de quemar el daljip se ve como un intento para maximizar la fuerza vital de todos los seres vivos del Universo por causa de la unión entre dos tipos de energías del fuego: el Yin que está representada por la luna y el Yang que es la energía del sol. La primera luna llena del año se considera que su poder mágico llega al nivel más alto. A razón de esto, muchas costumbres relacionadas a la luna se practican justamente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n el 15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cuando se oye la músida de agricultores alrededor de las 2 o 3 de la tarde, los aldeanos estarán listos para ir a recolectar bambú y ramas de pino bajo instrucciones del líder. Al regresar a la aldea, ellos empiezan a elaborar una casa de la luna en un lugar donde se puede observar la villa de un vistazo.

Como paso siguiente, erigen un tallo de bambú que lleva hojas tapado por un techo cónico de paja con una puerta que se abre hacia el este. Los aldeanos traen paja para acumularla dentro de la daljip y ponen ramas de pino sobre la acumulación de paja como la capa superior, tras lo cual ofrecen oraciones. Y luego, los lugareños interpretan la música tradicional de agricultores dando vueltas alededor del daljip.

Cuando la luna se levanta sobre las montañas, un aldeano dice “la luna está subiendo” en voz alta, entonces el líder del pueblo hace un fuego dentro y fuera del daljip. Junto con el rugido de la multitud gritando “la luna ha subido ya, ¡quémala!”, el sonido atornoador de la música de percusión, el crujido de bambú y ramas de pino y el sonido del fuego sacuden el cielo y la tierra.

Se cree que las llamas que se eleva más alto que aquellas del pueblo vecino traerán una buena cosecha, a cuausa de esto, la competencia puede ser feroz. En cambio, se piensa que el crujido de bambú ahuyenta la mala suerte, por lo cual los aldeanos intentan echar la mayor cantidad de tallos de bambú posible al fuego. Además, Las perspectivas para la próxima cosecha se determinan por la dirección en la que se derrumbe la daljip después de quemarse. La daljiptaeugi es un ritual simbólico para orar por una buena cosecha y evitar que venga la mala suerte por medio de la eliminación de impurezas con fuego.
내용송천달집태우기는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송산[마을](/topic/마을)에 전승되고 있으며, 여러모로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1. 놀이 준비 :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오후 2~3시쯤 [농악](/topic/농악)소리가 울려 퍼지면 달집태우기를 총지휘하는 대표자의 지시에 따라 마을 사람들은 [지게](/topic/지게)를 지고 대나무와 [솔[가지](/topic/가지)](/topic/솔가지)를 베러간다.이때 장정 7~8명은 이웃 갈전리와 유평리 마을 앞에 세워 놓은 달집을 부수고 대나무를 빼앗아 오기도 한다. 돌아올 때는 여러 가지 [민요](/topic/민요)가 [구연](/topic/구연)된다.

2. 달집 제작 : 달집은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꽤 넓은 광장인 ‘궁둥바우’에서 제작한다. 재료인 대나무는 대밭에서 베어오기고 하고 빼앗아 오기도 한 것들이다. 먼저 잎이달린 통대나무를 원추형으로 세우고 그 둘레에 사람 키만큼 이엉을 휘감는다. 문은 동쪽으로 낸다. 달집 안에는 각 집에서 거두어 온 짚 다발을 쌓고, 그 위에 솔가지를 올려놓은 뒤 기도한다. 또 정초부터 띄운 액막이 연(鳶)에 방액(防厄), 점풍(占豊), 태평세월(太平歲月)이란 글을 써 달집에 달아 놓는다. 이때 마을 사람들은 주변을 돌면서 농악을 친다.

3. 달집 불지르기 : 달뜰 무렵이 되면 촌로(村老)들이“달맞이 하러 간다”고 외치면 ‘[덕석](/topic/덕석)굴 몰뫼등’으로 올라간다. 달이 산 위에 올라오면 “달 떠 온다”라고 외친다. 이 외침을 들은 마을대표는 달집 안과 둘레에 불을 지른다. 곧 이어 “달떴네! 불 질러라!”라는 함성과 함께 농악 소리, 대 매듭 터지는 소리, 솔가지 타는 소리가 울리며 천지를 진동시킨다. 달집 태우는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달 그슬린다”라고 한다. 이 불길이 이웃 마을보다 높이 올라가야 풍년이 든다는 믿음 때문에 서로 높이 우기를 다툰다. 대 매듭 터지는 소리는 마을의 액을 쫓아낸다고 하여 큰 통대를 많이 넣어 태운다. 또 달집이 다 탄 뒤 쓰러지는 방향을 보고 점풍(占豊)을 한다. 위쪽으로 넘어져야 송천리가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달집태우기는 새벽 1시쯤에 끝난다.

송천달집태우기놀이는 1987년 제16회 남도문화제 종합최고상과 1988년 제2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종합우수상을 받았다. 이때 재구성된 민요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어얼싸 덜이덜동 얼싸덜이덜롱
하늘에는 별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대발에는 댓잎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냇물에는 자갈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집시락에 초롱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녹두](/topic/녹두)[장군](/topic/장군) 눈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어얼싸 덜이덜롱 얼싸덜이덜롱물
떠묵고 나오너라 얼싸덜이덜롱
달아 달아 붉은달아 얼싸덜이덜롱
장구치고 나오너라 얼싸덜이덜롱
춤을 추고 나오너라 얼싸덜이덜롱
얼싸 덜이덜롱 얼싸 얼싸덜이덜롱
얼싸 덜이덜롱 얼싸덜이덜롱
풍년이온다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금수강산에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지화자좋다 얼씨구좋다 얼싸덜이덜롱
금년삼월에 꽃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금년유월에 물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어얼싸 덜이덜롱 얼싸덜이덜롱
풍년이온다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금수강산에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지화자좋다 얼씨구좋다 얼싸덜이덜롱
금년구월에 산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금년섣달에 눈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내용송천달집태우기는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송천리 송산[마을](/topic/마을)에 전승되고 있으며, 여러모로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1. 놀이 준비 :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오후 2~3시쯤 [농악](/topic/농악)소리가 울려 퍼지면 달집태우기를 총지휘하는 대표자의 지시에 따라 마을 사람들은 [지게](/topic/지게)를 지고 대나무와 [솔[가지](/topic/가지)](/topic/솔가지)를 베러간다.이때 장정 7~8명은 이웃 갈전리와 유평리 마을 앞에 세워 놓은 달집을 부수고 대나무를 빼앗아 오기도 한다. 돌아올 때는 여러 가지 [민요](/topic/민요)가 [구연](/topic/구연)된다.

2. 달집 제작 : 달집은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꽤 넓은 광장인 ‘궁둥바우’에서 제작한다. 재료인 대나무는 대밭에서 베어오기고 하고 빼앗아 오기도 한 것들이다. 먼저 잎이달린 통대나무를 원추형으로 세우고 그 둘레에 사람 키만큼 이엉을 휘감는다. 문은 동쪽으로 낸다. 달집 안에는 각 집에서 거두어 온 짚 다발을 쌓고, 그 위에 솔가지를 올려놓은 뒤 기도한다. 또 정초부터 띄운 액막이 연(鳶)에 방액(防厄), 점풍(占豊), 태평세월(太平歲月)이란 글을 써 달집에 달아 놓는다. 이때 마을 사람들은 주변을 돌면서 농악을 친다.

3. 달집 불지르기 : 달뜰 무렵이 되면 촌로(村老)들이“달맞이 하러 간다”고 외치면 ‘[덕석](/topic/덕석)굴 몰뫼등’으로 올라간다. 달이 산 위에 올라오면 “달 떠 온다”라고 외친다. 이 외침을 들은 마을대표는 달집 안과 둘레에 불을 지른다. 곧 이어 “달떴네! 불 질러라!”라는 함성과 함께 농악 소리, 대 매듭 터지는 소리, 솔가지 타는 소리가 울리며 천지를 진동시킨다. 달집 태우는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달 그슬린다”라고 한다. 이 불길이 이웃 마을보다 높이 올라가야 풍년이 든다는 믿음 때문에 서로 높이 우기를 다툰다. 대 매듭 터지는 소리는 마을의 액을 쫓아낸다고 하여 큰 통대를 많이 넣어 태운다. 또 달집이 다 탄 뒤 쓰러지는 방향을 보고 점풍(占豊)을 한다. 위쪽으로 넘어져야 송천리가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달집태우기는 새벽 1시쯤에 끝난다.

송천달집태우기놀이는 1987년 제16회 남도문화제 종합최고상과 1988년 제2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종합우수상을 받았다. 이때 재구성된 민요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어얼싸 덜이덜동 얼싸덜이덜롱
하늘에는 별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대발에는 댓잎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냇물에는 자갈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집시락에 초롱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녹두](/topic/녹두)[장군](/topic/장군) 눈도 총총 얼싸덜이덜롱


어얼싸 덜이덜롱 얼싸덜이덜롱물
떠묵고 나오너라 얼싸덜이덜롱
달아 달아 붉은달아 얼싸덜이덜롱
장구치고 나오너라 얼싸덜이덜롱
춤을 추고 나오너라 얼싸덜이덜롱
얼싸 덜이덜롱 얼싸 얼싸덜이덜롱
얼싸 덜이덜롱 얼싸덜이덜롱
풍년이온다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금수강산에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지화자좋다 얼씨구좋다 얼싸덜이덜롱
금년삼월에 꽃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금년유월에 물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어얼싸 덜이덜롱 얼싸덜이덜롱
풍년이온다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금수강산에 풍년이온다 얼싸덜이덜롱
지화자좋다 얼씨구좋다 얼싸덜이덜롱
금년구월에 산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금년섣달에 눈놀이가자 얼싸덜이덜롱
역사[달집태우기](/topic/달집태우기)는 액막이 풍습이자 풍년을 기원하는 제례의 일종으로, [대보름](/topic/대보름)의 기풍(祈豊)·점풍(占豊)·방액(防厄)적 성격을 지닌다. 이 놀이는 주로 남부지방의 산악지대에서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역사는 매우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역사[달집태우기](/topic/달집태우기)는 액막이 풍습이자 풍년을 기원하는 제례의 일종으로, [대보름](/topic/대보름)의 기풍(祈豊)·점풍(占豊)·방액(防厄)적 성격을 지닌다. 이 놀이는 주로 남부지방의 산악지대에서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역사는 매우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의의보름달은 풍요의 상징이고, 불은 모든 부정과 사악을 살라 없애는 정화의 상징이다. 이에 따라 달이 떠오를 때 달집을 태우는 것은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고, 모든 사악을 정화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달이 떠오르면서 불길이 솟구치면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달집 주위를 돌면서 신명나게 풍물을 친다. 대나무가 불에 탈 때 나는 폭죽 터지는 듯한 소리에 잡귀가 마을 밖으로 도망가고, 불길이 이웃마을보다 높이 올라가면 풍년이 든다고 하여 경쟁적으로 큰 통대의 대나무를 모아 불을 지핀다. 그리고 다 타서 넘어지는 달집의 방향을 보고 그해의 농사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달집을 짓는 것은 달님[月神]을 집 안에 모시기 위한 행위이다. 이는 마을신앙에서 당집을 짓고 그 안에 신격(神格)을 모시는 행위와 같다. 달님을 모신 달집에 불을 지르는것은 음(陰)인 달[月]과 양(陽)인 불[火]의 결합을 통해 우주만물의 생생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생생력이 극대화된 달집을 향해 마을 사람들이 소망을 기원하면 되돌아오는 것 또한 극대화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남 구례 지역에서는 달집신이라 하여 달집 앞에 [제상](/topic/제상)을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이처럼 달집태우기는‘놀이+달맞이+[농악](/topic/농악)+잰부닥불(모닥불넘기)+농사점+부스럼예방하기’가 결합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의 종합민속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와 유사한 놀이가 중국에서는 사오쑹펀燒松盆)·판차이(焚柴), 일본에서는 사기초(左義長)·돈도야키 등으로 전승되고 있어서 비교민속학적 측면에서도 학술적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남도민속의 이해 (표인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07)
의의보름달은 풍요의 상징이고, 불은 모든 부정과 사악을 살라 없애는 정화의 상징이다. 이에 따라 달이 떠오를 때 달집을 태우는 것은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고, 모든 사악을 정화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달이 떠오르면서 불길이 솟구치면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달집 주위를 돌면서 신명나게 풍물을 친다. 대나무가 불에 탈 때 나는 폭죽 터지는 듯한 소리에 잡귀가 마을 밖으로 도망가고, 불길이 이웃마을보다 높이 올라가면 풍년이 든다고 하여 경쟁적으로 큰 통대의 대나무를 모아 불을 지핀다. 그리고 다 타서 넘어지는 달집의 방향을 보고 그해의 농사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달집을 짓는 것은 달님[月神]을 집 안에 모시기 위한 행위이다. 이는 마을신앙에서 당집을 짓고 그 안에 신격(神格)을 모시는 행위와 같다. 달님을 모신 달집에 불을 지르는것은 음(陰)인 달[月]과 양(陽)인 불[火]의 결합을 통해 우주만물의 생생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생생력이 극대화된 달집을 향해 마을 사람들이 소망을 기원하면 되돌아오는 것 또한 극대화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남 구례 지역에서는 달집신이라 하여 달집 앞에 [제상](/topic/제상)을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이처럼 달집태우기는‘놀이+달맞이+[농악](/topic/농악)+잰부닥불(모닥불넘기)+농사점+부스럼예방하기’가 결합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의 종합민속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와 유사한 놀이가 중국에서는 사오쑹펀燒松盆)·판차이(焚柴), 일본에서는 사기초(左義長)·돈도야키 등으로 전승되고 있어서 비교민속학적 측면에서도 학술적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남도민속의 이해 (표인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07)
집문당한국무속도록김태곤1982
정음사한국의 무조흥윤1983
문화재관리국무무문화재연구소1987
열화당서울 진오기굿김수남1993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풀빛황루시의 우리 무당 이야기황루시2000
봉화산 도당굿2001
한국무속학회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특징박정경2003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장단사용과 장단구조의 연계성김혜정2006
민속원서울굿의 이해한국무속학회2007
0 Comments